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눈도 떠보지 못한 아기들일까

제대로 묻어주지도 못한

어머니의 한도 함께 묻힌 애기 돌무덤

사람이 죽으면

흙 속에 묻히는 줄로만 알았던 우리 눈이

너무 낯선 돌무덤 앞에

목이 메인다

목이 메인다」

양영길시인의 <애기 돌무덤 앞에서> 중 일부다. 제주특별자치도 조천읍 북촌리... 별나게 파랗게 보이는 함덕 해수욕장을 바라보며 새 건축물이 마치 손님처럼 앉아 있다. 너븐숭이 4·3 기념관이다. 그 앞마당을 걸어 나오면 ‘너븐숭이 4·3위령성지라는 돌비석이 있고 그 앞에 흩어진 돌무더기 위에 애기들 장남감이 하나 둘 흩어져 있는 돌무덤이 있다. 마치 무덤 속에 애기들의 울음을 그치게라고 하듯... 일부러 찾지 않으면 그 돌무더기가 애기들을 묻어놓은 무덤이라는 것을 누가 짐작이라도 할 수 있을까? 그것도 미군정시대 군정경찰과 서북청년단들이 한 짓이라니...

“<한라산>은 내 비명이자 통곡이다” 이산하는 제주 4·3사건을 입에 올리는 것조차 금기시 되던 1987년 녹두서평에 장편 서사시 ‘한라산’을 싣는다. 한라산을 읽지 않고 제주를 말하지 말라. 한의 땅, 통곡의 땅 제주는 폭동이 항쟁으로 바뀌고 조천읍 북촌리에 4·3 기념관이 들어섰지만 이산하가 절규한 “인간이 인간에게 얼마나 잔인할 수 있나”는 여전히 그대로요, 숫자조차 정확하게 알 수 없는 2만5천 ~ 3만여명의 영령들은 너븐숭이 4·3 기념관 속에 갇혀 있다.

권력과 폭력은 어떻게 다른가? 칼이나 총은 폭력의 도구다. 같은 칼이라도 주부가 가족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잡고 있다면 요리도구지만 강도가 쥐고 휘두르면 폭력도구다. 같은 총이라도 경찰이 차고 있으면 국민을 보호하는 무기이지만 폭도가 쥐고 휘두르는 총은 살인도구다. 국가의 손에 들려진 총. 그 총은 적어도 ‘1947년 3월 1일부터 한국정쟁이 끝난 1954년 9월 21일까지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해병대, 제주 경찰, 국방경비대, 미합중국 육군, 미합중국 공군, 서북청년단으로 구성된 토벌대들이 쥐고 있는 무기는 살상 도구였다.

아무리 감추고 덮으려고 해도 지워지지 않는 상처. 제주 4·3항쟁, 발발 7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달라진 것이라고는 북촌리 마을에 세운 4·3기념관과 해마다 4월 3일이 되면 정부요인들이 찾아와 기념식 하나로 끝이다. 노무현정부 이전만 하더라도 4·3은 빨갱이들이 저지른 폭동이요, 4·3반란사건이었다. 당시 정확한 희생자 수는 알 수 없지만 제주도 전체 인구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2만5천∼3만명에 달하는 주민이 토벌대에 의해 희생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제주 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희생자 중에 토벌대에 의한 희생이 78.1%(1만955명), 무장대에 의한 희생 12.6%(1천764명), 가해자 구분 불명 9%로, 전체 희생자가운데 여성이 21.1%, 10세 이하의 어린이가 5.6% 61세 이상의 노인이 6.2%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중 어린아이들의 시신이 임시 생매장한 상태로 남아 있는 곳이 너븐숭이 애기 돌무덤이다.

고려시대 목호의 난과 함께 제주도 역대 최대의 참사 중 하나이며, 여순사건, 국민방위군 사건, 보도연맹 학살사건, 경산 코발트탄광 학살사건, 거창 양민 학살사건 등과 더불어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기에 민간인이 억울하게 학살되거나 희생된 대표적인 사건이 제주 4·3항쟁이다. 지금도 여순을 비롯한 참사를 ‘반란’이나 ‘폭동’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학살의 땅, 통곡의 땅 분노의 땅 제주. "미군은 즉시 철수 하라!", "망국 단독선거 절대반대!", "이승만 매국도당을 타도하자!", "조국통일 만세!", "투옥 중인 애국인사 석방하라!" 제주도 3.1절 기념행사에서에서 나온 구호들이다. ‘무상몰수 무상분배’를 실시하던 3·8이북의 북한과 남한만의 단독정부를 수립하겠다며 친일청산을 반대하고 소작제도를 강행하려는 이승만 정부 중 제주도민들은 어느 쪽을 지지했을까? 여순항쟁, 4·3비극의 이면에는 단독정부수립으로 남북분단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미국과 이승만은 왜 아직도 혈맹이요 국부인가?

편집 : 심창식 편집위원

김용택 주주통신원  kyongtt@daum.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