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월길을 따라가다
강북삼성병원 안에 있는 경교장을 보고 나오면, 성곽탐방길은 교남동 송월길을 따라 월암근린공원으로 이어진다. 월암근린공원 아래 성곽 멸실 구역에서 홍난파 가옥과 배설 집터를 보고 송월동 빌라촌을 빠져나간다. 행촌동에서 권율도원수 집터의 보호수 은행나무를 본다. 그 바로 옆에 3.1운동을 세계만방에 알린 미국인 특파원 테일러가 살았던 주택 딜쿠샤가 있다. 가다 보면 서울시복지재단과 월암근린공원의 경계지에서 성곽 유구를 볼 수 있고, 송월4길 빌라촌 주차장 안에서도 가까스로 몇 조각 성돌을 볼 수 있다.

▲ 서울시복지재단

경희궁 후원과 서울시교육청
경교장을 나와서 송월길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면 서울시교육청이 나온다. 그곳은 원래 경희궁(慶熙宮)의 후원이었는데 서울시교육청이 1968년 12월 30일에 새 청사를 짓고 옮겨 왔다.

경희궁의 이름은 본래 경덕궁(慶德宮)이었다. 광해군 9년(1617년) 창건 때는 유사시에 왕이 본궁을 떠나 피난하는 이궁(離宮)으로 지었으나, 궁의 규모가 크고 여러 임금이 이 궁에서 정사를 보았기 때문에 동궐인 창덕궁에 대해 서궐이라고 불렀다. 일제강점기에 경희궁을 허물고 그 자리에 경성중학교를 세웠으며 해방 후에는 서울고등학교가 들어섰다. 경희궁 터는 사적 제271호로 지정됐고 1980년에 서울고등학교가 서초구로 이전한 후 점진적으로 궁을 복원하고 있다. 현재 정문인 흥화문과 정전인 숭정전, 편전인 자정전, 영조의 어진을 모셨던 태령전, 금천교 등이 복원됐다.

경희궁의 궁궐은 일제가 파괴했고 그 후원은 군사정권의 군홧발에 파괴됐다. 경희궁 후원의 숲이 도심에 오롯이 남아있었다면 삶에 찌든 도시민들의 마음을 얼마나 포근하게 어루만져 줬을까. 생각하면 회한이 깊어질 뿐이다. 그뿐만 아니다. 서울시교육청을 지으면서 교육청 남쪽 담장을 따라 쌓은 성곽마저 헐어버렸다. 군인들의 눈에 문화유산의 가치는 전혀 보이지 않았던 듯하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기상관측소
서울시교육청 위로 올라가면 옛 기상청으로 통하는 문이 나온다. 그곳을 지나 정상까지 올라가면 1932년 3월에 준공된 옛 경성측후소 건물이 나타난다. 그곳도 인왕산 능선에 자리 잡은 경희궁의 후원이었는데 일제는 그 숲을 파괴해 측후소건물을 지었다. 일제는 1919년부터 이곳에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기상관측소를 세웠고, 1932년 3월에는 그 옆자리에 기상측후소를 세웠다.

구한말 1904년, 부산, 인천, 목포 등지에 기상관측소가 설치되면서 근대적인 기상 업무가 수행되기 시작됐다. 서울에선 1907년 10월 1일 정동에 경성측후소가 설치되면서 기상 업무가 시작됐다. 그로부터 24년 5개월 후에 정동의 경성측후소가 현재의 송월동 월암공원 위로 옮겨졌다.

측후소를 송월동으로 이전할 때 이 빈곤한 마을에는 약 200호에 이르는 토착민들이 살았다. 그들은 오늘날 아현동 일대로 강제이주 됐다고 한다. 누군가는 말했다. 이 토착민들은 움집 또는 움막 같은 곳에서 살았으므로 토막민(土幕民)이라고 불렀다고. 어느 시대든지 힘없고 가난한 백성들은 부평초처럼 흘러다니거나 개돼지처럼 쫓겨 다니기 십상이다.

