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에서 들려주는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 90. 91일째

몸 상태가 최고에 이르는 날이면 몸이 아스팔트 위를 통통 튀는 느낌을 받는다. 오늘이 그런 날이다. 어제는 그렇게 피곤이 몰려오면서 비 맞은 진흙벽돌처럼 무너져 내렸는데 오늘은 이렇게 산뜻하고 활력이 넘친다. 가진이네 가족이 소피아에서 진하게 끓여 공수해온 사골국을 배불리 먹었을 뿐인데 말이다.

▲ 소피아에서 비행기를 타고 이스탄불까지 날아온 가진이네 가족과

이렇게 육신이 최고 움직임을 보일 때 나는 타고난 음악적 자질이나 음감은 없어도 내 두 다리로 전해오는 동적인 리듬 위에 내 몸을 맡길 줄은 안다. 공원이나 숲길이나 강변을 달릴 때 들려오는 새소리, 바람소리, 물소리는 깊은 음악적 자질이 없어도 최고 리듬감을 내게 선사한다.

내가 지나는 길은 통칭 지중해라고 부르지만 흑해와 에게 해를 보스포러스 해협으로 이어주는 마르마라 해이다. 지중해의 풍요로운 햇살이 나의 발길을 유혹하여 이끌고 마르마라 해의 파도소리와 갈매기 소리가 발걸음에 화음을 넣어준다. 나는 달릴 때 언제나 박자에 맞추어 움직이고 어떤 알 수 없는, 보이지 않는 지휘자의 손끝을 예민하게 응시하게 된다.

▲ 해변을 끼고 달리면서

‘터키 행진곡’이란 피아노곡은 모차르트가 작곡한 곡이지만 모든 군대행진곡의 원조는 오스만 튀르크 군대 행진곡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오스만 튀르크군의 군대행진곡은 장엄하고 경쾌하고 위용이 있었다. 이 행진곡이 울려오면 적들은 싸움하기도 전에 미리 겁을 먹고 도망가기 바빴다고 한다. 메흐테르 군악대는 세계 최초 군악대로 1299년 창설되었다. 군인들 사기를 북돋기 위해 포탄이 집중세례를 퍼붓는 전쟁터에서도 눈 하나 깜짝 않고 연주를 계속했다. 군악대란 무엇인가를 보여주어 그 이미지를 만든 것이다. 지금은 톱카프 궁전 앞에서 관광객을 위해 연주를 한다. 궁전 앞에서 관광객들과 학생들을 위해 연주하는 군악대의 음표를, 나도 달리면서 똑같이 찍어내고 있다.

이스탄불에는 서양과 동양이 공존하고, 과거의 향수와 미래의 희망이 공존하며 독특한 조화를 이루는 도시이다. 보스포루스 해협과 골든 혼에 햇살이 비출 때 반짝이는 물결, 하늘을 찌를 듯 높게 솟아 있는 수많은 모스크의 미나레트와 왕궁과 해안가에 빼곡히 들어선 멋진 가옥들이 동화 같은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 보스포루스 해협가의 고풍스런 가옥들

이스탄불은 확실히 동화 같은 요소가 많다. 시장에는 알라딘의 요술램프에서 나온듯한 진귀한 물건들이 값싸게 팔리고 있고 식당에서 나오는 냄새는 입맛을 자극하여 내 영혼을 홀리기에 부족하지 않다.

이스탄불은 황홀하고, 매혹적이며, 신비하고, 역사적이며, 용광로처럼 무엇이든 녹여내서 새로운 것을 탄생시킬 것 같다. 동서양의 대륙을 다 품은 유일한 도시는 말 그대로 동서양의 인종과 문화와 역사와 먹거리를 다 품었다. 그런 도시를 달리는 기분은 양탄자를 탄 왕자가 새로운 요술 세계로 여행하는 기분이었다.

▲ 이스탄불의 밤거리(사진 불가리아 교민 김수임)

초겨울 아시아 쪽에서 떠오르는 해가 높은 첨탑을 물들일 때면 이슬람 전통과 현대가 하나가 되어 이스탄불을 더 이스탄불답게 만들었다. 내가 두 대륙에 걸쳐있는 하나의 도시 이스탄불에서 본 것은 태양은 아시아 쪽에서 뜬다는 것이다.

▲ 사진 출처 불가리아 교포 김수임

이스탄불은 인구 천오백 만의 초대형 도시다. 삼백만 명의 시리아 난민이 있고 그 중 80만 명이 어린이라 한다. 글을 쓰는 지금도 성소피아 성당 앞을 지나올 때 피리를 불며 구걸하던 잘 생긴 시리아 난민 어린이 얼굴이 눈에 밟힌다. 전쟁의 참화를 겪은 마음의 상처가 평생 그 아이를 할퀴며 괴롭힐 것이기 때문이다.

