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지는 우리 것] 이상직 주주통신원

오늘은 24절기의 스물둘째 동지(冬至)로 한해 가운데 밤이 가장 길다는 날입니다. 옛 사람들은 동지를 흔히 아세(亞歲) 또는 작은설이라 하였습니다. 이날부터 낮이 길어진다는 곧 해가 부활한다는 큰 뜻을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가는 작은설로 대접 하는 것이지요.

이런 생각 때문에 오늘날에도 여전히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동지첨치(冬至添齒)의 풍속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한편으로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도 부르지요.

특히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中冬至),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하는데 올해는 초순인 음력 11월 1일에 들었기에 애동지가 되는 것입니다. 애동지 때는 아이들에게 나쁘다 하여 팥죽을 쑤지 않고 대신 팥시루떡을 해먹었지요. 팥죽이나 팥시루떡은 붉은 색으로 악귀를 좇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동지 때의 세시풍속으로 관상감(觀象監)에서는 새해의 달력을 만들어 임금에 바치면 이 달력에 ‘동문지보(同文之寶)’라는 어새를 찍어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지요. 그러면 관원들은 이 달력을 백성에게 나누어 줍니다. 이 풍속은 농사가 나라의 근본이었던 시대에 때에 맞춰 새해 농사를 잘 지으라는 뜻이 있는데 단오에 부채를 주고받는 풍속과 아울러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 하였습니다.

또 동지에는 집안의 며느리들이 시할머니나 시어머니, 시누이, 시고모 등 시집의 여자들에게 버선을 지어 선물하는 ‘동지헌말(冬至獻襪)’도 있었지요.

그러나 동지의 가장 종요로운 풍속은 백성 사이에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기는 것입니다. 또 일가친척이나 이웃 사이에 서로 화합하고 어려운 일은 서로 마음을 열고 풀어 해결하였는데 오늘날 연말이면 불우이웃 돕기를 펼치는 것도 동짓날의 전통이 이어 내려온 것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팥죽을 쑤어 겨울철 먹을 것이 부족한 짐승들에게 나눠주는 ‘고수레’ 의식도 우리 겨레의 더불어 사는 정신 가운데 하나일 것입니다.

이상직  ysanglee@naver.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