광복 후 경성측후소는 중앙기상대로 이름을 바꿨다. 1990년 12월에는 중앙기상대에서 기상청으로 승격됐고, 1998년에는 신대방동에 신청사를 마련해 이전했다. 그러나 송월동 1번지 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기상측정치가 65년 동안 서울의 대푯값이었기 때문에 아직도 이곳은 ‘기상청 서울관측소’와 ‘서울황사감시센터’라는 이름으로 관측을 계속하고 있다. 그와 함께 이 자리에는 기상 산업을 효율적으로 지원·육성함으로써 국가산업과 경제발전에 기여한다는 목적으로 2005년에 설립된 ‘한국기상산업진흥원’이 자리하고 있다.

옛 경성관측소 건물은 일제 때의 모습을 대체로 간직하고 있다. 궁륭의 창문과 건물 중앙에 세워진 원형의 탑이 특징이다. 이러한 모양은 일제강점기 전국 주요 측후소 건물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원통형 탑의 꼭대기 부분에 열주를 세운 듯 마감한 부분이 로마의 콜로세움이나 피사의 사탑 같은 느낌을 준다. 갈릴레이의 천체관측소를 모방한 것일까? 해방 후 1960년에 완공된 옛 기상청 건물은 정상 부근에서 밑으로 조금 내려오면 지금의 주차장 터에 있었다. 그러나 그 건물은 철거됐다. 현재 서울복지재단 건물로 사용되는 건물은 1975년에 준공된 기상연구소다.

▲ 1932년 3월에 준공된 옛 경성측후소의 현재 모습

월암근린공원
옛 기상청 정문에서 서쪽으로 나오면 사거리가 나오고 사거리에서 오른쪽으로 돌아가면 옛 기상청 담장을 따라 거뭇거뭇한 성곽의 잔재가 보인다. 그동안 옛 기상청 건물을 싸고 있던 주택이 철거돼 그 모습이 드러났다. 그것은 월암공원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언덕 위로 계속된다. 

월암공원은 2008년부터 공사를 시작해 2009년까지 만들었다. 공원 이름은 이 근처 송월동 3-1 바위에 새겨진 ‘月巖洞(월암동)’이라는 이름을 따서 지었다. 조선 시대 지금의 송월동(松月洞)은 월암동이었다.

월암공원을 조성할 때만 해도 문화재 복원 시 가급적이면 성곽의 유구를 그대로 드러내는 방식을 택했다. 외양 위주의 복원이 아니라 지난 세월의 흔적을 살리는 복원이었다. 한 단밖에 남아있지 않은 성곽이라도 그대로 살리고 그 위에 현대판 성돌을 쌓아올렸다. 그래서 월암공원 성곽 길엔 세월에 따라 변한 흔적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멀게는 태조 때와 세종 때의 축성법, 가깝게는 숙종 때의 축성법을 살펴볼 수 있다.

자연석을 그대로 쌓거나 대충 가공해 쌓고 성돌과 성돌 사이의 성긴 부분에 작은 돌을 메워 쌓은 태조 때의 축성법. 맨 아래에는 큰 장대석을 놓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은 몽돌을 쌓아 위 성돌을 멀리서 보면 옥수수알맹이처럼 보이는 세종 때의 축성법. 면석을 완전히 규격화해 정방형에 가까운 성돌을 빈틈없이 쌓은 숙종 때의 축성법. 태조 때와 세종 때는 성벽에 물매를 주었다. 성벽 뒤에 채워 넣은 토석의 압력에 버티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성벽의 기울기는 태조 때에 심해 대개 77〬 쯤 됐으나 전체를 석성으로 개축한 세종 때는 물매를 줄였고 숙종 때는 수직으로 쌓았다.

▲ 월암근린공원에서 보는 성곽의 유구

편집: 정지은 편집담당

글 허창무 주주통신원/ 사진 이동구 에디터

허창무 주주통신원  sdm3477@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