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에서 들려주는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 309~313일

“달 밝은 밤에 고향 길을 바라보니 뜬 구름은 너울너울 그곳으로 돌아가네

그 구름 편에 편지 한 장 부쳐보지만 바람이 거세어 돌아보지도 않네

내 나라는 하늘 끝 북쪽에 있고 타국은 서쪽 끝에 있네

따뜻한 남쪽나라에는 기러기 오지 않으니 누가 계림으로 가 내 소식을 전할까?“

이 시는 혜초가 남천축국에 있는 산속 절을 바라보며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담아서 쓴 왕오천축국전에 남긴 5개의 시 중 하나다. 이 시는 단순히 시가 아니다. 이 시가 그의 여권이 되었고 사후 1300여 년 지난 후 한국국민들에게 보내는 부고가 되었다. 이 시가 그의 사후 그의 국적을 찾아주었고 나와 우리 국민들 가슴 속에 부활하여 혜초라는 대선배를 가진 자긍심을 갖게 해주었다.

깐쑤 성의 첫 도시 과조우에 들어왔는데 같은 중국이라도 분위기가 확 바뀌었다. 아직도 거친 사막이 끝난 건 아니지만 독립투쟁을 하는 사람과 그것을 억누르려는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신장 위구르와는 달라도 많이 다르다. 호텔입구에 들어갈 때 비행기 타고 출국할 때와 같은 검문도 사라지고 자동차 주유소나 공원 철조망도 없다. 무장한 경찰특공대 모습도 보이지 않는다. 이제 조금 답답하던 가슴이 펴진다. 이제 드넓은 중국의 일그러진 모습이 아니라 제대로 된 중국의 모습이 보고 싶다.

▲ 과저우의 모습

깐쑤 성, 이제 정말 우리 앞마당 같은 기분이 든다. 혜초의 향기가 서린 땅이다. 어린 나이에 먼 길을 떠나 지금 내가 감내하는 고통과 인내로는 비교도 하기 힘든 고초를 헤쳐 나갔을 그의 담대함을 이곳에서 만난다. 그가 뼈에 사무치게 꿈꾸었던 평화로운 세상을 바람결에 만난다. 소설 ‘혜초’에서 작가 김탁한은 같은 시대를 살았고, 같은 지역에 스쳐지나가는 인연이 있었으리란 상상만으로 고선지 장군과 혜초의 만남을 설정하면서 우리민족의 활동이 그토록 광활했음을 보여준다.

문무대왕릉 비문에는 그의 선조라 밝힌 김일제의 고향이 武威(무위)라 말하고 있다. 문무대왕릉 비문의 기록이 맞다면, 그 선조의 原籍(원적)은 깐쑤 성인 것이다. 어떤 역사학자는 광대토대왕의 활동무대가 이곳까지 이르렀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주몽의 어머니 유화부인이 바로 이곳 깐쑤 성 장량현 사람이다. 이곳에서 불리지를 만나 결혼하여 주몽을 낳았다.

혜초가 바닷길로 인도에 갔다가 불경을 가지고 중앙아시아를 지나 깐수에 도착한 것은 727년이다. 신라 승려이자 모험가이며 이 땅에 평화의 구원을 이루고자 했던 혜초는 모든 것을 묻어버리는 타클라마칸 사막 모래바람 속에 그의 꿈과 함께 1300여 년 동안 묻혔던 인물이다. 그는 자신의 모든 것을 신비 속에 감추고 긴 지구여행을 마쳤지만 1908년 프랑스인 동양학자 폴 펠리오가 중국 깐쑤성의 둔황 17굴, 61굴에서 "왕오천축국전"을 발견하면서 극적으로 부활한 인물이다.

발견될 당시 두루마리 필사본은 제목은 물론 작가 이름조차 낡아 떨어진 상태였다고 한다. 7년 후 왕오천축국전을 쓴 혜초가 신라 사람이라고 밝힌 사람은 일본 학자 다카구스 준지로였다. 그는 이 시에 나타난 계림에 주목했다. 혜초는 지금 중국에서 심혈을 기울이는 일대일로의 육상실크로드와 해상실크로드를 이미 1400여 년 전 모두 거쳐 생존한 유일한 인물이다.

혜초는 704년 신라에서 태어나 16세에 지금의 평택에서 바랑 하나 둘러멘 채 중국 광저우로 건너간다. 당시 신라는 20세 전 후 남자들 중에서 잘생기고 말 잘하는 사람을 화랑으로 선발하여 명산과 대천을 찾아다니며 심신을 단련하게 하였다. 그 중에서 다시 선발하여 원행(遠行: 세계여행)을 명하였다. 세계여행의 먼 길을 떠나는 원행은 천부도의 수신(修身)이며 옛 고조선 삼한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제도였다.

