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에서 들려주는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 60, 61일째

‘하얀 도시’. 베오그라드의 의미다. 하얀 도시 첫인상은 검고, 어둡고, 칙칙했다. 다뉴브 강에서 올라온 우윳빛 안개에 휩싸인 베오그라드는 때마침 동터오는 태양빛에 반짝반짝 빛났다. 베일을 쓴 신부 모습처럼 신비롭고 아름다웠다. 그리스와 불가리아를 넘어 노도와 같이 진격하던 오스만 제국 군대는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 이르러 넋을 잃었다. 새벽녘 기습공격을 감행할 무렵 마력의 아름다움에 군인들은 전의를 상실하고 멈칫했다.

지나가는 나라마다 도나우 강을 만나니 이젠 도나우 강이 오래된 친구인양 반갑고 정감이 간다. 내가 다시 도나우 강변을 달릴 때는 정오 무렵이었다. 강 물결이 가을 햇살을 받아 잠자리 날개처럼 은빛으로 찬란하게 빛나는 시각, 가족과 연인들이 강 언덕을 걷고 있었다. 중부 유럽에서 수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던 낭만의 도나우 강 흐름은 여기서도 생기발랄하건만 이곳의 역사의 흐름은 어둠침침하니 안타깝기만 하다. 이곳에는 아직도 크고 작은 민족 간의 분쟁이 끊이지 않는데 배후에는 언제나 국가 이기주의 늪에 빠진 강대국들이 있다.

나는 이곳까지 오면서 세르비아 사람들의 정감 넘치는 유혹에 넘어가 정분이 난 상태라 그런지, 검고 칙칙한 가운데서도 그들의 희망을 보았다. 그들이 얼마나 평화를 흠모하는지 보았다. 상대방이 나를 좋아하면 나도 상대방이 좋아지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상대방이 하나를 주면 열을 주고픈 건 내 마음이다. 하얀 담배연기 속 식당에서 식사를 해야 하는 걸 각오해야 하는 것만이 ‘하얀 도시’의 이미지와 어울린다면 어울린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도 들판을 달리는데 이제 겨우 젖을 뗐을 정도의 강아지 두 마리가 나타나 나를 또 쫓아오고 있었다. 이번엔 정이 들기 전에 단번에 쫓아버렸는데 영 마음이 편치 않다. 들판의 개들은 유난히 크다. 거기에도 약육강식이 존재하여 강하고 큰 놈들만 살아남고 힘없는 놈들은 도태된다고 한다. 이들도 어느 외교관 부인이 야생 개에게 물리는 사건이 일어나 외교적인 문제로 비화돼 70% 정도를 없앴다고 한다.

베오그라드는 도나우 강과 사바 강이 만나는 두물머리에 있으며 북쪽으로는 보이보디나 평원과 접하고 있고, 남쪽으로는 슈마디아 언덕과 접하고 있다. 이 ‘하얀 도시’는 자존심이 강한 발칸의 고도이며, 수륙교통의 요지일 뿐 아니라 전략적 요충지로 옛 유고연방 수도이기도 했었다. 이미 기원전 4세기부터 켈트족이 요새와 도시를 건설했고, 기원전 1세기에 이곳을 점령한 로마 제국은 수상요새를 세웠다.

▲ 2017년10월 31일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서 Knez Petrol(Vlaško polje bb)까지 달리면서

베오그라드는 지난 200년 동안 40번이나 파괴되고 다시 건설된 비운의 역사를 가진 도시다. 아마 세계에서 이보다 더 고난을 당한 도시는 없을 것이다. 시내 곳곳에 아직도 파괴된 건물들이 참혹한 전쟁의 상처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대사관 직원들과 점심 식사를 하러 가면서 본 폭격당한 옛 중국 대사관이 이를 웅변하고 있다. 당시 뉴스에는 미군이 주축이 된 나토군의 오폭이라고 했지만, 당시 중국 대사관에는 코소보 전쟁 당시 참전한 미 공군 F117A 스텔스 전폭기 잔해를 입수해 보관하고 있었고, 중국의 스텔스기인 젠 14는 그 잔해를 입수해 연구한 결과라는 홍콩 일간지의 보도가 나중에 있었다.

▲ 미군의 오폭으로 전파된 줄국대사관 자리

세르비아의 가장 큰 실수는 보스니아가 유고 연방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한 침공이었다. 78일 동안 나토군은 크루즈미사일로 정밀폭격을 가했다. 그 악몽 같은 나날동안 시민들은 방공호에서 지내야했다. 대부분의 사회기반 시설은 파괴되었고 3천 명 이상이 사망했다. 나토의 지상군이 투입되자 세르비아는 항복하고 코소보까지 내주어야했다. 이제 베오그라드 시내는 한창 공사 중이라 길마다 차가 막히고 보행자들은 여러 가지 위험에 노출되어 있지만 전쟁을 겪은 사람들에게 그건 아무 것도 아니어서 아무도 불평을 하는 사람은 없는 것 같다.

