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비양도의 여름 식물들

<해녀콩> 비양도에 자생하고 있는 콩과식물로서 덩굴식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해안가에서만 자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 대만, 일본 등 남방 식물로서 해류를 타고 제주도에 와서 뿌리를 내린 식물로 추정된다.
<해녀콩> 비양도에 자생하고 있는 콩과식물로서 덩굴식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해안가에서만 자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 대만, 일본 등 남방 식물로서 해류를 타고 제주도에 와서 뿌리를 내린 식물로 추정된다.

 

나는 지난 6월 말 제주 한림읍에 자리 잡고 있는 비양도에서 처음으로 <해녀콩>이라는 식물을 만났다. 비양도 바닷가를 걸으면서 화산도인 비양도의 풍광을 감상하면서 한편으로는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식물들을 찾고 살폈다. 대체로 이미 보아왔던 식물들이지만, 처음으로 보는 신기한 식물이 있는 것이 아닌가? 덩굴은 바닥을 기고 있는데, 잎은 콩과 식물인 <칡>과 같이 삼출엽을 하고 있었다. 물론 작물로 재배하고 있는 콩이나 팥 등 콩과 식물의 특징은 잎이 삼출엽이다. 그런데 덩굴식물이면서 잎이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콩과 식물인 콩이나 팥, 야생하는 <여우콩>, <새콩>, <새팥> 등보다 훨씬 커서 칡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었다.

<해녀콩> 콩과식물이기 때문에 삼출엽의 잎을 가지고 있다. 독성이 있어서 옛날 제주에서는 낙태를 할 때 이 풀을 다려먹었다고 전해진다.
<해녀콩> 콩과식물이기 때문에 삼출엽의 잎을 가지고 있다. 독성이 있어서 옛날 제주에서는 낙태를 할 때 이 풀을 다려먹었다고 전해진다.

 

나는 속으로 ‘이 식물은 콩과 식물일 것이다.’라고 생각을 하고 집에 와서 식물도감을 뒤져보았더니 <해녀콩>이라고 부르고 있었다. 이 식물의 특징 등에 대한 설명을 확인하는데, 이 식물은 일본, 중국, 대만 등에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의 토끼섬에 자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관련하여 <제주의 소리> 뉴스를 살펴보았더니 우리나라에서는 제주 해안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주의 소리> 해설을 보면, 제주 해녀들이 바다에서 물질을 하고, 김매고, 집안 살림을 하면서 힘든 삶을 살았는데, 뜻하지 않게 임신이 되면 이 콩의 열매를 삶아먹어 낙태를 했다고 한다. 독성이 강한 식물인 모양이다. 하지만 얼마를 먹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 그런가 하면 인터넷 백과사전 검색을 해 보면 이 식물의 어린잎은 사료로도 사용한다고 적혀있다. 하기야 고사리 같은 식물들도 독초이지만 삶으면 독이 우러나서 나물로 이용하고, 다른 독초라는 식물들도 어린잎은 독성이 없거나 약해서 나물로도 이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동의나물 등이다. 원래는 남방 식물인데, 해류에 밀려와서 제주 해안에 자생하고 있다고 보인다.

