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치 한겨레 1면 머리기사

오늘 <한겨레>는 『‘역사전쟁’이 아니라 ‘상식과 국격의 파괴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역사교과서의 국정화에 대해 다루었다. 이날 한겨레가 1면 머리기사 『끝내 ‘역사’를 되돌리다』로 시작해 첫 5면 전체를 국사 교과서 국정화 관련기사로 다룬 만큼 이 사설의 의미 또한 클 것이다.

▲ 13일치 한겨레 사설
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712421.html

<한겨레>는 2017년 1학기부터 국정교과서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겠다는 정부의 발표에 대해 ‘정권의 욕망에 맞춰 국가 백년대계를 흔들겠다는 것’이라고 개탄했다. 또한 세계적으로 국정교과서는 독재·전체주의의 폐습이며 유엔에서도 다양한 역사교과서를 권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북한, 방글라데시, 이란, 이라크 등이 국정교과서를 쓰고 있는데 반해 교육선진국이라 불리는 핀란드, 프랑스, 네덜란드, 뉴질랜드, 스웨덴, 스위스 등이 자유발행제를 채택하고 있는 사실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2015년 10월13일 월요일 한겨레 1면 도표〕

게다가 세간의 의구심처럼 사적인 한풀이로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역사적 평가를 바꾸기 위한 의도라면 더욱 심각한 문제다. 그뿐 아니다. 교육부는 ‘다양성 훼손’을 바로잡기 위해 단일한 국정교과서를 만든다하니 이 또한 어폐가 아닐 수 없다. 해석의 다양성을 단일한 국정교과서로 가르쳐준다는 말인가. 그렇기에 11월에 집필진을 구성해 1년 만에 집필 작업을 끝낸다는 ‘날림 집필’을 공언하고 나선 이 상황에서 어떤 권위자나 전문가가 집필에 참여할지도 미지수다. ‘결국 뉴라이트 등 극우적 시각과 사실 오류로 범벅이 된 허접한 교과서가 나올 공산이 크다’고 보고 있다. 한겨레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사건은 박근혜 정권의 실정 가운데 백미로 꼽힐 것이라고 통탄했다.
 

▲ 13일치 조선일보 사설
http://cdb.chosun.com/search/pdf/i_service/pdf_AchReadBody.jsp?docID=01142015101202159482&Y=2015&M=10&D=13&upDate=ok

▲ 13일치 조선일보 사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0/12/2015101203650.html

<조선일보> 역시 『제대로 된 역사 교과서, '정권 임기 內 완성' 집착 말아야』와 『역사 교과서 國定化, 대통령이 직접 설명할 필요 있다』 두 사설을 통해 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비중 있게 다루었다. 하지만 <한겨레>와는 시각차가 있고 국정화에 대한 논리도 다르다.
먼저 조선일보는 ‘국정화’ 자체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그저 기존의 검정 교과서에서 볼 수 있었던 ‘편향’과 ‘오류’는 교육부와 국사편찬위원회의 책임이 크고 국정교과서 역시 현 정부가 ‘임기 내 끝내겠다'며 무리하게 밀어붙이면 ‘제대로 된 역사 교과서가 나온다는 보장이 없다’며 우려했다. 준비부족으로 날림 편찬 가능성에 대한 우려다. 그러나 ‘현 정부가 잘못된 역사 교육을 바로잡는 튼튼한 기초를 하나 마련한다면 그것만으로 큰 업적이 될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두 번째 사설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국정화 결정을 내린 이유에 대해 ‘다음 세대에게 올바른 역사관을 심어주는 것이 나라의 미래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일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라며 대통령의 의중까지 살피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좋은 취지를 내놓고 뒷전으로 빠져있지 말고 대통령이 그런 논의에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정교과서’라는 말이 부끄러운지, 혹은 반어법인지, ‘올바른 역사 교과서’라는 애매모호한 별칭을 가지게 된 역사교과서. ‘해석의 다양성’을 위해 하나의 해석을 만들어 가르치려는 이 부조리한 상황을 보는 이 아줌마는 안타까울 뿐이다.

편집: 이동구 에디터

안지애 주주통신원  phoenicy@hotmail.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