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안에서 들려주는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 12~13일

데트몰트에서 하멜른으로 가는 길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출발하여 여기까지 오는 동안 만나지 못한 구릉지대다. 끝없이 펼쳐지는 평원... 그야말로 땅은 평평한 것이었다. 평원이고 구릉지이고 독일은 어딜 가나 나무가 빽빽하다. 110년 전인 1906년, 프로이센 공화국 때 환경보호법이 만들어졌다. 숲은 언제나 사람에게 고향과 같은 포근함으로 일상의 피로를 풀어줄 뿐 아니라 우리 희망이고 미래다.

그 울창한 숲을 홀로 몇 시간이고 달릴 때 요정이 ‘뿅’하고 튀어나와 나를 홀릴까봐 겁도 나고 기대도 된다. 겁과 기대를 동시에 주어서 그럴까? 숲은 상상력도 자극한다. 옛날 사람들은 숲을 홀로 걸으면서 이야기를 꾸며 아이들에게 들려주었을 것이다. 옛날 우리 할머니는 나를 꼼짝 못하게 하는 두 가지를 가지고 계셨다. 이야기보따리와 눈깔사탕이었다. 이야기를 술술 잘 풀어내는 사람은 어딜 가도 인기가 좋았다.

일주일 중에 하루만 빼놓고 매일 비가 오락가락한다. 오늘도 수십 번 더 우비를 입었다 벗었다 하고 잠바를 입었다 벗었다 했다. 이런 을씨년스런 날씨가 계속되면 동화처럼 신비하고 통쾌하며 신나는 일이라도 상상하지 않는다면 우울증이라도 걸릴 것 같다.

▲ 9월 12일 만난 이정표
▲ 9월 12일 달리다 만난 모습
▲ 9월 12일 달리다 만난 모습

베저 강이 시내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하멜른에 들어서자 ‘피리 부는 사나이’ 조형물이 보인다.

▲ 하멜른의 피리부는 사나이

독일은 고전음악의 나라이며 철학의 나라이기도 하지만 동화의 나라이기도하다. 덴마크에 안데르센이 있다면, 독일에는 그림형제가 있고, 우리에겐 방정환 선생이 있다. 연년생인 형 야콥 그림과 동생 빌헬름 그림 두 형제는 언어학을 전공했다. 나폴레옹 군대가 독일을 침공하여 전란에 휩싸이자 일자리를 잃은 형제는 고향으로 낙향하여 옛날이야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형 야콥은 돌아다니면서 구전이나 전설, 민담을 모으고 동생은 상상력을 더해 예술적으로 표현하고 다듬어 동화로 만들었다.

지구상에서 성서 다음으로 많은 언어로 번역되어 읽히는 책이 바로 그림 형제의 동화집이라고 한다. 나도 글자를 배우기 전부터 할머니가 들려주는 옛날이야기와 라디오, TV, 만화나 그림책 등을 통해서 이런 동화를 접하고 자랐다. 백설 공주, 잠자는 숲 속의 공주,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 장화 신은 고양이, 거위치는 소녀, 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 염소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이야기를 통해 상상력과 꿈을 키웠다.

독일에는 그림형제가 출생해서 성장하고 구전동화나 설화들을 수집했던 도시들을 이은 ‘동화가도’가 있다. 동화를 품은 마을을 옛 모습 그대로 재현하기도 하고, 동화를 모티브로 만든 조형물들이 볼거리를 제공한다. 그림 형제가 태어난 하나우에서 브레멘까지 600여km를 이은 긴 구간에 인접한 도시들은 동화와 관련된 흔적들을 부각하여 관광지로 발전하였다.

▲ 동화가도
▲ 동화가도

 

몸이 쇠약해져 더는 짐을 나를 수 없는 당나귀와 노래를 잘하고 싶은 수탉, 입 냄새가 심하게 나는 개와 쥐를 잡지 못 해 쫓겨난 고양이가 모여서 만들어낸 동화 '브레멘 음악대'의 배경도시는 브레멘이다. '피리 부는 사나이'를 따라 나선 아이들이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던 도시는 하멜른이다. '숲 속의 공주'가 잠자는 도시의 무대는 자바부르크, 신데렐라의 성이 있었던 곳은 폴레, 등 흥미진진하고 신기한 이야기가 도시를 따라 펼쳐진다.

하멜른은 ‘피리 부는 사람‘이라는 전설의 고향이다. 이 이야기는 한때 전 유럽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고 간 간 흑사병과 관련 있다. 중세 이후에도 유럽 사람들의 위생관념은 열악한 상태였다. 그 유명한 베르사이유 궁전의 화려함 속에도 욕실이나 화장실이 없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페스트가 유럽을 휩쓸고 간 것은 우연이 아니다.

