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을 선도하여 피는 우리꽃 백서향

봄을 선도하는 꽃이 있다. 매화나 산수유보다 앞장서 봄을 알리는 꽃이 있다. 순백의 꽃부리 안에 은은한 향기 안고 봄을 선도하는 우리 꽃 백서향(白瑞香)이 있다. 물론 같은 시기에 피면서 향기까지 똑같은 꽃으로 서향(瑞香)도 있다. 그러나 서향은 토종이 아니라 중국 원산의 외래종이다. 꽃 색도 순백이 아니라 연한 홍자색이요, 숲 속에서 자라지 않고 관상용으로 화단이나 화분에 심어 기른다. 백서향(白瑞香)은 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 숲 속에서 드물게 자라는 토종 자생식물이다. 같은 팥꽃나무과 집안일지라도 서향은 백서향에 비견할 바가 못 된다.

▲ 중국 쓰촨성 구채구에서 만난 자생 서향
▲ 연한 홍자색 꽃이 핀 우리집 서향 화분

백서향(白瑞香)은 상서로운 향기가 천리까지 간다 하여 민간에서는 ‘천리향’이라고도 부른다. 이 나무를 식물분류학자 정태현은 <조선삼림식물도설(1942)>에서 ‘백서향나무’라 하고, 박만규는 <우리나라식물명감 (1949)>에서 ‘개후초’라고도 부른다. 이 외에 개서향나무로도 불리는데 산림청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백서향(白瑞香)’을 추천명으로 삼고 있다. 기실 ‘백서향나무’란 이름은 불필요한 의미의 중복적 표현이기 때문이리라. 백서향이란 이름은 중국 원산인 ‘서향(瑞香)’과는 달리 꽃이 흰색으로 피는 나무란 뜻에서 유래한다. 북한에서는 ‘흰서향나무’라고도 한다.

 

백서향의 학명은 ‘Daphne kiusiana Miq.’이다. 속명 ‘Daphne’는 본래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신의 이름인데 월계관을 만드는 월계수의 이름으로 전용되었다. 그런데 잎 모양이 월계수와 비슷한 데서 서향나무의 속명으로 쓰이게 되었다고 한다. 종소명 ‘kiusiana’는 일본의 큰 섬 이름으로 ‘큐슈(Kyushu)에서 나는’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백서향의 학명은 네덜란드 식물학자 Friedrich Anton Willem Miquel(1811~1871)이 ‘일본 큐슈에서 나는 나무로 잎 모양이 월계수의 잎과 비슷하다’는 뜻을 담아서 명명한 것이다. 영명은 라틴어 속명을 그대로 원용하여 ‘White daphne’라고 한다. 백서향은 은은한 꽃향기가 오래까지 멀리 가고, 월계관 만드는 월계수의 잎과 모양이 비슷해서일까, 꽃말은 ‘불멸, 명예’라고 한다.

▲ 2월 초에 개화한 거제도 자생 백서향

 

백서향은 추위에 매우 약하여 주로 따뜻한 지역에서 자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상남도, 전라남도 등의 서·남해안의 섬 지역이나 제주도 숲 속에서 드물게 자란다. 세계적으로는 중국의 중남부 지역에도 분포하며, 일본에서는 주로 혼슈 이남에서 자란다. 서향과 함께 팥꽃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 작은떨기나무로 남부지방에서는 관상용으로 화단에 심어 기르기도 한다. 추위에 약하지만 순백의 꽃이 예쁘고 은은한 향기가 일품이라서 중부지역에서는 주로 실내에서 화분에 심어 기른다.

 

팥꽃나무과에 속하는 백서향은 높이 50~150c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는데 장타원형이고 길이 4~16cm, 반질반질한 윤택이 있으며 양면에는 털이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끝은 길게 뾰족하고 밑부분은 차츰 좁아져 길이 2mm 정도로 짧은 잎자루와 연결된다. 은행나무가 암그루와 수그루가 따로따로 꽃이 피듯 백서향도 암수딴그루이다. 자생지에서는 이르면 2월초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여 늦게는 4월까지 핀다. 가지 끝에 진녹색의 잎들에 둘러싸여 하얀 꽃 여러 송이가 촘촘히 모여 달린다. 꽃자루에는 짧고 흰 털이 많이 나 있다. 꽃받침통은 끝이 4갈래로 갈라지고 길이 7~10mm, 겉에 잔털이 있다. 수술은 4개씩 2열로 배열된다. 씨방은 장타원형이고 털이 있다. 열매는 핵과, 길이 8~9mm의 달걀 모양이며 5~7월에 붉게 익는데 독성이 있어 먹을 수는 없다.