<백년초>라 불리는 선인장과의 식물이다. 이 식물 또한 남방 식물로서 해류를 타고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해안 바닷가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우리나라 내룍에는 '천년초'라고 하는 선인장과 비슷한 다육식물이 자라고 있는데, 요즘 항산하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마그네슘, 사포닌 성분 등 약성이 뛰어나다고 하여 약초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백년초>라 불리는 선인장과의 식물이다. 이 식물 또한 남방 식물로서 해류를 타고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해안 바닷가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우리나라 내룍에는 '천년초'라고 하는 선인장과 비슷한 다육식물이 자라고 있는데, 요즘 항산하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마그네슘, 사포닌 성분 등 약성이 뛰어나다고 하여 약초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갯방풍> 산형과 식물로서 우리나라 해안 많은 곳에 자생하고 있다. 봄에 나오는 잎은 나물로도 이용한다.
<갯방풍> 산형과 식물로서 우리나라 해안 많은 곳에 자생하고 있다. 봄에 나오는 잎은 나물로도 이용한다.
<번행초> 석죽목>번행초과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단일종이다. 줄기는 40~50cm 정도 자라서 눞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우리나라의 납부지방 바닷가에 자생한다.
<번행초> 석죽목>번행초과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단일종이다. 줄기는 40~50cm 정도 자라서 눞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우리나라의 납부지방 바닷가에 자생한다.
<닭의장풀> 닭의장풀과 식물로서 보통 '달개비'라고 불리기도 한다. 닭장 밑에 많이 자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뇨작용에 좋아 당뇨병 치료 약으로 민간에서는 사용하기도 한다.
<닭의장풀> 닭의장풀과 식물로서 보통 '달개비'라고 불리기도 한다. 닭장 밑에 많이 자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뇨작용에 좋아 당뇨병 치료 약으로 민간에서는 사용하기도 한다.
<도깨비고비> 면마과의 포자식물이다.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에서 주로 볼 수 있지만 울릉도라든가 백령도까지도 분포한다. 잎 끝이 갑지기 뾰족해지며, 특히 잎이 윤이 나서 일반 고비와 구분이 쉽다. 바위 틈에 주로 서식한다.
<도깨비고비> 면마과의 포자식물이다.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에서 주로 볼 수 있지만 울릉도라든가 백령도까지도 분포한다. 잎 끝이 갑지기 뾰족해지며, 특히 잎이 윤이 나서 일반 고비와 구분이 쉽다. 바위 틈에 주로 서식한다.
<용가시덩굴> 장미과 목본성 덩굴식물이다. 바닷가나 풀밭에 자생한다. 찔레와 비숫하여 보통 사람들은 '찔레'라고 잘못 부르기도 한다.
<용가시덩굴> 장미과 목본성 덩굴식물이다. 바닷가나 풀밭에 자생한다. 찔레와 비숫하여 보통 사람들은 '찔레'라고 잘못 부르기도 한다.
<갯메꽃> 메꽃과 식물로서 우리나라 동, 서, 남해 해안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모레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잎은 콩팥 모양을 하고 있다.
<갯메꽃> 메꽃과 식물로서 우리나라 동, 서, 남해 해안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모레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잎은 콩팥 모양을 하고 있다.

 

이곳 비양도 바닷가에는 <해녀콩> 만이 아니라 ‘백년초’라고 불리는 <선인장>, <문주란> 등이 바닷가 바위 큼에 자라고 있었다. 이들 식물들도 다 남방 식물인데 해류에 의하여 밀려와 우리나라의 제주도나 남해안 바닷가에 서식한다.

<문주란> 수선화과 식물로서 잎은 나란히맥을 하고 있고, 뿌리 줄기는 비늘줄기이다. 제주도의 토끼섬에 자생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곳 비양도에도 군락을 이루어 자생하고 있다. 7~9월에 하얀 꽃이 피고 수술은 자색이다. 요즘은 화초로서 가정에서도 많이 키우고 있다.
<문주란> 수선화과 식물로서 잎은 나란히맥을 하고 있고, 뿌리 줄기는 비늘줄기이다. 제주도의 토끼섬에 자생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곳 비양도에도 군락을 이루어 자생하고 있다. 7~9월에 하얀 꽃이 피고 수술은 자색이다. 요즘은 화초로서 가정에서도 많이 키우고 있다.
<나리> 백합과 식물로서 전국 산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옆에는 무씨가 퍼져나가 피어 있었다.
 <나리> 백합과 식물로서 전국 산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옆에는 무씨가 퍼져나가 피어 있었다.
<사철나무> 노박덩굴과의 상록 관목으로 황해도 이남 바닷가에 주로 자생한다. 요즘은 가로수나 정원수로 많이 식재하고 있다. 꽃은 6~7월에 미색의 꽃이 핀다.
<사철나무> 노박덩굴과의 상록 관목으로 황해도 이남 바닷가에 주로 자생한다. 요즘은 가로수나 정원수로 많이 식재하고 있다. 꽃은 6~7월에 미색의 꽃이 핀다.

