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공자는 <주역>을 읽은 지 3년 만에 '지천명', 즉 하늘이 만물에 부여한 원리를 깨달았다고 합니다. 주역은 동양학의 뿌리라고도 합니다. 동양의 가장 오래된 경전이란 뜻이죠. 주역은 유학에서 말하는 '삼경' 중 하나입니다. 원래 이름은 <역경>인데 '주(周)나라시대의 역(易)’이란 뜻에서 <주역>이라고 부릅니다. 얼마 전 한겨레 주주가 된 김상학 주주님은 현재 대학 교육원에서 주역 노자 장자 역학 등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요즘 동양철학 특히 주역에 대해 관심 갖는 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막상 호기심에 책을 들추면 너무 어려워 곧 덮어버리곤 할텐데요. 이번 기회에 주역을 쉽게 접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김상학 주주의 '쉬운 역학(易學)'을 2주에 한 번 연재합니다.

태극기와 8괘

대한민국의 <태극기>가 주역의 이치를 도형화한 것임을 알 수 있겠지요. 우주 원리가 담겨 있는 것이지요. 이 우주 원리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 우주, 천지, 자연 원리, 4계절, 24절기 이치, 해·달 운행 이치, 우주 변화의 원리, 5운 6기학, 철학적으로는 음양오행 이치, 역학의 총칭으로는 태극 원리 - 라고 하지요. 본체(본질)는 하나이지만 작용(쓰임)이 다른 것이지요.

8괘는 주역 64괘를 구성하는 기본괘이지요. 8괘, 여덟 개를 소성괘(小成卦)라 하고, 이 8괘가 짝을 이루어 64괘의 대성괘(大成卦)를 이루는 것이지요. 그래서 주역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는 8괘를 2단 공식처럼 암기를 하면 좋겠지요.

☰ 일건천 건삼련(一乾天 乾三連) - 1건천의 건은 세 줄이 연결됨.

☱ 이태택 태상절(二兌澤 兌上絶) - 2태택의 태는 위가 끊어짐.

☲ 삼리화 리중절(三離火 離中絶) - 3리화의 리는 중간이 끊어짐.

☳ 사진뢰 진하연(四震雷 震下連) - 4진뢰의 진은 아래가 연결 됨.

☴ 오손풍 손하절(五巽風 巽下絶) - 5손풍의 손은 아래가 끊어짐.

☵ 육감수 감중연(六坎水 坎中連) - 6감수의 감은 중간이 연결됨.

☶ 칠간산 간상연(七艮山 艮上連) - 7간산의 간은 위가 연결됨.

☷ 팔곤지 곤삼절(八坤地 坤三絶) - 8곤지의 곤은 세줄 모두 끊어짐.

일건천 건삼련의 소성괘 ☰ 3줄을 보면 맨 위의 효爻는 하늘天, 맨 아래는 땅地, 중간의 효는 사람人을 의미하지요. 그 이유는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가 3才(天地人)이기 때문이라지요. 우주 삼라만상의 구성원리가 3합이라는 것도 참고하시면 되지요. 결국 소성괘 8괘가 서로 만나 뒤섞이면서(착종錯綜), 대성괘 64괘가 되는데 6효爻인 여섯 줄로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효爻는 아비 부父와 의미가 통하는데 모든 것의 모범이 된다는 뜻이라지요.

한번 태극기를 살펴보시지요. 태극(太極)이 있고 태극은 음양으로 되어 있지요. 적색은 양陽이고, 하늘이고, 아버지이고, 태양, 불이 되지요. 청색은 음陰이고 원래는 흑색이어야 하고, 땅이고, 어머니, 달, 물이지요. 이 음양 관계는 동전의 양면이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이지요. 그런데 8괘중에 건곤감리의 흑색과 조화를 맞추려니 흑색의 음을 청색으로 변화를 준 것이지요.

태극기는 태극을 깃발(기旗)로 사용하는 것이지요. 원래는 8괘가 모두 들어 있었는데 뒤집어도 괘모양이 같은 건곤감리(4정괘)로 줄였다지요. 제물포 조약 이후 박영효가 일본으로 가게 되는데 국기의 필요성 때문에 메이지 마루라는 배안에서 그렸다는 것이지요. 이 때 영국 선장 제임스와 영국 영사 애스터의 조언을 받아 너무 복잡하니까 4정괘(4正卦)로 줄이라는 조언이 있었다고 하네요.

1919년 3.1 운동 당시에는 <조선국기>에서 <태극기>로 명칭을 변경하고, 1949년 10월 15일에는 이승만의 지시로 <국기 제정위원회>에서 지금의 태극기 모양으로 통일하였다고 하네요.

태극기의 의미는 다음과 같지요.

1)흰 바탕의 백색은 백의민족과 평화를 상징. 가을의 결실과 완성을 뜻함.

2)원주(圓周)인 원의 둘레는 만물의 어머니인 무극(無極). 우주 통일을 뜻함.

3)태극(太極)은 생명 창조와 변화를 뜻함.

4)건괘는 하늘天, 아버지父. 본체로서 양을 뜻함.

5)곤괘는 땅地 , 어머니母. 본체로서 음을 뜻함.

6)감괘는 달月. 작용으로서 음을 뜻함.

7)리괘는 해日. 작용으로서 양을 뜻한다네요.

8괘에 대해 좀 더 이해를 돕기 위해 자연의 이치로 접근을 해 보시지요.

☰ 일건천 건삼련(一乾天 乾三連) : 1건천의 건은 양이 세 줄로 하늘의 기운은 강 건하다.

☱ 이태택 태상절(二兌澤 兌上絶) : 2태택의 태는 양이 두 줄로 굳은 땅 위에 음의 물이 고여 있다.

☲ 삼리화 리중절(三離火 離中絶) : 3리화의 리는 촛불에 비유하면 불의 중심은 거무스레 음이고, 겉과 속은 적색의 양으로 속보다 더 뜨겁다.

☳ 사진뢰 진하연(四震雷 震下連) : 4진뢰의 진은 맨 밑의 양이 위 두 줄의 음을 뚫고 치솟아 나가는 천둥 우뢰이다.

☴ 오손풍 손하절(五巽風 巽下絶) : 5손풍의 손은 바람으로 태풍의 눈은 고요하고 겉 두 줄은 양으로 외부를 휩쓸고 다닌다.

☵ 육감수 감중연(六坎水 坎中連) : 6감수의 감은 흐르는 물에 비유하면 중간은 소용돌이로 강한 양이고 겉과 밑바닥은 기운이 중간보다 약한 음이다.

☶ 칠간산 간상연(七艮山 艮上連) : 7간산의 간은 산으로 겉은 우뚝 서서 강한 양의 모습이고, 산의 안은 들어가면 포근하고 안정적인 음이다.

☷ 팔곤지 곤삼절(八坤地 坤三絶) : 8곤지의 곤은 세줄 모두 음으로 모두를 수용 포용하여 모성의 대지인 유순한 땅이다.

이상의 해석은 꼭 들어맞는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자연과 연결을 시켜보면 8괘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겠지요.

편집 : 박효삼 부에디터

김상학 주주통신원  saram54@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