그는 거친 파도가 으르렁 거리는 바다를 건너고 이글거리는 사막의 뜨거운 햇살과 파미르의 혹한 추위를 넘는다. 밀려오는 고독과 고향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도적떼는 메치고 낯선 여인의 유혹은 뿌리치면서 바다 건너엔 무엇이 있을까? 아득한 설산 너머엔 어떤 세상이 펼쳐져 있을까? 허기진 호기심을 채우기 위해 목숨을 건 여행을 떠났다. 그 호기심을 ‘왕오천축국전’에 오롯이 담았다. 거기에 꿈꾸는 자의 갈망, 세상에 대한 호기심, 더 나의 미래의 희망을 담았다. 그는 구도승이기 이전에 나에겐 모험을 향해가는 선배였고 꿈과 영감을 가져다 준 선지자였다.

세상을 주유하며 다니는 것만큼 젊은이들에게 산교육이 없다는 것을 당시 신라인들을 알고 있었다. 스님들을 포함한 많은 젊은이들이 당나라로 유학 왔다. 소설 ‘혜초’에서 한 구절이 이를 잘 설명해준다. “저는 머물러 경전을 파기보다 그 경전이 만들어진 자리를 손과 발과 몸으로 만지고 싶었습니다. 언어가 지닌 미망을 걷어내고 깨달음 중에서도 가장 크고 아름다운 깨달음의 자리에 있는 날!”

▲ 7월 6일 간쑤성 류웬前方 40km지점에서 츨발하여 간쑤성과 과저우를 지나 9일 Bulongjixiang 布隆吉乡 전방까지 달리면서

우리 상고시대 앞마당이었을 이 땅을 달리는 기분은 참으로 묘하기 그지없다. 이제 무력으로 옛 고토를 회복할 수 없다. 우리 모두 상상의 날개를 활짝 펼쳐 창의력을 발휘하고 평화의 불길을 온 세상에 확장시켜나가는 일이 그래서 중요하다. 우리 활동영역을 넓게 펼쳐 문화의 힘을 발휘 하는 것이다.

혜초는 장안에 다시 돌아온 후 다시 스승 금강지와 함께 밀교 경전을 연구하며 여생을 보내다가 787년 입적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왜 귀국 하지 않고 이곳에서 입적했을까?’란 의문이 든다. 혜초가 귀국하지 않은 것이 못내 안타깝다. 그가 귀국해서 젊은 화랑들에게 그가 듣고 보고 만난 사람들과 아름답고 넓은 세상과, 역경과 공포와 눈물의 이야기를 과장을 더해 들려주었다면 당시 우리 젊은이들은 더 많은 꿈을 크게 꾸었을 텐데! 그러면 그 피 끓는 젊은이들이 한반도에만 머물러 있지 않았을 텐데!

▲ 2018 7월 6일에서 9일까지 달리면서 만난 이정표

 

▲ 2017년 9월 1일 네델란드 헤이그에서 2018년 7월 9일 Bulongjixiang 布隆吉乡 전방까지(최소 누적 거리 10,616km, 중국 누적거리 1,678km)

 

* 평화마라톤에 대해 더 자세한 소식을 알고 싶으면 공식카페 (http://cafe.daum.net/eurasiamarathon)와 공식 페이스북 (http://facebook.com/eurasiamarathon), 강명구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kara.runner)에서 확인 가능하다. 다음카카오의 스토리펀딩(https://storyfunding.kakao.com/project/18063)과 유라시안마라톤조직위 공식후원계좌(신한은행 110-480-277370/이창복 상임대표)로도 후원할 수 있다.

[편집자 주] 강명구 시민통신원은 2017년 9월 1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1년 2개월간 16개국 16,000km를 달리는 유라시아대륙횡단평화마라톤을 시작했다. 그는 2년 전 2015년, '남북평화통일' 배너를 달고 아시아인 최초로 미대륙 5,200km를 단독 횡단한 바 있다. 이후 남한일주마라톤, 네팔지진피해자돕기 마라톤, 강정에서 광화문까지 평화마라톤을 완주했다. <한겨레:온>은 강명구 통신원이 유라시아대륙횡단평화마라톤을 달리면서 보내주는 글과 이와 관련된 글을 그가 마라톤을 완주하는 날까지 '[특집]강명구의 유라시안 평화마라톤'코너에 실을 계획이다.

사진 : 강명구, 현지 동반자

편집 : 김미경 편집위원, 심창식 편집위원

강명구 주주통신원  myongkukang@hotmail.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