 

비양도는 우리나라에서는 이곳에만 자생한다는 <비양나무> 자생지이다. 부둣가 안내판에서 잠시 설명은 보았지만 시간이 없어서 찾아보지는 못했다. 인터넷에서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등을 검색해 보니, <비양나무>는 “난지성의 수종이고 일본에도 분포한다. 비양나무가 자생하는 곳은 비양도의 중앙에 있는 두 개의 분화구 중 북쪽에 있는 분화구의 북쪽 편에 10㎡의 면적에 집단적으로 군락을 만들어 자라고 있다.”라고 설명이 되어 있다. 쐐기풀과 식물로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쐐기풀과 앞이 많이 닮았다. 다만 키가 2m 정도 자라는 낙엽관목인 점이 다른 것이다.

<갯장구채> 석죽과 식물로서 바닷가에 자생한다. 산야에는 장구채라는 식물을이 자생을 하는데 꽃봉우리의 모양이 창구채와 같이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갯장구채> 석죽과 식물로서 바닷가에 자생한다. 산야에는 장구채라는 식물을이 자생을 하는데 꽃봉우리의 모양이 창구채와 같이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순비기나무> 마편초과 식물로서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 바닷가에서 많이 자란다. 꽃은 7~9월에 핀다. 벽자주색의 술잔모양의 꽃부리를 하고 있으며 꽃부리의 길이가 다르게 갈라진다.
<순비기나무> 마편초과 식물로서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 바닷가에서 많이 자란다. 꽃은 7~9월에 핀다. 벽자주색의 술잔모양의 꽃부리를 하고 있으며 꽃부리의 길이가 다르게 갈라진다.

 

6월 말 경이라 많은 꽃들을 볼 수는 없었다. 우리나라 바닷가 여러 곳에서 자라는 <순비기나무>와 <용가시덩굴>이 꽃을 피우고 있었다, 남부지방과 제주도의 바닷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포자식물이며 잎이 반짝이는 <도깨비고비>도 화산암 바위 틈에 서식하고 있었다. 그 외에 <나리>, <갯방풍>, <염주괴불주머니>, <이대>, <갯메꽃>, <사상자>, <억새>, <갯장구채>, 띠 꽃인 <삐리>, 남쪽 바닷가에서 자라는 석류풀과의 <번행초>, 야생화된 무꽃 등을 볼 수 있었다. <용가시덩굴>은 식물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그 꽃이 찔레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하여 찔레꽃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같은 장미과 식물이지만 <용가시덩굴>은 목본성 덩굴식물로 땅을 기는 특징이 있다. <찔레>도 약간의 덩굴성이지만 땅을 기어 서식하지 않은 다는 차이가 있다. 비양봉을 오르면서 보면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자생하는 <예덕나무>, <동백나무>, <팽나무>, <자귀나무>, <새머루>, <엉겅퀴> 꽃 등을 만나기도 하였다.

<협죽도> 인도 원산의 협죽도과 상록관목이다. 박정희 시절에 박정희가 외국을 나갔다가 꽃이 아름답다고 하여 드려다 가로수로 많이 심었다. 나무 줄기는 독성이 있다.
<협죽도> 인도 원산의 협죽도과 상록관목이다. 박정희 시절에 박정희가 외국을 나갔다가 꽃이 아름답다고 하여 드려다 가로수로 많이 심었다. 나무 줄기는 독성이 있다.
<예덕나무> 대극과의 낙엽 관목이다. 남부의 도서지방에 많이 자생한다. 껍직은 위장약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예덕나무> 대극과의 낙엽 관목이다. 남부의 도서지방에 많이 자생한다. 껍직은 위장약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새머루> 포도과의 낙엽 덩굴식물로서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열매는 가을에 포도색으로 익는다. 새콤달콤한 맛이 일품이다.
<새머루> 포도과의 낙엽 덩굴식물로서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열매는 가을에 포도색으로 익는다. 새콤달콤한 맛이 일품이다.

