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한겨레> 창간 발기인이자 논설위원을 지낸 조성숙 전 동아투위 위원장이 지난달 19일 향년 81세에 별세했다. 그는 1935년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나 서울대 문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뒤 65년 <동아일보> ‘신동아부’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하여 활동하였다. 75년 동아일보사 기자·피디들과 ‘자유언론실천운동’에 나서 해직된 뒤 2002년에는 ‘동아투위’ 위원장을 맡아 복직투쟁을 이끌었다.

▲ 한겨레 자료사진: 고 조성숙 전 한겨레 논설위원

88년 5월 ‘한겨레’ 창간 뒤 논설위원, 기획위원 등을 맡아 ‘위안부 피해 대책’ 등 여성문제 여론화에 앞장섰다. 한림대 사회복지대학원에서 가족치료 연구과정을 수료한 뒤 ‘조성숙가정폭력상담소’를 열어 여성인권보호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쳤다. 그는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위원, 서울가정법원 조정위원, 한국가족문화원 이사 겸 부원장, 강남가족상담센터 공동대표 등을 지냈다.

그가 쓴 책은 <어머니라는 이데올로기-어머니의 경험세계와 자아찾기>(한울·2002년), <여자로 산다는 것>(2012·한울) 등이 있다. 2008년부터 신장 투석 등 투병생활을 해온 고인은 2014년 자전에세이 <한겨레와 나>를 정리해 한겨레신문사에 기증했다. 그 책에 실린 글을 여기서 연재한다.

▲ 625 전쟁으로 파괴된 수원 화성 장안문. 탈환과 재탈환의 과정 속에 수원은 크나큰 피해를 입었다(한겨레신문 자료사진 :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420875.html)

어린시절-영화 얘기로 지새던 졸업반 교실(3)

고등학교 3학년이던 1953년, 한국전쟁이 끝나고 학교가 정상화되었다. 전쟁 통에 폭격을 맞지 않고 무사히 살아남은 학교 건물 안에 교실이 지정되고 자리가 정해졌다. 정상화라고는 하나 책상도 없이 마룻바닥에 책상다리로 앉아서 책상 대신 나무 판때기에 공책을 올려놓고 수업을 들었다. 내가 다니던 수원여고는 서울 가까이 있어서 남쪽으로 피난 갔다가 서울로 귀경하는 선생님들의 임시 기착지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실력 있는 선생님도 꽤 있었다. 나는 그 점이 좋았다. 개중에는 썰렁썰렁 가르치는 분도 계셔서 실망과 더불어 나 혼자 딴 공부를 한 시간도 있었다. 딕슨(Dixon) 교재로 배우는 영작문 시간은 쉬워서 혼자 몰래 과목을 다 떼었다. 선생님은 전혀 눈치 채지 못했다. 이렇게 저렇게 독학하다시피 하는데, 진학하는 학생이 적었던 반 아이들은 수업시간이 시작되어 선생님이 들어오면 일제히 “영화 얘기 해주세요!” 하고 소리를 지른다. 웬만한 선생님은 이 소리에 넘어가 교재를 덮고 영화 얘기를 한다. 드러내놓고 대학에 가겠다고 떠들진 않았지만 할 수 없이 대세에 밀려 수업을 공치기가 일쑤였다. 개중에는 실력 있는 선생님이 계셔서 기대했었는데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래서 혼자 공부하는 길을 뚫어야 되겠다고 생각하였다. 동급생 중에 수원농대 교수 딸은 두툼한 참고서가 여러 권 책꽂이에 꽂혀 있어서 나는 그런 애하고는 상대가 되지 않았다. 그래도 구세주는 있는 법이랄까 나의 행운이랄까, 뜻밖에 천사가 나타났다. 우리 반에 경기도 학무국장의 딸이 둘 다니고 있었는데 아버지가 재혼해서 낳은 딸은 인물이나 심성이 곱지 않은데 반해 큰딸, 즉 전실 딸은 인물도 대리석 조각처럼 희고 예쁘다. 그의 이름이 희경인데 나하고는 잘 알지도 못하는 사이이다. 하루는 그 희경이가 자기 집에 놀러 오라면서 집을 가르쳐주었다. 가보니까 학교 정문 앞 가정집에 혼자 세 들어 살고 있었다. 처음엔 이런저런 내막을 몰랐는데 사귀면서 차츰 알게 되었다. 그 애는 딸로서 자기 위치를 내세워 아버지로부터 온갖 혜택을 이끌어내고 있었다. 그래서 보니까 나는 상상도 할 수 없는 공부를 하고 있었다. 수학은 우리 학교에 새로 부임해 오신 수학 선생님이 실력이 퍽 좋으신데 희경이는 벌써 그 사실을 알고 그 선생님을 독선생으로 모시고 수학의 진도를 넓혀나갔고, 그 밖의 중요 과목도 그런 식으로 진행하고 있었다. 그녀는 크렘린 같아서 자기 사적인 얘기는 하지 않았다. 사는 것도 본가 가정부가 일주일에 한 번씩 싸다 주는 반찬을 먹으며 지내고 있었다. 비록 사는 집은 허름했지만 나름대로 ‘공주’ 같은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 애는 머리가 좋고 스스로 계획을 다 세우고 있었다. 나에게는 수학을 가르쳐주겠다고 한다.