확인되지 않은 역사에는 중세 유럽을 몽골군보다 더 공포로 몰아넣었던 흑사병은 중국 남부에서 발생했고 몽골 병사들을 통해서 북부로 옮겨졌다고 한다. 이 흑사병이 몽골 왕실을 무너뜨렸다는 설도 있다. 원나라 통치자들의 납득할 수 없는 연쇄적 죽음이 흑사병과 연관이 있다는 소문이다. 중국에서 발생한 흑사병은 유럽으로 건너가서 유럽의 불결한 환경에 급속도로 번져나갔다. 유럽인구의 1/3이 이 병에 걸려서 죽었다.

쥐는 인간이 있는 곳이면 어디에도 있으며 언제나 골칫덩이였다. 하멜른은 멋진 도시였지만 쥐는 항상 말썽이었다. 쥐는 곡식을 축내고 병균을 옮기고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사람들은 시장에게 쥐를 없애달라고 민원을 넣지만 시장은 방법이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낯선 남자가 피리를 가지고 나타난다. 그는 시장에게 도시의 쥐들을 모두 없애 줄 테니 금화 천 냥을 달라고 요구한다. 이 피리 부는 사람이 피리를 불자 여기저기 숨어있던 쥐들이 모두 사나이를 뒤따라가 강에 빠져 죽고 만다.

시장은 문제가 해결되자 약속한 금액의 일부만 주고 사나이를 쫓아낸다. 얼마 후 이 사나이는 하멜른에 다시 나타나 피리를 불었고, 이번에는 아이들이 사나이의 뒤를 따르게 되었다. 이후 하멜론에서 아이들을 다시는 볼 수 없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일설에는 이 아이들이 십자군전쟁에 끌려갔다는 이야기도 전해져 온다.

▲ 아침 밥상에 올라온 쥐 한 마리

하멜른 아침 밥상에는 쥐가 한 마리 올라와있다. 쥐 조형물의 용기이다 그 안에 삶은 계란이 담겨있다. 아침부터 비가 내린다. 빗길을 힐데스하임까지 50km를 달려가야 한다.

▲ 9월 13일 만난 길에서
▲ 9월 13일 만난 길에서
▲ 9월 13일 만난 이정표

힐데스하임까지 왔지만 이곳 호텔 비용이 만만치 않다. 최하가 200유로 넘는다. 400일이 넘는 여정을 하면서 하룻밤 숙박비로 그렇게 지불하기는 너무 부담이 컸다. 그러지 않아도 유럽의 숙박비가 만만치 않아서 부담이었는데 둘러보니 강가에 야영을 하면 분위기도 나고 유럽 대지의 기운도 느낄 수 있겠다 싶었다.

▲ 유모차와 텐트

혼자 야영을 할 때 제일 고려 대상은 사람이다. 사람이 제일 무섭다. 사람의 눈이 띄지 않는 으슥한 곳에 텐트를 치고 자리에 눕는다. 거센 바람이 밤새도록 윙윙거린다. 잠이 들었는가 싶었는데 빗방울이 텐트를 때리는 소리까지 으스스하게 들린다. 재밌고 신비스런 동화가 아니라 괴기스런 동화의 밤을 지새워야 했다.

▲ 2017년 9월 1일 네델란드 덴하그에서 2017년 9월 14일 힐데스하임까지

* 평화마라톤에 대해 더 자세한 소식을 알고 싶으면 공식카페 (http://cafe.daum.net/eurasiamarathon)와 페이스북 페이지(http://facebook.com/eurasiamarathon)에서 확인 가능하다. 또한 다음카카오의 스토리펀딩(https://storyfunding.kakao.com/project/16870)과 만분의 일인 1.6km를 동참하는 런버킷챌린지 등의 이벤트를 통해 후원과 함께 행사의 의미를 알리고 있다

[편집자 주] 강명구 시민통신원은 2017년 9월 1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1년 2개월간 16개국 16,000km를 달리는 유라시아대륙횡단평화마라톤을 시작했다. 그는 2년 전 2015년, '남북평화통일' 배너를 달고 아시아인 최초로 미대륙 5,200km를 단독 횡단한 바 있다. 이후 남한일주마라톤, 네팔지진피해자돕기 마라톤, 강정에서 광화문까지 평화마라톤을 완주했다. <한겨레:온>은 강명구 통신원이 유라시아대륙횡단평화마라톤을 달리면서 보내주는 글과 이와 관련된 글을 그가 마라톤을 완주하는 날까지 '[특집]강명구의 유라시안 평화마라톤'코너에 실을 계획이다.

편집 : 김미경 편집위원, 이동구 에디터

강명구 시민통신원  myongkukang@hotmail.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