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국선언] 언론학자 420명, 국어교사 2511명, 동덕여대생 1500명

2024-12-12     한겨레

1. “포고령 속 광기의 언어 메아리 쳐…탄핵하라” 언론학자 420명 시국선언

전국 언론학자 420명이 내란죄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시국선언 행렬에 동참했다. 이들은 11일 발표한 시국선언문에서 “지난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포고령에 쓰인 광기의 언어가 아직도 메아리치고 있다. ‘파렴치한 종북 반국가 ...
2024-12-11 18:08:30
 // 
박강수 기자 turner@hani.co.kr

언론학자 시국선언
 

참담과 비통이라는 시계의 초침이 흐르고 있다. 12월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계엄사 포고령에 쓰인 광기의 언어가 아직도 메아리치고 있다. “파렴치한 종북 반국가 세력”과 “패악질을 일삼는 만국의 원흉 반국가 세력을 반드시 척결하겠다”는 파시즘의 위협이 대통령 입에서 나왔다. 계엄사 포고령에서는 헌법 제21조가 보장한 말과 행동할 자유가 모든 정치 활동의 금지, 가짜뉴스·여론조작·허위선동의 금지, 모든 언론과 출판의 계엄사 통제 아래 ‘처단’ 대상이 되었다. 내란이라 부를 이 사태는 국회의 대통령 탄핵소추안 폐기, 어떤 법적 근거도 없는 국정 권한 위임이라는 혼돈의 수렁으로 빠져들고 있다.
 

언론과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양태와 제도를 연구해 온 학자들은 이 폭력의 언어에 맞서 반성과 성찰의 물음을 우리 자신에게 던진다. 민주 공화정의 시민과 언론의 규범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면서 이 사태에 침묵하지 않았는지, 지난 2년 반 동안 언론과 표현의 자유가 억압받고 혐오와 차별의 언어가 만연할 때 관조하지 않았는지, 연구와 강의 현장에서 학문의 자율성을 얼마나 지켰는지 돌아본다. 이제 한국 사회 지식인이라는 우리의 지위는 관념의 허공에서 행동의 지평으로 내려올 때다. 몇시간을 간격으로 쏟아지는 속보와 단독의 홍수 속에서 분노의 증폭을 넘어 해법을 모색할 언론의 책임을 촉구하는 일, 시민의 표현과 행동의 자유를 침해할 모든 정치권력에 우리의 말과 글로 경고하는 일, 적대와 분열의 정치가 방치해온 미디어 법제를 개혁하여 더 나은 공론장을 만드는 일이 그것이다.
 

우리는 성찰과 책임의 약속과 함께 아래 요구를 밝힌다.

하나. 국회는 즉시 대통령 탄핵 소추안을 의결하라. 지난 7일 탄핵안 폐기는 한국 민주주의와 정치 체제의 명백한 한계를 보여주었다. 정권 교체의 욕망, 정당 붕괴의 공포, 국회의원 개인의 안위보다 더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모든 시민은 알고 있다.

하나. 어떠한 매체 유형을 막론하고 모든 언론은 정확한 보도와 해법을 모색할 의제 설정에 충실하라. 정치권의 무수한 말들과 추측을 확산시키는 속보와 단독 경쟁은 지금의 위기에서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 언론의 신뢰를 회복하고 책임을 증명할 때가 지금이다. 우리는 지금의 사태가 민주주의 제도의 붕괴가 아니라 더 나은 민주주의를 가능케 할 근원적 민주주의의 시간임을 알고 있다. 광장과 일상에서 언론학 연구자들은 이 시간에 기꺼이 함께할 것이다.

 

2024년 12월11일.

2. 전국국어교사 2511명 “윤, 위선과 독선의 언어로 국민 기만…퇴진 촉구”

(사)전국국어교사모임(전국모) 소속 전국 국어 교사 2511명이 12월12일 시국선언문을 내어, “윤석열 퇴진 및 내란 혐의자 엄정 수사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전국모는 “국민을 처단하겠다는 계엄령 선포에서 드러난 폭언과 폭거, 계엄령 해제 이후에도 위선과 독선의...
2024-12-12 10:00:14
 // 
김미영 기자 kimmy@hani.co.kr

사진 출처 : 한겨레신문

 

3. “윤석열과 학교, 두 번의 민주주의 파괴 목도”…동덕여대 1500명 시국선언동덕여대 학생 1500명이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시국선언을 11일 발표했다. 이들은 ‘민주 동덕, 학교에서 거리까지 민주주의를 부르짖으며’라는 제목의 선언문에서 “2024년 12월3일, 윤석열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며 국민의 주권을 훼손했고, 동시에 학교는...  2024-12-12 13:39:11 // 김효실 기자 trans@hani.co.kr

옮긴 이 : 김미경 객원편집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