우리 학교에서는 당시 수학을 제대로 가르치지 않았는데 대학 입시에서는 미분보다 적분이 중요하니까 자기가 적분을 가르쳐주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고맙고 반가울 데가! 나는 고맙다는 말도 못하고 그가 하자는 대로 했다. 걔가 왜 나에게 잘해주는지 알 수가 없었다. 나의 다른 대입 준비 상황에 대해서도 물었다. 별다른 계획이 없었던 나는 반 아이들에게 주워들은 대로 말해주었다.

즉, 금년도 서울대학교 입시는 ‘국, 영, 수, 선택’ 이렇게 네 과목이고 ‘사회’는 없다. 선택 과목은 나는 독일어로 결정했다. 독일어 시험은 해석 4문제가 나오는데 그중 한 문제는 어려울 것이므로 운이 따라야 하고, 3문제만 잘 풀면 된다는 것이다. 수학은 희경이한테서 배운 것으로 치는데 적분 위주로 하고 모르는 문제가 나오면 포기하는 것으로 정했다. 국어는 독학. 영어는 반에서 나하고 1, 2등을 놓고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는 경렬이라는 반장이 있는데, 그 애 오빠가 수원의 명문이라 할 수원고교에서 서울대에 몇이나 넣을지를 놓고 사생결단을 하다시피 진학 지도를 하는 영어 교사였다. 그 애가 자기 오빠가 만든 영어 부교재를 하나 얻어주어 그 책으로 공부를 했더니 머리에 쏙쏙 들어왔다.

그 무렵 어머니는 늦게 해산을 하시어 내가 살림을 하면서 학교에 다녔다. 하나도 고통스럽지 않았다. 귀로 들은 것은 있어서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내가 서울대에 합격할 수 있었던 것은 희경이와 경렬이 두 친구의 덕이라고 알 수 있다. 그런데 나는 합격한 뒤에 이 친구들을 만날 수 없었고 따라서 고맙다는 인사를 못 했다. 나중에 듣자니 희경이는 수도의대에 합격해서 다니고 있었는데 언제 갔는지 지금은 미국에서 결혼 생활을 하면 큰 병원에 의사로 근무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이제라도 만나서 고맙다는 인사를 할 수 있으면 좋겠다.

경렬이는 결혼해서 수원에 살고 있었는데 변변히 치사를 못 해서 늘 마음이 무거웠다. 가까이 있으니 언제든 만날 수 있겠지 하다가 시기를 놓쳤다. 학교를 졸업한 지 20여 년만에 벼르고 별러서 경렬이 전화번호를 알아서 전화를 하리라 맘먹고 있었다. 그런데 전화번호를 가르쳐준 친구 말이 내게 전화번호를 가르쳐준 바로 그날 병원에서 운명했다는 것이다. 이런 비극이 또 있을까. 운명의 장난도 아니다. 오랜 투병 생활을 한 모양이다. 그의 두 살 위 언니는 우리와 같은 수원여고를 다녔는데 키도 크로 인물도 좋다. 농구 선수로 활약했는데 학생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나도 좋아했고 경렬이를 통해 듣자니까 그 언니도 나를 좋아했다고 한다. 그 자매와 나는 서로 경외하는 사이였다. 이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늦게라도 그 친구 유가족, 특히 그 언니를 만나 정중히 인사하는 길밖에 없다. 경렬의 명복을 빈다. (다음회에 계속)

편집: 김종태 편집담당, 이미진 편집위원

한겨레:온  hanion@hani.co.kr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