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1월 28일 오후  경복궁 돌담길을  걸었다.  찾아간 그곳에 아늑한  옛날 기와집이 있었는데  '창신동 실험실'이란 안내판이 붙어 있었다. 벽에는 그림 작품이 놓여있었다. 대문 안으로 들어가보니 마당에는 감나무 한그루가 서 있었다, 나무에는 감이  먹음직 스럽게 달려 있었고 내부 공간에는 갤러리 전시장으로 단장되어 있었다.

창신동 실험실전경 이다.
                                                                              창신동 실험실전경 이다.

현관문을 들어서면  작품들이 벽에 걸려 있다. 이번 전시회는 11월 27일 부터 12월 3일까지 '창신동 실험실'에서 4.16 세월호 유가족 어머니들이 만든 작품이 전시된다고 한다. 작품 하나 하나 정성이 들어 있다. 손수 꽃잎을 따다 손으로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만든 작품들이다.  어머니들은 오랜 세월 동안 아이들만을 생각하며 눈물로 밤을 지새웠다. 세월호 유가족 어머니들은 아이들을 가슴에  품고 '꽃 누르미 동아리'와  '꽃마중 모임'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  참가한  어머니들은 다음과 같다. 학생 이름(어머니 이름)

: 김건우 (김미나),  이재욱 (홍영미),  최성호 (엄소영),   백지숙 (이이순) ,  편다인 (김미영),  정차웅 (김연실),  양정원 (문석연 ) 생존 ,  그림 작품 이다.

세월호 유가족 어머니 들은 꽃 마중 동아리 회원들이다.
                                                         세월호 유가족 어머니 들은 꽃 마중 동아리 회원들이다.

< 엄마들의 이야기>

엄마는 6년이란  긴 시간을 보내면서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내 아이의 이야기를 실컷 하고, 맛있는 밥도 먹고, 그러다 누군가 울면 같이 울었다, 아이들을 학교 보내놓고 엄마들끼리 모여 아이들 흉도 보고, 칭찬도 하는 그런 소소함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 적도 었다. 그 많은 전시를 할 수 있었던 것도 함께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지치고 힘들 때 안아주고 버티게 해준 쉼터 같은 울타리는 내게 '꽃 마중' 같은 그러한 존재였다.

                                                                             세월호 바다 한가운데 맘춰 서있다.
                                                                             세월호 바다 한가운데 맘춰 서있다.

엄마들은 '꽃 마중' 시간에  내 아이를 만나는 것 같았다. 이제 아무것도 해 줄 수  없다고 생각했을 때 나비를 만들어서  위로 하고  꽃밥을 만들어 줄 수 있던 시간이 있어 견뎌냈다.  진상규명을 위해 이리 뛰고 저리 뛰다가  지쳤을 때는 '꽃 마중'에 숨기도  했다.  '꽃 누르미'로 다른 가족들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스스로 위로하기도 했다.

                                                                                       그림 작품들
                                                                                       그림 작품들

엄마들은 언제나 그랬듯이 아무 생각이 없었다. '꽃마중'에  함께 한  계기는 여기 사람들이 좋아서였다. 꽃으로 피어나는 새로운 세상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곳에서 숨을  쉴 수 있게 되었다. 아품도 갈등도 기쁨도  함께 겪으며 지나왔고 ,그 안에서 내가 많이 자란 것 같았다. 하루하루를  잘 버티고 다시 살 수 있게 만들어준 치유의 공간인 '꽃마중'은  내게 감사함이 가득한  곳이다.

                                                           세월호 유가족 어머니들이 손수 만든 작품들이다.
                                                           세월호 유가족 어머니들이 손수 만든 작품들이다.

엄마들은  슬프고도 아름다운' 꽃 마중' 떠난 아이들을 통해  엄마들과 선생님을 만나고, 그 아이들을 다시 만나는 곳, 다시는 쓸모 없을 것 같은 잎과 줄기가  멋진 작품으로 부활하는 것을 보면 늘 마음이 뭉클하였다. 죽을 듯한 고통 속에서 다시 생명이  피어오르는 모습을 지켜보며 함께하는 곳이 바로 '꽃 마중' 이었다.

                                                                 세월호 유가족 어머나들이 만든 그림 작품들이 걸려 있다.
                                                                 세월호 유가족 어머나들이 만든 그림 작품들이 걸려 있다.

한 시민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팔짱만 끼고 곁눈질만 하던 무관심한 시민, 참사 후 6개월을 분노와 무기력감에 빠져 허우적 거렸다, 꽃잎을 들고 엄마들을 찾아가기까지 용기가 필요했지만, 무엇이라도 하지 않으면 살아낼 자신이 없었다. 아이들이 돌아오기로 한 금요일마다 안산으로 간다. 그렇게 6년이 지났다. 몸시 우울했고 죽음을 자주 생각하던 때 꽃잎을 만나 버텨왔던 20년 전 기억이 새삼스럽다. 꽃으로 무엇을? 다만 이렇게 시간을 견뎌냈을 뿐이다.

                                                                                          나무 잎으로 손수만든 작품이다.
                                                                                          나무 잎으로 손수만든 작품이다.

'꽃 마중'은 2014년 늦은 가을,  이름 없이 모였던 세월호 유가족의  '꽃누르미' 모임이다. 그 무렵 엄마들의 공방 꾸리는 일에 함께 했고 2년이 지나 뒤늦게 이름을 만들었다. 희생 학생 250명을 기억할 수 있도록 시민들과 만나는 일을 해왔으며, 느리지만  멈추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창가로 빛이들어와 작픔을 빛내주고 있다.
                                                                                      창가로 빛이들어와 작픔을 빛내주고 있다.

편집 : 김태평 편집위원

권용동 주주통신원  kownyongdong@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