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공자는 <주역>을 읽은 지 3년 만에 '지천명', 즉 하늘이 만물에 부여한 원리를 깨달았다고 합니다. 주역은 동양학의 뿌리라고도 합니다. 동양의 가장 오래된 경전이란 뜻이죠. 주역은 유학에서 말하는 '삼경' 중 하나입니다. 원래 이름은 <역경>인데 '주(周)나라시대의 역(易)’이란 뜻에서 <주역>이라고 부릅니다. 얼마 전 한겨레 주주가 된 김상학 주주님은 현재 대학 교육원에서 주역 노자 장자 역학 등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요즘 동양철학 특히 주역에 대해 관심 갖는 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막상 호기심에 책을 들추면 너무 어려워 곧 덮어버리곤 할텐 데요. 이번 기회에 주역을 쉽게 접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김상학 주주의 '쉬운 역학(易學)'을 2주에 한 번 연재합니다.

우리들은 모르는 장소에 가면 헤매게 되지요. 길을 몰라서요. 내가 불안 초조, 외롭고 괴롭고, 두렵고... 헤맬 경우도 흔히 있겠지요. 왜? 나를 모르기 때문이라지요. 우리 민족은 어릴 때부터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의식 훈련이 약하기 때문에 더 의구심만 커지겠지요. 그런데 사실이 그러하네요. 그것이 특히 신과 영혼과 기도와 연결되어 있는 신앙 종교의 영역이라면 더하겠지요. 그러면 내 마음을 내가 알고(心法) 내 몸을 내가 알면(理法), 이런 방황에서 벗어날 수가 있겠지요. 우울증 같은 신경성 앓이는 많이 해결할 수 있겠네요.

한 마디로 사주 점집을 찾는다는 것은 자신을 모르기 때문이네요. 그런데 주변에 자기를 잘 아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요? 우리 사회는 학연, 혈연, 지연 등, 비합리적 생활양식의 ‘세월호 시스템’으로 짜여 있지요. 하여 주변 눈치, 체면, 관습, 문화의 편견에 초연할 수 있는 내공을 지닌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그래서 험한 인생의 바다를 항해하려면 기도와 수행을 통해 진심과 정성을 불태울 수 있는 자신의 촛불을 켜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지요. 밖으로 끌려 다니는 일상 삶의 양식 속에서는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기가 매우 어렵지요. 따라서 내 자신을 온전히 안다면 스스로 일어서고 개척할 수 있지만 대다수가 그러지 못하지요.

그런데 문제는 역술가들을 만나 적당한 사례를 주고, 좋은 상담을 받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데 활용하면 다행이지만, 의식의 그림자만 끌어안고 다시 어려운 일을 겪어야 하는 황당한 일들이 생길 수 있지요. 이 점을 유념하시면 되겠네요. 사주 점집을 찾아가서 상담을 요청하는 사람들의 마음은 얼마나 힘이 들고 답답할까요? 살다보면 주변 가까운 사람들에게는 말하기 어려운 일들이 흔히 있을 수 있겠지요. 이러한 측면에서는 사주 점집들의 긍정적인 역할 수행이 있다고 봐도 되겠네요.

이제 우리 사회와 국가 민족 수준에서 생각을 해 보면, 사회가 문란하여 상식이 통하지 않고 운수(運數)와 재수(財數)에 많이 의존하는 분위기이지요. 개인들의 인생도 방향과 목표가 약하고 예기치 못한 우발적이고 돌발성의 사건들에 휘둘리게 되지요. 마음은 둘 곳 없고, 기도할 줄도 모르고, 기도한다고 통하는 일도 아니고, 갈피를 잡기가 힘들지요. 개인의 주체적 창의적 역량으로 헤쳐 나아가기에는 너무나 벅찬 사회 분위기이지요.