▲  2017년 10월 30일 베오그라드에서 서기관들과 함께

세르비아 대사관에서 마련해준 점심오찬에 갔다. 한국대사는 일정이 있어서 못 나왔고 조상훈, 최종희 두 서기관과 평통위원 신인근씨와 좋은 자리를 가졌다. 밥 한 끼 먹는 일이 사소한 일인 것 같지만, 밥 한 끼 먹는 일은 대단한 의미가 있는 일이다. 귀한 시간 내어야하고 그럴 마음을 가지려면 정성이 필요하다. 그것으로 한국인이라는 동지적 자부심을 갖게 한다. 더더욱 내가 하는 일의 무게감도 느끼게 한다.

▲ 성 사바 성당

오후 남는 시간에 잠시 성 사바 성당에 들렀다. 성 사바 성당은 세계 최대의 정교회이다. 세르비아 정교회의 창시자이자 초대 대주교인 성 사바를 모시기 위해 지어졌다. 세르비아 왕국의 스테판 네마냐 왕은 비잔틴 제국의 종교를 받아들였고, 그의 아들 사바 네마니치(성 사바)는 정교의 기틀을 마련하고 세르비아 독립 정교회를 수립해 세르비아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안에 들어가 보니 내부는 수리 중이라 어수선했다.

로마제국은 동로마와 서로마로 분열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서로마는 게르만족에게 멸망을 당했다. 동로마는 15세기에 오스만 제국에게 멸망을 당할 때까지 동유럽에서 번창하였다. 이때 기독교도 로마가톨릭과 동방정교로 나뉘어졌다. 동유럽 사람들은 동방정교를 중심으로 자신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다 코소보에서 완강하게 버티던 세르비아인과 보스니아인으로 구성된 연합군이 오스만 제국에게 패하고 나서 발칸 반도는 오스만 제국의 식민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사실 아름다운 자연 경관이나 문화유산을 찾아다니는 관광객에게 별로 매력적이지 못한 도시가 베오그라드이다. 베오그라드의 아침 안개가 그렇게 아름답다고 한들 그것을 보기 위해 먼 길을 여행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평화의 가치가 얼마나 소중하고, 전쟁의 상흔이 얼마나 쓰라린가를 보고, 또 따뜻한 인정을 만나고 싶거든 베오그라드로 오라! 베오그라드가 당신을 반가이 맞을 것이다. 여행이 끝나고 여행 가방을 정리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경관이 좋은 관광지나 문화유산이 아니라 사람들과 만나서 주고받는 눈 맞춤과 섬세한 감정의 교류가 아닐까.

▲ 2017년10월 31일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서 Knez Petrol(Vlaško polje bb)까지 달리면서 만난 사람들

흔히 아름다움은 피상적인 것이라고 말하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보이지 않고 느껴지지 않고 만져지지 않는 감동이 얼마나 많은가. 세르비아에서는 일기예보에 없던 천둥번개가 몰아치듯이 느닷없이 만나는 기쁨이 있다. 아름다움은 늘 가슴 설레는 경이다. 사람들과 눈 맞추고 마음 맞추었을 때 맺어지는 영롱한 진주알 같은 감정의 조각들이 그렇다.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것은 상상력과 아름다움과 모험이다.

▲ 2017년10월 31일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서 Knez Petrol(Vlaško polje bb)까지 달리면서 만난 이정표

 

▲ 2017년 9월 1일 네델란드 헤이그에서 10월 31일 세르비아 Knez Petrol, Vlaško polje bb, 까지 달린 길(누적 최소거리 약 2327.45km)

* 평화마라톤에 대해 더 자세한 소식을 알고 싶으면 공식카페 (http://cafe.daum.net/eurasiamarathon)와 공식 페이스북 (http://facebook.com/eurasiamarathon), 강명구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kara.runner)에서 확인 가능하다. 다음카카오의 스토리펀딩(https://storyfunding.kakao.com/project/18063)과 유라시안마라톤조직위 공식후원계좌(신한은행 110-480-277370/이창복 상임대표)로도 후원할 수 있다. 

[편집자 주] 강명구 시민통신원은 2017년 9월 1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1년 2개월간 16개국 16,000km를 달리는 유라시아대륙횡단평화마라톤을 시작했다. 그는 2년 전 2015년, '남북평화통일' 배너를 달고 아시아인 최초로 미대륙 5,200km를 단독 횡단한 바 있다. 이후 남한일주마라톤, 네팔지진피해자돕기 마라톤, 강정에서 광화문까지 평화마라톤을 완주했다. <한겨레:온>은 강명구 통신원이 유라시아대륙횡단평화마라톤을 달리면서 보내주는 글과 이와 관련된 글을 그가 마라톤을 완주하는 날까지 '[특집]강명구의 유라시안 평화마라톤'코너에 실을 계획이다.

편집 : 김미경 편집위원

#강명구선수유라시아평화마라톤 61일째

강명구 시민통신원  myongkukang@hotmail.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