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장맛비가 하루종일 내리는 궂은 날씨라서, 내 방에서 별 생각없이 (지난 주에 도서관에서 대출해온) 책 한권을 펼치다가 김소월의 님의 노래라는 제목의 시 한편을 발견하였습니다.

 

‘ 님의  노래

                                                                     김소월(1902~1934)

 

그리운 우리 님의 맑은 노래는

언제나 제 가슴에 젖어 있어요

긴 날을 문 밖에서 서서 들어도

그리운 우리 님의 고운 노래는

해지고 저물도록 귀에 들려요

밤들고 잠들도록 귀에 들려요

고이도 흔들리는 노랫가락에

내 잠은 그만이나 깊이 들어요

고적한 잠자리에 홀로 누워도

내 잠은 포스근히 깊이 들어요

그러나 자다 깨면 님의 노래는

하나도 남김없이 잃어버려요

들으면 듣는 대로 님의 노래는

하나도 남김없이 잊고 말아요.

                <출처> : ‘(중고교생이 꼭 알아야 할) 교과서 시 읽기’(평단문화사/2012/ 39)

 

위의 님의 노래시를 읽어보면, 일제 식민지로 전락한 우리나라에서 이별과 그리움등의 서정적이면서 향토성 짙은 시를 32세의 짧은 나이로 150여편이나 남긴 불우한 천재 시인이 어떻게 그 많은 작품을 남길수 있었는지 어렴풋하게나마 짐작이 됩니다. , 김소월의 가슴에 내재되어 끊임없이 용솟음치는 시심(詩心)이 그 비결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되지요.

바로 1연에서 그리운 우리 님의 맑은 노래는 언제나 제 가슴에 젖어 있어요.’라고 말하는 싯구에서 이러한 추측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우리 님이 무엇일까요? 어쩌면 김소월의 마음 속 깊숙이 감추어져 내재되어 흘러나오는 창작의 열기(熱氣), 혹은 에네르기’(=에너지)우리 님이라 표현하지 않았을까요?

이러한 우리 님이 저 멀리 오스트리아에서 1800년대초에 활동한 천재 작곡가 슈베르트의 가슴 속에도 풍성히 내재되었기에, 역시 31세에 단명(短命)하였지만 600여곡의 주옥같은 가곡을 작곡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2연과 3연은 그리운 우리 님의 맑은 노래가 시인의 삶 속에서 어떻게 그의 귓가에 끊임없이 들리는가를 말해줍니다. 긴 날을 문 밖에서 서서 들어도 그러하고, 해지고 저물도록그렇고, 밤들고 포스근히 잠들도록그렇게 귀에 들려요라고 표현하여, 언제 어디서나 맑은 시심(詩心)이 그의 마음속에서 끝없이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 4연에서는 시인으로서 자신의 슬픈처지를 하소연(?)하고 있는데, 그러나 자다 깨면 님의 노래는 하나도 남김없이 잃어버려요.’라고도 하고, 들으면 듣는 대로 님의 노래는 하나도 남김없이 잊고 말아요.’ 라는 말로 시를 끝맺고 있습니다. ‘우리 님의 맑고 고운 노래에 젖어 꿈결 속에 지내다가도, 곧 각박한 고통과 질곡(桎梏)에 갇혀있는 현실을 깨닫고는 좌절감에 떨어지는 것을 에둘러 표현한 것 같습니다.

(이러한 시인의 운명은 어쩌면, 레바논계 미국 국적의 시인 칼릴 지브란’(1883~1931)이 말한 시인의 불행한 운명을 상기시키는 것 같습니다.

그는 시인들은 불행한 사람들이다. 한껏 영혼이 천상(天上)의 열락(悅樂)에 이르러 즐거움을 맛보지만, 곧 지상(地上)의 눈물의 굴레에 갇히게 될 운명을 지닌 자들이기 때문이다.” 라는 요지의 말을 남겼습니다.)

마지막으로 김소월의 님의 노래에서,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표현이 무엇일까요? 제 생각에는 아마도 3연의 고적한 잠자리에 홀로 누워도, 내 잠은 포스근히깊이 들어요.” 라는 싯구에서 포스근히 라는 낱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보통 포근히’(=마음이나 분위기가 부드럽고 아늑하게)라고 현재 쓰이는 말보다 더 포근하지' 않습니까?

참고사항

김소월(1902~1934) : 평안북도 구성군 출생. 본명은 정식(廷湜). 1920년 문예지 <창조>낭인의 봄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이별과 그리움 등을 주제로 서정적이며  향토성 짙은 일상적인우리말로  개성적이고 시적 울림이 있는 많은 시를 창작했다. 시집으로는  <진달래꽃>(1925)이  있다.

-----------------------

편집 : 허익배 객원편집위원

허익배 객원편집위원  21hip@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