그래서 적당히 바람이 부는 대로 위선적 기회주의에 편승하여 소위 ‘세월호식’으로 살아가는 방식을 쫓게 되는 것이겠지요. 따라서 사회가 안정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요행수가 많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서 사주 점집을 흔히 찾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지요. 이러하다가 집안의 대소사가 있을 때면 습관적으로 찾아다니는 사람들이 흔히 있을 수 있지요. 이것이 나쁜 일은 아니겠으나 자기 스스로가 공부를 하여 주체적 자발적 독립적, 우주의 주인공으로 삶을 영위해야 하는 것이 인생의 정도이겠지요. 이것이 지구라는 푸른 별에 왔다가는 존재 이유 0순위가 아닐까요? 인류 성현들께서 남겨 놓은 고전(古典)의 말씀들이 모두 그러한 말씀이니까요.

우리 사회는 나라와 민족이 힘이 약해서 주체가 무너지고, 그 결과 상식과 철학이 부재하지요. 급기야 민족 분단 모순에 이르고 말았지요. 결국 주체, 상식, 철학이라는 3합(三位一體)의 사회 구성 원리가 무너져 버린 것이지요. 역사 속에서는 피해 ·폐쇄 콤플렉스에 허덕이고 있다고 할 수 있지요. 외세, 일본, 한자, 한글 콤플렉스 그리고 동족 살해, 빨갱이 콤플렉스까지 사회집단 병리현상들이 터져 나와 서로를 힘들게 하고 있지요. 지금 현실은 진보와 보수의 갈등이라기보다는 상식과 몰상식의 대립만이 횡행하고 있을 뿐이지요.

주체가 허물어지다 보니 종교의 다양성이 아닌 혼란상을 일으키고 있네요. 철학이 허약하다보니 기초과학이 정립되지 못하여 인문학과 사회, 자연 과학의 다른 학문들조차도 성숙하질 못하지요. 상식이 빈약하다 보니 권력은 백성들을 우매화시키고, 정의의 마지막 보루인 검찰, 사법까지도 눈치를 보는 기회주의자들로 들어차게 되는 것이지요. 어릴 때부터 민족 경서(텍스트)로 진리 공부를 하면서 기도할 줄 알고, 학교에서는 대화 토론을 통해 합리적이고 열린 비판의식을 길러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도 못하지요.

이러한 연유로 국민의식은 기초공사가 되지 않아서 4象체질에 부응하는 4象 의식(현실인식, 역사인식. 인간적 통찰, 문화적 통찰)이 형성되지 않았지요. 사람들의 뇌구조는 길들여지고, 노예 장애의식의 소유자들이 되었지요. 그래서 무슨 정책을 하루가 멀다 하고 수립을 해도 사상누각이 되는 것이지요.

지금 이러한 모습들은 우리 사회의 적나라한 현실로 생생하게 볼 수가 있네요. 이 나라 이 민족의 총체적 혼란상이 바로 여기에서 야기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하겠지요. 이런 혼란상 속에서 개인의 일뿐만 아니라 기타 별일들을 닥치면 답답한 마음에 사주 점집을 많은 사람들이 찾게 되는 것이지요. 사주 점집이 성행하는 이유를 찾다보니 우리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원인 진단이 되었네요. 따라서 처방전은 자동적으로 나오네요. 남 앞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어떠한 의식과 자세가 필요한지, 사회 구성원들도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나타나네요.

이런 상황에서는 무엇보다도 각 개인들이 진리 공부(이법. 심법)를 통해 깨어나는 일이 중요하겠지요. 또한 깨어나서 주변 사람들에게 함께 할 수 있도록 힘을 써야겠지요. 그리고 그러한 사람들이 민주시민 의식을 형성하고 참여 연대하면서 현실을 헤쳐 나아가야겠지요. 의식은 전 방위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닐까요?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 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의 이 목소리가 귓가에 쟁쟁하네요.

편집 : 김미경 부에디터

 

김상학 주주통신원  saram54@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