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지는 우리 것] 마광남 주주통신원

바람이 우리 인간에게 없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지금이야 그렇지 않지만 60년대 까지만 해도 우리의 어선들은 거의 돛을 달고 다니는 범선이었다. 이 바람 때문에 뱃사람들은 울기도하고 웃기도 했다.

모두가 동력선으로 바뀌었어도 단 하나 바뀌지 않는 것이 있다. 예나 지금이나 배자체가 전 재산인 뱃사람들이 걱정하는 것은 큰바람이 불어온다고 하면 피항할 곳이 마땅치 않다고 한다.

안전하게 피할 수 있는 곳을 일컬어 팔풍석이라고 한다. 팔풍이란 동에서 시작하여 다시 동까지 돌아오는 모든 바람을 말한 것이다. 이러한 곳이 흔히 있는 것은 아니다. 큰 의미에서 본다면 체도와 신지, 고금이 막고 있는 장도 앞을 말할 수 있지만 소형 선박은 썩 좋은 곳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점도 우리가 해결해야 할 일이다.

우리 완도에서는 팔풍을 다음과 같이 부르고 있다. 동풍은 샛바람, 동남풍은 샛마파람, 남풍은 마파람, 남서풍은 늦마파람, 서풍은 늦바람, 북서풍은 늦하늬, 북풍은 하늬, 북동풍은 높하늬라고 부르고 있다. 우리지역은 바람의 끝에 무슨 바람이라고 하지만 제주도지방에서는 하늬바람이라면 하늬름 이라고 한다. 즉 같은 바람이라도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부르기 때문에 어느 것이 옳은 것이라고 말하기가 어려운 일이다.

옛 기록으로 보면 <성호사설> 제2권 천지문(天地門), 팔방풍(八方風)에는 동풍을 사(沙)라 하는데 명서풍(明庶風)으로 이아(爾雅)의 곡풍(谷風)이라는 것이요, 동북풍을 고사(高沙)라 하니 곧 조풍(條風)이요, 남풍을 마(麻)라 하니 곧 경풍(景風)으로 <이아>에 개풍(凱風)이라는 것이요, 남동풍을 긴마(緊麻)라 하니 곧 경명풍(景明風)이요, 서풍을 한의(寒意)라 하니 곧 창합풍(閶闔風)으로 <이아>에 태풍(泰風)이라는 것이요, 서남풍을 완한의(緩寒意) 혹은 완마(緩麻)라고도 하니 곧 양풍(凉風)이요, 서북풍을 긴한의(緊寒意)라 하니 곧 부주풍(不周風)이요, 북풍을 후명(後鳴)이라 하니 곧 광막풍(廣漠風)으로 <이아>의 양풍(凉風)이라는 것이다 라고 적고 있다.

한편 <산림경제> 제1권 복거(卜居) 부엌편에는 동북풍은 염풍(炎風), 동풍은 도풍(滔風),동남풍은 훈풍(薰風),남풍은 거풍(巨風), 서남풍은 처풍(凄風), 서풍은 류풍(飂風), 서북풍은 여풍(厲風), 북풍은 한풍(寒風)이라하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가 하늬바람이란 북풍을 위에서 말하는 한의와 같은 바람인데 발음상 잘못되어서 그러한 것은 아닌가 생각해본다.

바람을 말할 때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부르지만 이밖에도 계절에 따라서 부르는 바람의 이름도 있고 바람이 부는 장소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각기 다르다. 어민들이 제일 무서워했던 바람은 산골자기를 타고 바다로 내리 부는 바람을 재넘이바람(재냉기)이라고 하는데 약하게 불다가도 어느 순간 무섭게 몰아처서 놀라게 하는 무서운 바람이다.

돛단배를 만들어 옛날처럼 완도항에서 항해를 한다면 어떨까 하나의 관광 자원으로 쓸 수는 없는 것인가 모르겠다. 항내 운항이 위법이 아니라면 말이다

 

마광남  wd3415@naver.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