지난 8월 17일 (사)숲과문화연구회에서 진행하는 ‘제146차 아름다운 숲 찾아가기’에 참여했다. 두문동재에서 금대봉까지 야생화를 관찰하고, 한강 발원지라는 검룡소, 그리고 탄광에서 나온 폐석 위에 조림한 숲을 다녀왔다.

두문동재 초입부터 우리를 반갑게 맞이해준 야생화는 오리방풀과 짚신나물, 새며느리밥풀이다. 이 세 야생화는 금대봉을 돌아 나오는 동안 여기저기에서 볼 수 있었다. 아마도 이때가 만개 시기인 것 같다.  

'오리방풀'은 이전에 북한산 털개회나무를 찾아갈 때 이호균 선생님께서 알려주신 풀이다. 거북꼬리, 오리방풀은 비슷한 모양새를 가졌지만 그 차이를 간단히 설명해주셨다. 

"잎 끝이 가장 뾰쪽 갈라져 있는 풀이 거북꼬리, 오리 궁둥이처럼 얌전한 꼬리가 있는 풀이 오리방풀이다."

▲ 오리방풀

이호균 선생님 말씀처럼 오리방풀은 잎이 오리 궁둥이 모습 같아 이름 붙었다 한다. 꿀풀과 산박하속 여러해살이 풀이다. 7~10월에 피는 꽃은 연자주빛 나는 보라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마주 나온다. 잎 모양 때문에 오리란 이름이 붙었지만, 꽃은 예쁜 새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귀여운 모습이다. 현호색과 비슷한 분위기가 풍긴다.   

 

▲ 짚신나물

'짚신나물'은 전국 산과 들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풀이다. 장미과 식물로 6~8월에 노란 별 모양 꽃을 조르륵 피운다. 잎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이고 주름진 잎맥이 마치 짚신을 연상시켜 짚신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도 하고, 꽃이 질 때쯤 갈고리 같은 털이 짚신에 잘 달라붙어 짚신나물이라 지었다고도 한다. 어린잎은 식용, 뿌리는 커피대용으로도 먹는다. 풀포기 전체인 전초(全草)는 약용으로 쓰이는데, 최근 암을 다스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흔한 풀이지만 쓰임새는 귀한 존재다. 

▲ 새며느리밥풀

'며느리밥풀'에는 슬픈 이야기가 전해진다. 옛날 가난한 집으로 시집 온 새댁은 고된 시집살이를 하고 있었다. 어느 날 저녁, 밥이 잘 지어졌는지 보려고 밥알 2개를 입에 물었는데, 그만 시어머니가 이 모습을 보고 말았다. 시어머니는 먼저 어른께 드리지 않고 훔쳐 먹었다며 며느리를 모질게 때렸다. 며느리는 매를 맞으며, '밥이 익었는지 보려고 먹은 거예요.' 하곤 혀를 보이며 죽고 말았다. 그 며느리 무덤가에 밥알 2개를 문 꽃이 피어났는데 이를 며느리밥풀이라 이름 지었다 한다.

왜 이토록 슬프고 잔인한 이야기를 꽃 이름에 붙였을까? 꽃을 보고 밥알을 떠올리고, 두 밥알이 서럽고 배고픈 우리네 여인들 삶을 떠올려서겠지... 시어머니나 며느리, 누구라 할 것 없이 다 핍박받은 희생자들인데...  

▲ 꽃며느리밥풀(사진 이호균 주주통신원 제공)

며느리밥풀은 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 한해살이풀이다. 며느리밥풀에는 '꽃며느리밥풀'과 '새며느리밥풀'이 있다. 두 꽃 차이는 첫째 포(꽃을 싸고 있는 잎)가 다르다. 꽃며느리밥풀은 포가 초록이고 꽃잎에 선명한 흰 밥알 같은 무늬 2개가 있다. 새며느리밥풀은 포가 붉고 꽃잎에 흰색 밥알이 없고 밥알 모양만 있다.

▲ 도둑놈의갈고리

이름도 괴상한 ‘도둑놈의갈고리’도 만났다. 열매가 콩처럼 생긴 '도둑놈의갈고리'는 콩과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연분홍색으로 핀다. 열매 껍질 끝에 갈고리처럼 생긴 작은 가시가 있다. 열매가 익어 떨어질 때 쯤, 이 가시가 도둑처럼 몰래 사람 옷이나 짐승 털에 달라붙어 이동한다 해서 '도둑놈의갈고리'라 부른다. 우리 조상들이 이름도 참 재미있게 지었다. 잊으려야 잊을 수 없는 이름이다.

▲ 병조희풀

'병조희풀'은 '조희풀' 종류로 이름에 '풀'자가 붙었지만 풀이 아니고 미나리아재빗과 반관목이다. 꽃 모양이 호리병 같아 '병'자가 붙었다. '조희'란 말은 종이의 경상, 충청 방언이라고 한다. 예전에 종이를 만들던 나무가 아닌가 짐작들을 하는 것 같다. 병조희풀은 꽃 끝이 네 갈래로 갈라져 돌돌 말려진 모양을 하고 있다. 학창시절, 애교머리를 고데기로 귀엽게 말고 등교하던 멋쟁이 친구가 생각난다.   

▲ 도라지모시대

'도라지모시대'는 초롱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로 7~9월에 연보라색 꽃이 핀다. 뿌리는 '도라지'를 닮고 전체 모습은 '모시대'와 비슷하다 해서 도라지모시대라고 부른다. 지리산과 설악산, 금강산 등 고산지대 반그늘에서 잘 자란다. 종 모양 꽃이 청초해보인다. 우리나라 자생 특산식물이라 한다. 

▲ 도라지와 모시대(사진 : 이호균 주주통신원 제공)

도라지와 모시대는 이렇게 다르다. 겉모습으로만 봐서는 도라지모시대가 모시대와 흡사하다.

▲ 선종나물

지난 6월에 보았던 '선종(요강)나물'은 벌써 열매를 달고 있다. 9월이 되면 열매는 성숙해져 갈색 털로 뒤덮여 멀리 멀리 날아갈 준비를 마칠 것이다. 

▲ 수리취

국화과 여러해살이풀인 '수리취'는 이제 꽃망울을 맺었다. 강원도 정선군에서는 수리취인절미를 만들어 판다. 수리취인절미는 수리취 잎과 찹쌀로 만든 떡이다. '취'가 붙은 다른 나물과 같이 봄여름에 나는 연한 잎은 삶아 나물이나 떡을 해 먹는다.

숲 탐방 동안 김강숙, 김진리 두 선생님께서 작은 풀도 상세하게 설명해주어 모르던 야생화를 많이 알게 되었다. 귀찮도록 묻고 또 묻는 우리들에게 아낌없이 아는 바를 내어주신 두 분 덕에 풍성한 탐방이 되었다. 감사드린다. 두 분 말씀을 다 기억하진 못하지만 아직 소개 못한 야생화가 더 남아있다. 그 꽃은 2편에서...

* 이 글 내용 중 잘못된 2곳은 이호균 선생님께서 잡아주셨습니다. 이호균 선생님께 감사를 보냅니다.  

편집 : 박효삼 편집위원

김미경 객원편집위원  mkyoung60@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