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기 시작하는 3월 중순 천마산 복수초

나의 식물 공부는 이렇게 시작돼

어느 핸가 스승의 날이었다. 전임 학교를 졸업한 제자 몇몇이 찾아왔다. 선물이라며 들고 온 종이가방을 불쑥 내놓는다. 김태정의 <쉽게 찾는 우리 꽃> 봄·여름·가을 시리즈 3권과 송홍선의 <풀꽃나무타령>이 들어 있다. 언젠가 수업시간에 선생님께서 이런 얘길 했다는 것이다. 생물 선생이 되고 싶었는데 국어 선생이 되었다고. 그래서 은퇴하면 카메라를 메고 산과 들로 다니면서 만나는 식물들 사진을 찍고, 식물을 벗 삼아 소일하고 싶다고. 그런 사소한 얘길 잊지 않고 책까지 사 오다니 참으로 고마운 제자들이다. 그 후로 나는 산에 갈 때마다 배낭 속에 이 핸드북을 가지고 다녔다. 낯선 식물을 만나면 책을 펴놓고 처음부터 책장을 넘기며 찾아보는 습관이 생겼다. 즉석에서 의문이 해결되지 않은 경우도 허다하다. 식물 공부하는 데 카메라가 필수 장비인데 미처 장만하지 못했다. 이런 사정을 알았던지 아이들이 해외 배낭여행 갔다가 돌아오면서 선물로 콤팩트 카메라를 하나 사왔다. 은퇴도 하기 전부터 신이 나서 산으로 들로 돌아다니면서 식물을 관찰하고 카메라로 사진도 찍었다. 그 때마다 날짜와 장소를 넣어 파일명을 만들고 컴퓨터 외장 하드에 저장했다. 지금도 틈틈이 내가 만난 식물을 도감에서 찾아 블로그 ‘이호균의 풀꽃나무광’에 정리한다. 이렇게 나의 식물 공부는 시작되었다.

 

드넓은 교정은 나의 식물 학습장

개포동에 있는 여학교에 근무할 때다. 나보다 먼저 부임한 고등학교, 대학교 선배 형을 만났다. 형은 일찍이 식물에 관심을 갖고 예의 김태정 식물 가이드북을 가지고 공부를 하여 식물에 대한 실력이 나보다 월등했다. 시간 나면 그 형과 자주 만나서 교정을 돌아다니며 식물들을 관찰하곤 하였다. 유난히 드넓은 교정엔 다양한 수목과 화초들이 식재되어 있다. 게다가 원정사 할아버지 한 분이 계셨는데 화단과 정원을 지극 정성으로 가꾸어 계절마다 다양한 꽃을 볼 수 있다. 봄부터 산수유, 매화나무, 살구나무, 복사나무, 옥매, 백목련, 라일락, 개나리, 진달래, 철쭉, 산당화, 해당화, 박태기나무, 모란, 수국, 쉬땅나무 등 여러 가지 나무 꽃들이 잇달아 피기 시작한다. 어디 나무 꽃뿐인가, 이른 봄부터 제비꽃을 필두로 종지나물, 봄맞이, 서양민들레, 꽃마리, 꽃받이, 쇠별꽃, 산괴불주머니, 큰개불알풀, 꽃다지, 냉이, 개갓냉이, 좀가지풀 등 참으로 다양하게 볼 수 있었다. 5년간 이 학교 교정을 샅샅이 돌아다니면서 내가 만난 식물은 줄잡아도 200여 종은 넘을 듯싶다. 지금도 이맘때 그 학교 교정 어느 곳에 가면 어떤 나무, 무슨 풀의 꽃이 피어 있을지 머릿속에 훤하게 떠오른다. 지금 생각해 보면 내가 5년간 이 학교에 근무한 것은 큰 행운이었다.

 

복수초와의 첫 만남

▲ 4월초 피는 천마산 복수초2

어느 해 봄날 선배 형에게 아직 복수초를 만나보지 못해 보고 싶다고 했더니 가까운 곳에 가면 볼 수 있으니 안내하겠단다. 2004년 4월 청명절 가까운 일요일 지금도 생생하다. 우리는 약속한 장소 강남구 청계산 입구에서 만났다. 등산로를 따라 오르며 이른바 꽃산행이 시작되었다. 얼마 안 가서 이제 막 앙증맞게 피어난 분홍색 노루귀를 처음 만났다. 중턱쯤 올랐을까 낙엽수들이 드문드문 서 있고 낙엽이 두툼하게 덮여 있는 펑퍼짐한 둔덕에 이르렀다. 내가 지금까지 만나보지 못한 여러 가지 봄꽃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아직 햇볕이 쨍하지 않아서일까 꽃망울이 활짝 벌어지지 않았다. 온갖 봄꽃들이 가랑잎을 이불 삼아 덮고 있다가 뚫고 나와 있다. 샛노란 꽃잎을 반쯤 펴고 있는 복수초는 마치 위성 안테나 같다고나 할까. 햇빛이 아직 일러 꽃망울을 오므리고 있는 하얀 꿩의바람꽃도 지천이고, 복슬복슬한 솜털을 뒤집어쓰고 꽃망울을 펼치고 있는 분홍색 노루귀도 여기저기 피어 있다. 복수초, 꿩의바람꽃, 노루귀뿐이랴, 봄꽃을 한데 모아놓은 꽃밭 같다. 밟힐까 조심스레 옮겨 다니며 보는 대로 정성껏 카메라에 담았다. 개별꽃, 산괴불주머니, 달래, 현호색, 중의무릇, 흰털괭이눈 등은 나중에 도감을 보고 알아낸 이름들이다. 나는 형 덕분에 지금까지 만나보지 못한 다양한 봄꽃들을 한자리에서 한꺼번에 만나보는 행운을 잡았다.

