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돛에 쓸 천을 결정해야 한다. 임진전쟁 때 조정에서 돛 베 29필을 받았다는 기록이 난중일기에 있다. 당시에 돛을 만드는 천이 따로 있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지금은 두꺼운 광목을 사용하고 있다. 황토물 혹은 갈물을 들여서 쓰기도 하고 천 그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한국어업사를 보면, 중국과 왜국의 배는 모두 호초(蒿草)를 짜서 돛으로 쓰기 때문에 부드럽고 질겨서 오래 사용하는 반면 우리나라의 배는 모초(茅草, 띠풀)만 사용해 쉽게 파손된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정조 때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록돼 있다.

돛은 초석(草席)을 쓰는데, 이는 곧 해마다 새것으로 바꾸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삼승포(三升布)나 혹은 왕골자리[莞席]로 하고 있는데, 각 물건의 개비(改備)는 이미 연한이 있고, 회감(會減)의 가본(價本) 또한 정수(定數)가 있으므로, 헐릴 때마다 개비를 하자면 진실로 군색한 폐단이 있습니다. 그러니 조운의 햇수를 조선의 예에 따라 별도로 조치하여 개비하도록 하고, 그 급가(給價)의 절차 또한 조선에 견주어 예로 삼아야 하겠습니다.

당시 우리나라는 범포를 수출하고 있었는데 왜 돛은 풀을 이용해 만들었을까? 아마도 수출했던 천은 고가품이어서 서민이 사서 쓰기 어려웠던 듯하다.

돛을 만들 때 사용할 천이 정해지면 돛의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돛의 크기는 통상적으로 돛대의 길이에 따라서 달라진다. 보통 갑판 위에서부터 꼭대기까지의 높이보다 대략 1m 정도 짧게 한다. 이는 돛대의 꼭대기에 도르래가 붙는 걸 감안해 그만큼의 길이를 빼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맨 밑에 있는 망머리 줄을 당겨 매면 돛이 대각선을 이루면서 아래로 내려오는 것 역시 고려한 조치다. 이렇게 길이를 짧게 조정하지 않으면 망머릿줄을 당겨 맸을 때 하활이 배의 갑판까지 내려와서 돛으로서 제 역할을 다 하기 힘들다. 뒤 돛의 너비는 10여m 정도 되는 배를 기준으로 대략 2.5~3m 정도면 된다. 앞 돛은 뒤 돛의 약 3분의 2 정도 크기면 무난하다.

돛 천으로 사용하는 광목은 폭이 좁기 때문에 여러 개를 붙여 사용해야 한다. 지금이야 재봉틀이 있어서 짧은 시간 안에 폭을 붙일 수가 있지만 옛날에는 선원 부인들이 총동원돼 며칠씩 바느질을 해 폭을 붙이곤 했다. 이때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 광목은 폭을 붙인 뒤 다시 접어서 바느질을 해야 한다. 이를 ‘한 번 눌러주는 것’이라고도 말한다. 돛 천이 찢어지지 않게 하려는 조치다.

▲ 그림1 돛의 재단

폭이 다 붙여지면 재단을 한다. 그림1은 돛을 재단하는 그림이다. 돛의 테두리에 줄을 껴 넣어야 하므로 접어서 바느질할 것을 계산하고 그만큼 넓게 재단해야 한다.

재단이 끝나면 테두리에 줄을 넣어야 한다. 이때 대략 90사 정도의 실을 넣는다. 천을 접을 때 줄을 같이 넣으면서 바느질해야 한다. 바느질을 다 해놓고 나중에 줄을 껴 넣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이제 돛의 품을 잡아주어야 한다. 돛의 품이란 돛의 주름을 말한다. 가로는 잡지 않고 세로만 잡아준다. 품은 대략 10~15% 정도 잡아준다. 다만 어선과 화물선의 돛은 차이가 있다. 화물선의 돛은 품을 조금 더 많이 잡아줘야 한다.

이후엔 돛이 찢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굵은 줄로 돛을 한 바퀴 돌려줘야 한다. 로프의 굵기는 돛의 크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로프는 그대로 사용해선 안 된다. 만약 그대로 쓸 경우 로프가 늘어나 돛 천이 찢어질 수 있다. 로프를 필요한 길이만큼 잘라서 최대한 늘린 다음에 사용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양 끝을 높은 곳에 매고 가운데에 무거운 것을 달아 로프의 길이를 늘이곤 한다. 

로프를 돛 천에 한 바퀴 돌려서 맬 때 간격은 약 3cm 정도를 유지한다. 줄을 맬 땐 바늘을 이용한다. 우산이나 양산의 살 끝 부분의 구멍이 있는 곳을 대략 10cm 정도 되게 자른 뒤 끝을 뾰족하게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 이를 ‘독바늘’이라고 한다.

테두리 줄을 다 묶은 후엔 활죽을 붙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대나무를 쓰므로 ‘죽(竹)’자를 쓴다. 그러나 화물선처럼 큰 배는 상활과 하활로 굵은 나무를 쓰기도 한다. 짐을 가득 실은 화물선은 돛에 힘이 많이 가기 때문이다.

활죽은 붙이는 방향이 정해져 있다. 돛으로 그물을 끌기 때문에 활죽의 방향을 동일하게 해야 어느 한쪽 돛이 바람을 더 받는 걸 방지할 수 있다. 돛이 세 개인 배는 맨 앞 돛을 중간 돛과 같은 방향에 붙인다.

배가 작아서 돛을 하나만 다는 경우엔 돛대의 위치에 따라 활죽을 붙이는 위치가 달라진다. 앞 돛일 땐 오른쪽에, 중간 돛일 땐 왼쪽에 활죽을 붙인다. 돛마다 그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활죽을 붙이는 방향이 달라지는 것이다. 역풍 항해를 할 때 앞 돛은 각도를 잡아주고 뒤 돛은 배를 추진시킨다.

이후엔 돛대와 돛을 분리되지 않게 잡아주는 고리가 있는 끈을 매야 한다. 어민들은 이 끈을 중간에 있는 배꼽과 같다는 의미로 ‘뱃봉 또는 배꽁(배꼽의 방언)줄’이라고 부른다.

편집: 정지은 편집담당

마광남 주주통신원  wd3415@naver.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