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의 설치 장소는 배의 크기에 따라서 다르다.

해추선(海鰍船)에 설치하는 두 개의 노는 각기 다른 위치에 둔다. 노가 하나일 때는 고물에서 봤을 때 좌측의 맨 뒤에 설치한다. 두 번째 노는 같은 방향 바로 앞쪽의 고부랭이가 있는 곳에 둔다. 이때 노가 배 밖으로 나가도록 별도의 멍에를 걸어둬야 한다.

노는 ‘앞 젓거리(앞 곁노)’라고 부른다. 맨 뒤에 설치한 노가 두 개 이상일 때는 맨 뒤의 노를 ‘밑 노’라고 한다. 바탕이 되는 노라는 뜻을 담고 있다. 해당 노는 치의 역할까지 한다. 혹자들은 ‘민노’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밑노라는 말이 민노로 소리가 나서 발생한 현상인 듯하다.

큰 배나 어선처럼 노가 여럿인 경우에도 밑 노와 앞 젓거리는 고물에서 봤을 때 좌측에서 사용한다. 해당 노의 뒤편에 노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해당 노는 ‘왼 노’, ‘왼동 노’라고 부른다. 한편 큰 배는 멍에가 돌출되도록 배를 만들기 때문에 노를 설치하기 위해 멍에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연승어선(주낙배)과 숭어 건착망 어선에는 노를 각각 3개와 5개씩 설치했다. 반면 근해 어선이나 나룻배에는 밑 노와 앞 젓거리(앞곁노)만 설치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어선은 주낙을 올리는 쪽이 고물에서 봤을 때 오른쪽이기 때문에 작업 공간을 확보해야 했다. 나룻배는 사람의 통행이 원활하도록 제작해야 했다.

한편 옛날에는 배의 고물을 육지 쪽으로 접안했다. 지금은 접안 시설이 우수해 배를 대기가 쉽고 아무렇게나 접안할 수 있지만, 옛날에는 별도의 접안 시설이 없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지역별 노 명칭

▲ 노의 부재별 번호

 

1

2

3

4

5

6

7

완도지방

노 잎

노 착

놋 봉

목 정

노 좆

반(벤)드레

노 손

통영지방

노추리

노우데

노짠디

목 정

노 좆

노 끈

노 손

강화지방

노반지,노깃

노 체

노 봉

목 정

노 좆

노 끈

노병아,손잡이

제주지방

뇌 잎

부 출

노 봉

목 정

뇌 좆

-

-

울릉지방

노 잎

노우데

노따개비

-

노 좆

노끈

노 손

위도지방

놋 잎

노 착

놋 봉

-

놋조시

놋줄

노곰지

옹진지방

노 깃

상 책

노 봉

묶음줄

노 좆

노병아줄

뭉구지

6번 항의 ‘노반드레’라는 명칭은 통영에서도 사용했다고 한다. 모든 배를 동력화하면서 그 명칭이 전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뿐만 아니라 대다수 용어나 명칭이 사라져 가고 있어서 이제 옛것을 찾아보기조차 힘들어지고 있다. 소중한 우리 것이 잘 보존돼야 할 것이다.

▶동양 삼국의 노 명칭

 

한 국

중 국

일 본

1

노잎, 뇌잎

노 판 (櫓 板)

노 바 (櫓 齒)

2

노착, 상착

노 병 (櫓 柄)

노 우 데

3

노봉, 놋봉

노공, 노제 (櫓控, 櫓濟)

노 아 나

4

목정(木釘)

-

쵸 크

5

노 손

-

쵸 크

6

노반드레

노 삭 (櫓 索)

-

7

노 좆

노 인 두

쵸 크

▶노에 대한 자료제공자

완도지방    저자
통영지방    장옥만(경남 통영 .배 목수)
강화지방    김병기(인천시 무형문화제3호)
제주도지방  탐라문화
울릉도지방  최성호(울릉군청 수산과)
위도지방    김호중(위도면사무소수산담당)
옹진지방    장태현(옹진군수협이사)

마광남 주주통신원  wd3415@naver.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