 

그 외에도 박정희 시절 가로수로 많이 심었던 <협죽도>가 심어져 있었다. 비양도에는 바닷가에 자생하는 <해송>이 북쪽 분화구가 있는 경사면 쪽에 많이 자생하고 있었다. 비양봉 오르는 길에는 <이대>가 터널을 이루어 등산객들에게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고 있었고, <보리밥나무>, <천선과> 등 남부 도서지방과 제주도 등에 많이 자라는 나무들도 볼 수 있었다.

호젓하게 비양봉 정상을 오르는 길이 좋다. 이 길에 들어서면 한라산과 항림항이 한분에 들어온다. 비양나무 군락이 자리잡고 있다.
호젓하게 비양봉 정상을 오르는 길이 좋다. 이 길에 들어서면 한라산과 항림항이 한분에 들어온다. 비양나무 군락이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 어느 지역에서나 자생하고 있는 이대가 이곳 비양도에는 많이 자생하고 있다. 비양봉 등산로에도 터널을 이루어 찾는이들의 눈길을 끌었다.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 어느 지역에서나 자생하고 있는 이대가 이곳 비양도에는 많이 자생하고 있다. 비양봉 등산로에도 터널을 이루어 찾는이들의 눈길을 끌었다.
비야봉에 올랐다가 내려오는 하산길에는 상록수와 낙엽수, 소나무 등이 잘 어우러진 등산 계단로를 따라내려올 수 있다.
비야봉에 올랐다가 내려오는 하산길에는 상록수와 낙엽수, 소나무 등이 잘 어우러진 등산 계단로를 따라내려올 수 있다.
<인동초> 인동과 덩굴식물이다. 꽃이 처음 필 떼는 은색이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금색으로 바뀐다고 하여 금은화라고도 한다.  꽃은 약초로 사용한다.
<인동초> 인동과 덩굴식물이다. 꽃이 처음 필 떼는 은색이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금색으로 바뀐다고 하여 금은화라고도 한다. 꽃은 약초로 사용한다.

 

마을로 들어오면서 보았더니 돌담 위에는 <인동초>가 금빛, 은빛 꽃을 피우고 길손들의 눈길을 끌고 있었다. 식당이나 민박을 하고 있는 집 마당에는 <낮달이꽃>, 꽃 모양이 마치 훈장 같이 생겼다 하여 우리나라에서 붙여진 이름인 <훈장국화>인 <가자니아>, <우단동자>, <송엽국> 등은 화초로 가꾸고 있었고, 귀화식물인 <당아욱> 등도 만났다.

<훈장국화> 국화과 '가디니아'라고 불리는 아프리카 원상의 식물이다. 꽃 모양이 마치 훈장을 연상케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비양도에도 그렇고 제조도 가로에는 이 꽃이 많이 심어져 있다.
<훈장국화> 국화과 '가디니아'라고 불리는 아프리카 원상의 식물이다. 꽃 모양이 마치 훈장을 연상케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비양도에도 그렇고 제조도 가로에는 이 꽃이 많이 심어져 있다.
<우단동자> 화초로서 많이 가꾸어지고 있는 식물이다. 우리가 점심 식사를 했던 식당에서 찍은 꽃이다.
<우단동자> 화초로서 많이 가꾸어지고 있는 식물이다. 우리가 점심 식사를 했던 식당에서 찍은 꽃이다.

 

비양도에는 제주의 자른 지역에 비하여 식물상은 단조로웠다. 특히 목본류가 몇 종류 안 되었다. 하지만 계절이 바뀌면 또 보이지 않던 식물들을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면 다음 기회에는 봄이나 가을에 다시 한 번 비양도를 찾아서 비양도의 식물상들을 더 알아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며 배 시간에 쫓기어 여유 있게 둘러보지 못하는 아쉬움을 안고 섬을 나왔다.

김광철 객원편집위원  kkc0828@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