▲ 정선 문래산 설중 개화한 두메닥나무

백서향과 같은 팥꽃나무과 팥꽃나무속에 속하는 우리나라 자생식물로 두메닥나무와 팥꽃나무가 있다. 우리 식물 이름에 ‘두메’라는 말이 앞에 붙으면 대개 ‘인적이 드문 깊은 산골에 나는’이란 의미가 더해진다. 그러니까 두메닥나무는 민가 주변에 식재하는 닥나무가 아니라 깊은 산골에 절로 자라며, 껍질은 종이를 만드는 데 쓰는 닥나무와 비슷하다는 뜻에서 유래한다. 실제 지리산 이북 주로 경상북도, 강원도 석회암지대의 아고산대 산지 능선부 및 정상부에서 매우 드물게 자란다. 꽃과 향기, 잎과 열매의 모양까지 백서향과 비슷하다. 하지만 분포지가 다르며, 꽃이 3~4월에 피고, 잎이 상록성이 아니라 낙엽성인 점에서 백서향과는 차이가 있다. 나는 7월 자생식물워크숍 때에 강원도 석병산에서 열매 달린 두메닥나무를 처음 보았는데 키가 너무 작아서 나무 같지도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후 정선 지역 문래산 식물상을 조사할 때 비로소 꽃이 핀 두메닥나무를 보았다. 석회암 지대 높은 산 능선 잔설 속에 막 피기 시작하는 두메닥나무의 꽃은 얼핏 보면 백서향과 비슷했다.

 

▲ 5월초 축령산 자연휴양림에 식재한 팥꽃나무 꽃

팥꽃나무는 두메닥나무와는 달리 해남, 진도, 완도 등 전라남·북도의 낮은 지대 산지나 풀밭에서 드물게 자란다. 꽃 색이 붉고, 열매가 팥알만 하며, 익으면 색깔이 팥알처럼 붉은 데서 그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팥꽃나무도 두메닥나무와 비슷한 시기에 꽃이 피지만 낙엽성 떨기나무이다. 꽃을 보고 싶다면 경기도 남양주 축령산 자연휴양림에 가면 볼 수 있다. 맨 위쪽에 있는 주차장 옹벽에 팥꽃나무 몇 그루가 식재되어 있다. 나는 거기서 5월 초에 잎 하나 달리지 않은 가지에 다닥다닥 풍성하게 붙어 있는 붉은 꽃을 처음 보았다. 꽃은 라일락 비슷하지만 백서향이나 두메닥나무와는 달리 향기가 없다. 전라남도 해남 자생지에서는 개화기를 제때 못 맞추어 열매 달린 것만 보았다.

 

백서향은 반질반질한 잎에 둘러싸여 뭉쳐 피는 하얀 꽃과 은은한 향기가 일품이라서 서향과 함께 관상용 분재로도 인기가 높다. 한방에서 꽃은 두통, 인후통, 치통을 완화하는 데 쓰이고, 뿌리는 지혈제나 가래 제거제, 백일해 완화제로 쓰인다. 또한 민간에서는 나무껍질이나 잎은 어혈을 풀고, 통풍을 완화하며, 각종 피부염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고 한다.

 

우리 집 베란다에 서향(瑞香) 화분이 하나 있다. 여러 해 전 제자들이 은퇴 기념으로 사들고 온 화분이다. 해마다 입춘을 전후한 이맘때 소담하게 꽃이 핀다. 은은한 향기가 온 집안에 가득해진다. 새삼 제자들 생각이 새록새록 난다.

▲ 2월초에 개화한 우리집 서향 분재

 

편집 : 김미경 편집위원

이호균 주주통신원  lee1228hg@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