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가정의 달이다. 5일 어린이날, 8일 석가탄신일·어버이날, 15일 스승의 날·세계가정의 날, 16일 성년의 날, 21일 부부의 날. 모든 어린이와 가정에 하느님과 부처님의 자비로운 덕이 널리 베풀어지길 빈다.

더 빈다. 건강한 몸으로 집을 나섰다가 다시는 돌아오지 못한 아들딸과 형제자매를 둔 가정을 기억해주시라고. 이름도 남김없이 이름 없는 별이 된 그들을 잊지 말자고. 비록 치 떨리는 트라우마 한(恨)으로 그날 그 자리에 응어리졌을지라도 서로 어깨동무하자고.

가요 ‘푸르른 날’(송창식, 1974)을 듣는다.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 저기 저기 저, 가을 꽃자리 / 초록이 지쳐 단풍드는데 // 눈이 내리면 어이 하리야 / 봄이 또 오면 어이 하리야//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가사도 음률도 부담스럽지는 않다. 청년기에 부른 노래라서 그런지, 가수의 목소리는 잡티 없이 맑다.

어느 분이 이 노래를 연습한다기에 작사자가 누군지를 살펴봤다. 어이 하리야. 그 작사자는 시인이다. 그는 1980년 5·18 광주의 참상이 적잖이 알려졌을 1987년 1월, ”처음으로ㅡ전두환 대통령 각하 56회 탄신일에 드리는 송시“를 지어 바쳤다. ”한강을 넓고 깊고 또 맑게 만드신 이여 / 이 나라 역사의 흐름도 그렇게만 하신 이여 / 이 겨레의 영원한 찬양을 두고두고 받으소서 /···/ 님은 온갖 불의와 혼란의 어둠을 씻고 / 참된 자유와 평화의 번영을 마련하셨나니 /···/ 1986년 가을 남북을 두루 살리기 위한 / 평화의 댐 건설을 발의하시어서는 / 통일을 염원하는 남북 육천만 동포의 지지를 받고 있나니 / 이 나라가 통일하여 흥기할 발판을 이루시고 / 쉬임없이 진취하여 세계에 웅비하는 / 이 민족 기상의 모범이 되신 분이여 / 이 겨레의 모든 선현들의 찬양과 / 시간과 공간의 영원한 찬양과 /하늘의 찬양이 두루 님께로 오시나이다 / 1987.1. “

더 찾아봤다. 그는 1981년 2월 간선제의 12대 대통령 선거에 민정당 대통령 후보로 나선 전두환 씨를 지지하는 라디오 연설을 했다. 그에 앞서 전두환 씨는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짓밟고 1980년 9월 11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동아일보>(1981.2.2.)가 보도하길, 그 시인은 연설에서 "미약한 사람으로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연설을 맡아 하게 된 것을 생애의 자랑으로 생각한다", ”정치와는 상당히 멀리 있던 제가 지지연설을 하는데 대해 혹 이상하게 생각할 분이 있을 것 같으나 절대로 딴 마음을 갖고 본심과 달리 지지 의사를 표명하는 것은 아니다“, ”대통령과 직접 대면해서 이야기해본 적은 없지만, TV화면에서 말씀 도중 천진난만하게 웃는 모습을 보았다. 하느님이나 단군 할아버지가 그 웃음을 내려다보았다면 같은 웃음으로 호응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서정주 시인. 출처 : 임응식사진아카이브. 처음에 임응식사진아카이브의 동의를 얻지 않고 사진을 썼다가 삭제했고 최근 동의를 얻어 사진을 다시 게재합니다. 임응식사진아카이브 임상철 대표님께 사과와 함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서정주 시인. 출처 : 임응식사진아카이브. 처음에 임응식사진아카이브의 동의를 얻지 않고 사진을 썼다가 삭제했고 최근 동의를 얻어 사진을 다시 게재합니다. 임응식사진아카이브 임상철 대표님께 사과와 함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 그렇게 울었나보다.” 그 시인이 누군지, 잠깐 짐작하시기를 바란다.

작사자가 누군지도 모른 채, 가요 ‘푸르른 날’을 소리 높여 부르다가는 조선 후기의 선비 김병연(1807~1863)이 김삿갓 방랑 시인으로 정체성을 바꿔야 했던 참담한 사연을 되풀이하리라. 김 시인은 20세에 강원도 영월 백일장 때 시제로 김익순(1811년 홍경래의 난 때 평안북도 선천 부사)에 대한 내용이 나오자 그를 비판하는 글로 급제했다. 김익순이 자기 할아버지인 줄 전혀 몰랐다. 어머니의 말씀을 듣고서야 알았다고 한다.