▲ 만개한 청계산 복수초2

 

복수초(福壽草)라는 국명의 유래

▲ 만개한 천마산 복수초

‘복수초(福壽草)’라는 국명은 정태현 외 3인의 <조선식물향명집>(1939)에 처음 등장한 이래 이창복의 <대한식물도감>(1980), 이영노의 <한국식물도감>(1996), 이우철의 <한국식물명고>(1996) 등에도 나온다. 새봄을 맞아 눈 속에서 이른 시기에 노랗게 피는 꽃이 ‘복(福)을 누리며 장수(長壽)하게 하는 풀’이라는 뜻에서 명명된 것으로 보인다. 예로부터 전해온 우리나라 고유의 식물명은 아니다. 중국과 일본에서도 똑같은 ‘복수초’라는 한자명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정태현 등 우리나라 초기 식물학자들이 일본을 통하여 신학문을 수용한 사실을 감안할 때 ‘복수초’란 식물명은 일본에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박만규는 <우리나라식물명감>(1949)에서 ‘복수초’란 한자명 대신 ‘눈색이꽃’이라 하였다. 지역에 따라 ‘얼음새꽃’ 이라고도 부른다. 둘 다 순우리말 이름이다. 이른 봄 쌓인 눈을 녹이고 눈 속에서 꽃을 피우는 생태적 특성을 잘 살린 이름이라 복수초란 한자명보다 오히려 더 정감이 간다. 이밖에 설날 즈음에 핀다 하여 원일초(元日草), 눈 속에서 피는 연꽃 같다 하여 설련화(雪蓮花)라는 한자명도 있다. 동양에서의 복수초 꽃말은 ‘영원한 행복’이라고 한다.

▲ 3월 중순 만개한 천마산 복수초

 

복수초(福壽草)의 학명의 뜻

▲ 유럽의 복수초 'Adonis annua'

복수초의 국제적 통용어인 학명은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이다. 속명 ‘Adonis’는 사랑의 여신 ‘Afrodita’가 사랑한 그리스 신화 속 미소년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미소년 ‘Adonis’는 사냥을 나갔다가 멧돼지의 공격을 받아 피를 흘리고 죽는데 그 자리에서 붉은 꽃이 피어난다. 서양에서는 붉은색으로 피어난 이 꽃을 ‘Adonis’의 화신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일까, 유럽의 복수초(Adonis annua)는 붉은색이고 꽃말도 ‘슬픈 추억’이다. 종소명 ‘amurensis’는 ‘중국과 러시아의 아무르강 지역에 나는’이란 뜻이다. 결국 학명은 ‘아무르강 지역에 나는 그리스 신화 속 미소년의 화신처럼 예쁜 꽃’이란 뜻이다. 독일 식물학자 ‘Eduard August von Regel’과 ‘Gustav Ferdinand Johannes Radde’이 이런 뜻을 담아서 학명을 지은 것이다. 영명 ‘Amur adonis’도 학명과 비슷한 뜻이다. 중국에서는 노랗게 피는 꽃 모양이 마치 술잔 같다 하여 ‘측금잔화(側金盞花)’라고 하며 ‘복수초(福壽草), 빙량화(冰凉花), 정빙화(頂冰花)’라고도 부른다. 일본에서도 ‘フクジュソウ(후쿠쥬소, 福壽草)’라고 하며, 그 이름이 길하고 꽃을 보기 어려운 이른 시기에 피므로 많이 재배한다. 일본에서는 120여 품종이 개발되어 관상한다고 한다.

