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한겨레> 창간 발기인이자 논설위원을 지낸 조성숙 전 동아투위 위원장이 지난달 19일 향년 81세에 별세했다. 그는 1935년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나 서울대 문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뒤 65년 <동아일보> ‘신동아부’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하여 활동하였다. 75년 동아일보사 기자·피디들과 ‘자유언론실천운동’에 나서 해직된 뒤 2002년에는 ‘동아투위’ 위원장을 맡아 복직투쟁을 이끌었다.

▲ 한겨레 자료사진: 고 조성숙 전 한겨레 논설위원

88년 5월 ‘한겨레’ 창간 뒤 논설위원, 기획위원 등을 맡아 ‘위안부 피해 대책’ 등 여성문제 여론화에 앞장섰다. 한림대 사회복지대학원에서 가족치료 연구과정을 수료한 뒤 ‘조성숙가정폭력상담소’를 열어 여성 인권 보호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쳤다.

그는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위원, 서울가정법원 조정위원, 한국가족문화원 이사 겸 부원장, 강남가족상담센터 공동대표 등을 지냈다. 그가 쓴 책은 <어머니라는 이데올로기-어머니의 경험세계와 자아찾기>(한울·2002년), <여자로 산다는 것>(2012·한울) 등이 있다. 2008년부터 신장 투석 등 투병생활을 해온 고인은 2014년 자전에세이 <한겨레와 나>를 정리해 한겨레신문사에 기증했다. 그 책에 실린 글을 여기서 연재한다.

 

어린시절-아버지의 꾸지람(2)

내가 초등학교 4학년이 되었을 때, 아버지의 전근으로 우리는 다시 수원 외가 동네로 이사를 왔다. 어머니는 아버지가 통근 열차를 탈 수 있게 일찍 일어나 진지를 지어드렸다. 아버지가 출근하신 뒤에는 어린 우리를 깨워 김칫국에 밥을 말아서 푹 끓인 김치죽을 아침 식사로 먹이곤 하셨다. 따뜻한 이불에 싸여 먹는 아침 죽은 먹을 만했다. 그리고 저녁에 아버지가 오실 때가 되면 방과 마루를 깨끗이 정리한 후 건넛방 군불도 때놓고 호랑이같이 무서운 아버지를 기다렸다. 마루에 먼지 한 조각이라도 발견되면 난리가 난다.

아버지는 항상 얼굴을 찡그리고 웃는 얼굴을 보이지 않으셨다. 어려서는 무섭기만 했지만 나이를 먹으니까 조금 이해가 되었다. 집에 들어와 봤자 아들이 있나, 딸들만 우글우글하니 웃음이 나오겠나. 그래서 아버지는 이유도 없이, 시도 때도 없이 짜증을 내셨을 터다. 오죽하면 우리가 열 살 넘었을 때 어머니께 아버지와 이혼하시라고 충고까지 했을까. 어머니는 콧등으로도 듣지 않으셨다. 생각해보면 아버지도 불쌍한 분이었으나 그때는 우리가 연민을 가질 만큼 성숙하지 못했다. 딸만 다섯을 키우는 아버지를 모두들 불쌍해했고 심지어 큰어머니 등 친척들은 ‘여자를 하나 얻어서 아들을 낳으라’고 충고까지 하였다.

어느 해 봄, 어머니는 이튿날 소풍 갈 나에게 예쁜 배낭을 사다주셨다. 나는 너무나 좋아서 그걸 가지고 만지작거리며 놀고 있었다. 그런데 아버지가 느닷없이 “너는 뭐가 좋아서 그걸 만지작거리느냐”고 소리를 지르시는 것이었다. 나는 야단맞는 이유도 모른 채 무안하여 울어버렸다.

또 어려서는 웃음도 잘 나왔다. 안방에서 아버지와 같이 앉아서 이야기를 하는데 까닭 없이 웃음이 나왔다. 웃음을 멈추려고 애를 썼으나 멎지를 않아 또 꾸지람 들을까봐 마루로 나가서 멈추기를 시도했다. 멎었다 싶어 방에 들어가면 또 웃음이 터졌다. 이렇게 하기를 여러 번 반복한 끝에 겨우 진정되었다. 그러는 동안 아버지는 꾸지람은 하지 않으셨으나 왜 웃느냐고 묻지도 않고 같이 웃지도 않으셨다. 정말 무서웠다. 아버지는 원래 심성이 악한 분이 아니다. 내가 학교에 들어가고 얼마 안 되어서다. 아버지는 딸이 학교에 들어간 것이 기쁘셨던지 영한사전과 『가마우지』라는 일본 만화책을 사다주셨다. 나는 만화책을 순식간에 읽었다. 어부가 가마우지라는 새의 목을 묶어 물속에 넣은 후, 고기를 잡으면 뱉게 하는 방식으로 고기를 잡아 사람이 먹는 것이다. 아주 잔인한 고기잡이인데 나는 그 책을 보고 가마우지 고기잡이를 알게 되었다. 지금도 중국 사람이나 일본 사람들이 하는 고기잡이 방식이다. 나는 새 책을 받고 기뻐서 이 책들을 학교 졸업할 때까지 소중하게 간직하겠다고 결심했었는데 그 뒤 어떻게 되었는지 잊어버렸다. 단지 그 책들을 사다주실 때의 환한 아버지 얼굴을 잊을 수 없다. (다음회에 계속)

편집: 김종태 편집담당

 

한겨레:온  hanion@hani.co.kr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