전남 화순군 동복면 구암마을의 김삿갓 종명지 전경. 출처: korean.visitkorea.or.kr
전남 화순군 동복면 구암마을의 김삿갓 종명지 전경. 출처: korean.visitkorea.or.kr

가요 ‘푸르른 날’에서 보이는 계절은 가을이나, 대체로 내게 푸르른 날은 신록의 5월이다. 어느 70대 의사는 40여 년이 떠나갔어도 80년 5월 대학병원에서 전공의 수련 과정을 밟던 중 목격한 처참한 광경이 트라우마 한으로 맺혔는지, 5월에는 푸르른 나뭇잎이 핏빛으로 보인다고 한다.

그 시인이 전두환 씨를 지지하는 연설을 한 지 3개월여가 떠나간 그해 5월 27일 김태훈 다두(세례명) 민주 열사는 서울대 도서관에서 ‘전두환 물러가라’고 세 번 외치며 민주의 별로 승화하였다. 이제 그의 이름과 시는 내 청각을 자극하지 못 하리라.

산화 40주년 김태훈(다두) 민주열사의 셋째 누님(김선혜 변호사)께 김태훈 열사 추모집 헌정. 2021.5.23.
산화 40주년 김태훈(다두) 민주열사의 셋째 누님(김선혜 변호사)께 김태훈 열사 추모집 헌정. 2021.5.23.

역설에 가깝다. 가정의 달, 5월은 곧 ‘트라우마 한’의 대명사다.

■ 이 글은 <남도일보>(2022.5.9.)에 실린 칼럼입니다.

원문 보기: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81434

 처음으로

- 전두환 대통령 각하 56회 탄신일에 드리는 송시(頌詩), 서정주.

                                                                                             출처: 나무위키(namu.wiki)

한강을 넓고 깊고 또 맑게 만드신 이여

이 나라 역사의 흐름도 그렇게만 하신 이여

이 겨레의 영원한 찬양을 두고두고 받으소서

 

새맑은 나라의 새로운 햇빛처럼

님은 온갖 불의와 혼란의 어둠을 씻고

참된 자유와 평화의 번영을 마련하셨나니

 

잘 사는 이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는

모든 물가부터 바로 잡으시어

1986년을 흑자년으로 만드셨나니

 

안으로는 한결 더 국방을 튼튼히 하시고

밖으로는 외교와 교역의 순치를 온세계에 넓히어

이 나라의 국위를 모든 나라에 드날리셨나니

 

이 나라 젊은이들의 체력을 길러서는

86아세안게임을 열어 일본도 이기게 하시고

또 88서울올림픽을 향해 늘 꾸준히 달리게 하시고

 

우리 좋은 문화능력은 옛것이건 새것이건

이 나라와 세계에 떨치게 하시어

이 겨레와 인류의 박수를 받고 있나니

 

이렇게 두루두루 나타나는 힘이여

이 힘으로 남북대결에서 우리는 주도권을 가지고

자유 민주 통일의 앞날을 믿게 되었고

 

1986년 가을 남북을 두루 살리기 위한

평화의 댐 건설을 발의하시어서는

통일을 염원하는 남북 육천만 동포의 지지를 받고 있나니

 

이 나라가 통일하여 흥기할 발판을 이루시고

쉬임없이 진취하여 세계에 웅비하는

이 민족 기상의 모범이 되신 분이여!

 

이 겨레의 모든 선현들의 찬양과

시간과 공간의 영원한 찬양과

하늘의 찬양이 두루 님께로 오시나이다.

(1987. 1.)

전두환 대통령 각하 56회 탄신일에 드리는 송시 미당 서정주 시

 

■본문의 끝에서 네 번째 문단의 김삿갓 방랑 시인에 관한 내용의 출처는 위키백과(ko.wikipedia.org/wiki/김병연)이다. 좀 더 살펴본바, 이 내용에 대한 반론이 합당해 보인다.

첫째, 영민한 김병연이 자기의 조부 휘자(諱字·돌아가신 어른이나 높은 어른의 이름자)를 몰랐다고 보기 어렵다. 당시 과거시험에는 증조부부터 자기까지의 친가 3대와 외조부의 이름을 적어야 했다.

