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보다 꽃이 앙증맞은 큰개불알풀

식물 중에는 이름을 부르기 좀 거북한 것들이 더러 있다. 큰개불알풀도 그 중 하나이리라. 그러나 꽃은 그 이름과는 전혀 딴판으로 앙증맞다. 이 예쁜 꽃을 처음 대면하는 사람치고 왜 큰개불알풀이란 해괴한 이름을 갖게 되었을까 의아해 하지 않을 사람이 있을까? 별다른 봄꽃들을 볼 수 없는 이른 봄 양지바른 길섶에 무리지어 피어 있는 모습은 참으로 장관이다. 땅바닥에 낮게 깔린 초록의 잎 위로 연한 코발트빛 화관을 일제히 펼친 모습을 보면 와! 하는 탄성이 절로 난다.

▲ 큰개불알풀의 꽃

큰개불알풀이란 국명은 식물체가 개불알풀보다 큰 데서 유래한다. 개불알풀은 우리나라 초기 분류학자 정태현이 쓴 한국식물도감(1956)에서 그 이름을 찾아볼 수 있다. 개불알풀은 큰개불알풀보다는 꽃이 훨씬 더 작고 꽃 색이 연한 붉은빛이 도는 흰색이라서 눈에 잘 띄지도 않는다. 한편 정태현보다 먼저 박만규는 우리나라식물명감(1949)에서 개불알풀을 ‘봄까치꽃’이라 명명하고,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1974)에서는 중국명 그대로 ‘지금(地錦)’이라 했다. 땅에 비단처럼 곱게 깔려 있다는 뜻의 ‘지금(地錦)’보다는 까치가 반가운 손님이 올 것을 미리 알려 주듯 봄이 오고 있음을 알리는 꽃이란 뜻의 ‘봄까치꽃’이 참 좋다. 우리 고유어로 조어(造語)되어 있음은 물론 우리 민족의 정서까지 깔려 있어 훨씬 정감이 가기 때문이다. 그런데 왜 굳이 ‘개불알풀’이란 이름이 후대에 일반화되었을까?

내가 처음 이 식물을 만났을 때 앙증맞을 정도로 예쁜 이 풀꽃을 왜 큰개불알풀이라 했는지 도무지 수긍이 가지 않았는데 그 연유가 일본명에 있음을 나중에야 알았다. 일본에서는 열매가 개의 불알과 비슷하다 하여 이 풀꽃을 ‘イヌノフグリ(이누노후구리, 犬の陰囊)’라 부른다. 우리말로 곧 ‘개불알’이다. 큰개불알풀 역시 식물체가 개불알풀보다 크다 하여 ‘オオイヌノフグリ(오이누노후구리, 大犬の陰囊)’, 곧 ‘큰개불알’에서 연유한다. 이런 이유 때문일까, 북한에서는 큰개불알풀을 ‘왕지금꼬리풀’이라 부른다. 큰개불알풀의 중국명 ‘왕지금(王地錦)’과 개불알풀의 영명 ‘Field Speedwell’에서 따온 ‘꼬리풀’을 합성한 말이다. 식물명에서도 일제의 잔재를 철저히 청산한 북한의 언어정책을 엿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개불알풀을 일찍이 ‘봄까치꽃’이라 했으니 큰개불알풀도 ‘큰봄까치꽃’이라 부르고 이를 일반화했으면 좋았을 걸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 큰개불알풀의 열매

