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바꾼 범고래 틸리쿰의 분노

유럽에 이어 달걀에 살충제 파동으로 전국에서 달걀을 전수조사해보니, 친환경이라는 마크가 찍힌 곳에서도 살충제가 나와  소비자들의 신뢰가 땅에 떨어졌습니다.


정부 농업과 관련한 관계부서에서 일하던 사람들이 퇴직한 ‘농피아’들이 친환경 인증하는 단체로 들어가 자신들과 가까운 사람들이 운영하는 ‘양계장’들에 친환경마크를 남발하여 그렇다지요. 그래서 공장식 좁은 틀에 가둬 가축을 키우면 살충제를 뿌릴 수밖에 없다며, 방목하는 축산, 자유롭게 뛰어다니며 자신들의 본성대로 살아가는 농장을 ‘동물복지 농장’이라고 부르지요. 이들 동물복지 농장에서 생산된 가격은 일반 공장식 좁은 틀에 키우는 닭이 낳은 달걀보다 조금 높지만, 이젠 동물복지가 유지되는 농장에서 생산되는 소비시대로 돌아서는 것 같아요.

 3살 때 아이슬란드 동부 해안에서 포획되었다가  수족관에서 33년을 살아간 범고래 틸리쿰은 세 사람을 살인했어요. 틸리쿰은 포획 이후 캐나다의 수족관과 미국 세계 최대의 수족관인 시월드 올란 등 수족관에서 갇혀서 묘기쇼와 인공수정하기 위한 정자공급용으로 살다 33년간의 수족관 생활을 2017년 1월 죽음으로써 벗어날 수 있었는데요.

수족관에서 훈련받으면서 틸리쿰은 다른 범고래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하기도 했다고 해요. 훈련과정에서 틸리쿰의 잘못으로 함께 먹이를 받지 못하게 되자 동료 범고래들이 틸리쿰을 괴롭힌 것이었어요. 틸리쿰이 처음 사람을 죽인 것은 1991년 관람객들 보는 앞이었어요. 틸리쿰은 쇼 도중에 조련사의 발을 잡아 물속으로 들어갔고, 결국 물 밖으로 내 보내주지 않았어요. 그로부터 8년 후에도  고래와 소통하고 싶어 몰래 수족관으로 숨어들어갔던 어떤 남자도 틸리쿰과 함께 죽어서 발견되었는데요. 그를 부검할 결과 사체에 난 상처는 살아있을 때뿐만 아니라, 죽은 후에도 생긴 것이 있었다고 해요. 죽은 자에게까지 상처를 낼 정도로 사람에 대한 분노가 엄청났던 것이지요.

세 번째 인간에 대한 공격은 2010년 미국의 시월드 올란도에서 조련사에게 향했어요.
그날 틸리쿰은 지느러미를 흔드는 묘기를 보인 직후 먹이를 받기 위해 던에게 갔어요. 하지만 던은 앞서 호루라기를 분 후, 먹이를 이미 나눠준 상태였다고 해요. 다른 조련사들은 틴리쿰이 던의 호루라기 소리를 듣지 못했을 것이라고 추정했지만 던은 틸리쿰에게 먹이를 주지 않았지요. 이에 화가 난 틸리쿰이 조련사를 공격해 숨지게 했어요.

바다에서 엄마와 자유롭게 유영하던 틸리쿰이 인간에게 포획되어 좁은 수족관에서  살며 느꼈을 분노와 좌절감은 어떠했을까요?

세 사람을 살인한 틸리쿰이 이후 더 살 수 있었던 것은 수족관 측에서 범고래의 정자를 번식시키면 돈이 되기 때문이었다고 하는데요.


2013년 다큐멘터리 영화 ‘블랙피쉬’가 상영되면서 틸리쿰 사건이 재조명되고, ‘돈을 벌기 위한’ 돌고래 전시공연 산업에 대한 여론이 가중되면서 결국 세계 최대의 미국 시월드도 올해 범고래 번식 중단 및 점진적 전시공연폐지를 선언했다고 해요.
돈이 되는 것 앞에서 동물을 학대하고, 더 많은 돈이 되는 것을 위해 살충제를 뿌리는 일, 인간이 해온 일입니다. 환경과 공존하면서 살기위해서는 인간이 육식을 조금 덜 먹고, 좀 더 불편해야 가능한 게 아닐까 싶어집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교육연구소 배움 갈등전환지원센터 서진희)

편집 : 심창식 편집위원

서진희 주주통신원  sjhknca@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