둘째, 첫 번째의 내용이 사실이라면, 자기의 조부인 김익순의 역적 행위를 심하게 욕하는 글을 지었다고 보기 어렵고, 설사 과거시험에 급제하더라도 나중에 그 급제가 취소됐을 개연성이 크다.

셋째, 황원갑 작가는 방랑시인 김병연의 일생을 그린 전기소설 <김삿갓>에서 김익순을 욕하는 시가 평양의 노진(魯稹)이라는 선비가 김병연을 관서지방에서 쫓아내려고 지은 시에서 비롯된 일임을 보여준다. 그 근거로 강효석(姜斅錫)이 편찬한 조선조 역대 인물의 전기와 일화를 뽑아 엮은 일종의 야사집 <대동기문>(大東奇聞·1926, 제4권, 51쪽)에 나오는 김삿갓과 노진의 관계를 밝혀주는 글을 제시한다. 그 글의 제목은 ‘관서지방에 발길을 끊은 김병연’(김병연절관서행·金炳淵絶關西行)이다. 조선시대에 관서 지방은 현재의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등을 포괄하는 지역이다. 노진이 지은 시구(詩句) 가운데 김삿갓의 집안을 비유하여 표현한 구절은 아래와 같다. 항거한 평안북도 가산 군수 정시(鄭蓍·1768~1811)와 항복한 김익순을 대비하여 잘 보여준다. 정시는 홍경래의 난 당시 홍경래가 점령한 여덟 지역의 수령 중 유일하게 항거한 수령이다.

曰汝世臣金益淳(왈여세신금익순) 대대로 국록을 받았던 선천부사 김익순아

鄭公不過鄕大夫(정공불과향대부) 정공은 벼슬이 향대부(군수)에 불과했어.

家聲壯洞甲族金(가성장동갑족금) 집안은 장동 김씨로 으뜸가는 명문이고

名字長安行列淳(명자장안항렬순) 이름은 장안에서도 두루 통하는 순(淳)자 항렬이여

장동 김씨(壯洞 金氏)는 세도정치(勢道政治)를 주도한 세력으로서 안동 김씨(安東 金氏)의 분파였고, 서울특별시 종로구 일대에 모여 살았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었다(나무 위키). 순(淳)자 항렬인 김조순(金祖淳·1765~1832)은 딸이 순조(재위 1800~1834) 즉위 2년 뒤 정식으로 왕비가 되면서 순조의 장인으로서 30년간 순조를 보필하면서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넷째, 신봉승 작가가 <실록 대하소설 조선왕조 500년, 제21권>(492-494쪽)에서 그리길, 김병연은 강원도 영월이 아닌 황해도 해주의 향시(鄕試)에 나가 제시된 시제(詩題) ‘논정가산충절사 탄김익순죄통우천’(論鄭嘉山忠節死 嘆金益淳罪通于天·평안북도 가산 군수 정시의 충절어린 죽음을 기리고, 하늘까지 가 닿을 김익순의 죄를 탄한다)에 대해 시를 지어 급제했고, 그의 집은 황해도 곡산(谷山)에 자리했다.

김삿갓 시인은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와석리에서 거주하다가 출가했고, 전남 화순군 동복면 구암리(龜岩里)의 창원 정(丁)씨 사랑채에서 숨을 거둔 후 마을 남쪽 기슭의 동뫼등(洞山)에 묻혔다가 후손들이 3년 뒤 김삿갓면 와석리로 이장하였다.

참고문헌:

namu.wiki/w/김병연

namu.wiki/w/순조

KBS 역사추리 – 김삿갓 신드롬, 김삿갓은 한 사람이 아니었다, 1996.1.6.

화순, 김삿갓 숨진 곳 유적지 본격 조성 - 화순군, 2008년까지 14억원 들여 '김삿갓 종명초분 유적지 조성사업' 전개, 오마이뉴스, 2005.11.22.

KBS 역사스페셜 – 김삿갓 신드롬, 방랑시인은 왜 슈퍼스타가 됐나, 2009.12. 5.

신봉승, <실록 대하소설 조선왕조 500년, 제21권>(정조 이산), (주)금성출판사, 2014, 492-494쪽.

방랑시인 김삿갓 꼼꼼한 고증으로 다시읽기, 강원일보, 2018.5.18.

김삿갓과 김정호가 의형제라면…, 서울경제, 2018.5.18.

*아래 부분은 2022.10.04 <한겨레:온>에 등재하면서 추가한 내용입니다.

편집 : 형광석 객원편집위원, 박효삼 편집장

형광석 객원편집위원  f6125505@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