큰개불알풀을 학명으로는 ‘Veronica persica Poir.’라 한다. 속명 ‘Veronica’는 성경에 나오는 성녀 ‘베로니카’에서 온 것이다. 종소명 ‘persica’는 원산지나 자생지가 ‘페르시아’란 뜻이다. 물론 ‘Poir.’는 이 식물의 학명을 처음 명명한 사람이다. 속명 ‘Veronica’는 현대 식물분류학의 기초를 확립한 린네가 최초로 명명한 것인데 왜 그랬을까? 성녀 베로니카는 누구인가? 예수가 가시관을 쓰고 피땀을 흘리며 형장으로 끌려가는 모습을 보고 애처로워 수건으로 얼굴을 닦아 드린 바로 그 여자다. 그런데 베로니카의 이 수건에는 기적처럼 예수의 얼굴이 찍혀 있었다. 린네는 큰개불알풀의 꽃 속에서 예수의 얼굴 형상이 비치는 것을 본 것이다. 그러니 이 꽃이야말로 예수의 얼굴이 박힌 성녀 베로니카의 수건과 같은 꽃이라고 생각했다. 학명을 풀어 보면 페르시아 지방에 나는데 꽃 속에 예수의 얼굴이 어리어 바로 그 베로니카의 수건이 연상되는 풀꽃이란 뜻이다. 듣기조차 거북한 큰개불알풀이라는 이름과는 달리 얼마나 성스러운 느낌마저 주는가?

▲ 큰개불알풀의 군락

큰개불알풀은 원산지가 유럽, 서아시아, 아프리카인데 광복 이전에 우리나라 남쪽지방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은 중부지방까지 영역을 넓혀 다소 습기가 있고 햇볕이 잘 드는 길가나 빈터, 특히 천변에서 흔하게 만나볼 수 있는 현삼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현삼과 ‘개불알풀속(Veronica)’ 식물에는 개불알풀 종류 이외에 문모초, 방패꽃, 물칭개나물 종류, 꼬리풀 종류 등 약 20여 종이 분포한다. ‘개불알풀’ 돌림의 형제뻘 되는 ‘큰개불알풀, 눈개불알풀, 좀개불알풀, 선개불알풀’은 모두 고향이 외국인 귀화식물인데 비해 특이하게 ‘개불알풀’만 유독 우리나라 자생종이다.

 큰개불알풀의 줄기는 길이가 15~30cm인데 옆으로 낮게 기면서 끝이 솟아오른다. 아래쪽 잎은 마주나지만 위쪽은 어긋난다. 잎몸은 길이 1~2cm의 세모꼴 계란형인데 잎가장자리에 서너 쌍의 톱니가 있다. 꽃은 3월부터 9월에 이르기까지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핀다. 꽃자루는 길이 1~4cm로 가늘다. 꽃받침은 4개, 화관은 연한 코발트색으로 지름이 8mm 정도이며 열편이 4개이다. 그 중 앞쪽의 것 1개는 다소 작다. 삭과(蒴果)는 크기가 길이 5mm, 폭 10mm, 거꿀심장형이고 납작하다. 가장자리에는 긴 털이 있고 8~15개의 씨가 들어 있다.

큰개불알풀의 꽃을 찬찬히 들여다본 적이 있는가? 화관 열편에는 진한 코발트빛 선이 중앙을 향해 여러 개 나 있고, 화관 가운데에는 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이러한 꽃의 구조는 우연일까? 나름의 고도의 전략이 있어서다. 이 선은 꿀을 찾는 곤충을 꿀샘으로 직행시키기 위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한다. 왜 암술은 수술보다 길까? 딴꽃가루받이를 위한 전략이다. 가이드라인을 타고 착륙한 곤충은 길게 나온 암술을 먼저 스치지 않고는 꿀샘에 들어갈 수 없을 것이다. 이미 다른 꽃에서 꿀을 먹고 온 곤충은 다른 큰개불알풀의 수술에서 유전자가 다른 꽃가루를 묻혀 왔을 것이다. 건강한 자손을 위해 사람이 근친혼을 피하듯 식물도 가급적 제꽃가루받이를 피하고 딴꽃가루받이를 선호한다. 그래야 자손의 유전자가 다양해져 나쁜 환경에서도 잘 살아 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 : <풀들의 전략> 이나가키 히데히로 저, 최성현 번역, 도솔 오두막

편집: 양성숙 편집위원, 김미경 부에디터

이호균 주주통신원  lee1228hg@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