 

복수초의 생태적 특성

복수초는 산지 계곡 근처 낙엽수림 아래 다소 축축한 땅에서 여러 해 살아가는 키가 작은 풀꽃이다. 키 작은 풀 복수초가 키가 큰 나무들과 경쟁하여 조금도 유리할 수 없다. 서둘러 꽃을 피우고 결실해야 종족을 번창시킬 수 있다. 해서 나름의 전략이 있다. 몸에서 열을 발산하여 얼어붙은 땅을 녹이고 눈 속에서도 꽃망울을 밀어 올린다. 남들보다 먼저 부지런히 꽃을 피우는 것이다.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복수초는 실제 주변 온도보다 무려 5∼7℃의 차이를 낼 정도로 열을 발산한다고 한다. 복수초는 햇빛이 없을 땐 꽃잎을 오므렸다가 햇빛이 비칠 때 꽃잎을 활짝 열어젖힌다. 그리고 해를 좇아 움직이는 향일성 운동을 해서 꽃 안의 온도를 높인다. 꽃잎 안쪽은 햇볕으로 따뜻해져서 곤충들이 들어와 체온을 높이고 꽃가루와 꿀을 먹을 수 있기에 안성맞춤이다. 복수초는 이렇게 곤충과 상부상조함으로써 꽃가루받이를 하고 결실을 한다. 키 큰 나무들이 무성해지기 전에 수분을 마치고 열심히 광합성을 하여 뿌리에 양분을 갈무리하고 월동을 준비한다.

 

복수초의 형태적 특징

▲ 천마산의 복수초 꽃의 구조-많은 수술과 암술

미나리아재빗과에 속하는 복수초는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지 숲 속 다소 축축한 곳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흑갈색 잔뿌리가 많이 달린다. 원줄기는 꽃이 필 때는 5~15cm 정도이지만 다 자라면 30~40cm까지 된다. 보통 가지가 갈라지지 않지만 갈라지는 것도 더러 있다. 잎은 어긋나며 보통 3~4회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는 겹잎이다. 아래쪽에 달리는 잎자루는 길지만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남녘 제주도에서는 2월초부터 눈 속에서도 꽃이 피기 시작한다. 중부지역에서는 4월까지 피는데 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받침잎은 보통 8~9장,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조금 길며, 검은 갈색을 띤다. 꽃잎은 10~30장, 길이 1.4~2.0cm, 폭 5~7mm이고, 수술과 암술은 많다. 열매는 수과로 지름 1cm 정도의 둥근 모양, 꽃턱에 여러 개가 모여 달리는데 내 눈엔 옛날 무기 철퇴(鐵槌) 같아 보인다. 겉에 잔털이 많이 나며, 6월경에 익는다.

▲ 천마산에서 만난 복수초 쌍둥이

 

▲ 천마산의 복수초 열매

 

복수초와 유사한 우리나라 복수초속 식물들

▲ 가지복수초(출전;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복수초 외에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미나리아재빗과 복수초속에는 세복수초, 가지복수초, 개복수초, 애기복수초 등이 있다. 2월 초부터 잎과 꽃이 함께 피기 시작하는 세복수초는 복수초와 비슷하지만 잎몸이 보다 가늘게 갈라져 붙여진 이름이다. 제주도를 비롯하여 남해안과 서해안의 산지 숲 속에서 자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꽃받침잎이 보통 5장으로 복수초보다 적고, 폭이 길이보다 넓다. 또한 줄기에 달린 잎자루 길이가 복수초보다 매우 짧지만, 꽃의 지름은 복수초보다 약간 큰 특징이 있어 구별된다. 가지복수초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는데 복수초와 달리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줄기에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없고, 꽃이 더 많이 달리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러시아, 중국, 일본에도 분포한다. 또한 개복수초가 있는데 학자들의 최근 국내 복수초속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가지복수초에 통합하는 추세이다. 애기복수초는 우리나라 중부 이북 백두대간의 표고 약 800m 이상 되는 고산지역에 자라는데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특징으로 구분된다.

 

복수초의 쓰임새

복수초는 원예적 가치가 높은 소중한 우리나라 생물자원이다. 꽃을 보기 어려운 이른 봄에 피기 때문에 분재로도 인기가 높다. 그래서일까 갈수록 자생지에서 복수초 꽃을 보기가 힘들어진다. 씨를 받아 심어도 발아율이 좋다고 한다. 5월 말경 씨를 받아 낙엽수 밑에 파종하면 이듬해 3월 말경이면 발아한다. 3년 후 옮겨 심고, 다시 3년이 지나야 꽃이 핀다고 하니 꽃을 보기까지 다소 오랜 시일이 걸린다. 직접 곁에 두고 가꾸며 자라는 모습을 보는 재미도 쏠쏠할 터이다. 한방에서도 복수초를 이용한다. 뿌리가 달린 전초를 생약명으로 ‘복수초’라 한다. 꽃이 필 때 뿌리째 뽑아 말린 것을 달여 마시면 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복수초 피는 계절의 봄은 오고 있는데

▲ 만개한 천마산 복수초3

봄이 오고 있다. 황금빛 복수초가 피고 있다. 얼어붙은 땅을 뚫고 나와 쌓인 눈 녹이고 피고 있다. 어김없이 새봄이 오고 있건만 봄 같지 않다. 우리 모두 너나없이 손에 손잡고 화창한 새봄을 맞이할 날이 언제 올까?

 

편집 : 김미경 편집위원

이호균 주주통신원  lee1228hg@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