이스탄불은 여러 제국의 수도였다. 제국이 바뀔 때마다 이름도 바뀌었다. 비잔티움, 콘스탄티노플, 이스탄불로 바뀌면서 서로 다른 문명이 켜켜이 쌓여 남다른 도시가 되었다. 도시의 어느 곳을 파도 옛 보물이 나오고 유적이 나오는 곳이라 유네스코는 이스탄불에 고층건물을 짓지 못하게 했다. 이 역사적인 도시는 터키 서쪽에 있다.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 흑해와 지중해 사이의 보스포루스 해협을 품고 위치한 도시이다.

▲ 옛 감옥을 개조한 최고의 호텔 훠시즌

로마가 게르만 민족의 이동으로 곤경에 쳐하자 콘스탄티누스 1세가 330년에 그리스 식민 도시인 비잔티움(Byzantium)을 제2의 수도로 삼고 자기의 이름을 따서 '콘스탄티노플'이라 불렀다. 이곳에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장엄한 성 소피아 성당이 있다. 블루모스크가 있고 콘스탄니누스 대제의 고대 전차 경기장이 있고 16세기에 건축된 쉬레이마니에 모스크가 있다. 오스만의 절대 권력자 술탄이 살았던 톱카프 궁전도 보스포루스 해협과 맞닿고 있다.

▲ 오스만의 절대 권력자 술탄이 살았던 톱카프 궁전도 보스포루스 해협과 맞닿고 있다.
▲ 유럽과 아시아를이어주는 보스포러스 해협의 다리

한때 콘스탄티노플은 1054년 동서교회 분열 때 동방교회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한참 세월이 흐른 후 1453년 술탄 메흐메트 2세는 이곳을 점령하여 오스만 제국의 수도로 삼고 ‘이스탄불’(Istanbul)이라 불렀으며, 1923년 서구 세력에 와해된 제국의 마지막 술탄이 수도를 앙카라로 옮길 때까지 오스만 제국 최고 도시로서 영화를 누렸다. 그 후로도 사람들 마음 속 터키 수도는 영원히 이스탄불로 남아 있는 것이다.

성소피아 성당을 건설하기 위해 비잔티움 제국의 모든 것이 동원되었다. 유스티아누스 황제는 성당이 불에 타는 것을 막기 위해 목재 대신 석재를 사용하였다. 그는 이 걸작 성당을 짓기 위해서 제국의 각지에서 대리석을 옮겨오도록 명령했다. 이때 에페스의 아르테미스 신전과 델피 신전의 대리석 기둥이 뽑혔다. 백색의 대리석은 마르마라 지역에서, 녹색의 대리석은 유베지역, 분홍색의 대리석은 신나다 지역, 노란 대리석은 아프리카에서 가져왔다.

▲ 성 소피아 성당(사진 불가리아 교민 김수임)

성당의 또 하나의 자랑은 56m의 높은 돔이다. 천장은 붉은색을 띤 황금색으로 빛나고 거대한 대리석 기둥들이 받치고 있다. 내부의 벽면은 화려한 모자이크화로 장식했고, 벽이나 천장은 석고를 바른 다음 유리로 만든 금칠 조각들을 이용하여 모자이크화를 만들었다.

▲ 성소피아 사원 블루 모스크

13세기 초 제4차 십자군 전쟁이 결과적으로 소피아 성당의 쇠락을 가져온다. 당시 십자군은 베네치아 상인들의 농간으로 예루살렘을 향하지 않고 이 성당이 있는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한다. 결국 이 사건으로 가톨릭과 동방정교가 갈라서면서 비잔틴 제국은 차츰 세력을 잃게 된다. 이후 오스만 튀르크에 의해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되자 성당에 이슬람 첨탑인 미나레트가 들어서며 이슬람 사원인 모스크로 변모하게 된다.

언제나 큰 변화는 작은 것에서 시작한다. 사골국을 배불리 먹고 바로 다음날 활기를 되찾은 나의 몸처럼 철조망을 걷어낸 한반도는 금방 활력을 되찾아 세계평화의 중심국이 될 것이다.

▲ 터키교민과 함께
▲ 이스탄불에서 만난 사람들
▲ 2017년 9월 1일 네델란드 헤이그에서 11월 30일 터키 이스탄불i까지 달린 길(누적 최소거리 약 3328.95km )

* 평화마라톤에 대해 더 자세한 소식을 알고 싶으면 공식카페 (http://cafe.daum.net/eurasiamarathon)와 공식 페이스북 (http://facebook.com/eurasiamarathon), 강명구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kara.runner)에서 확인 가능하다. 다음카카오의 스토리펀딩(https://storyfunding.kakao.com/project/18063)과 유라시안마라톤조직위 공식후원계좌(신한은행 110-480-277370/이창복 상임대표)로도 후원할 수 있다. 

[편집자 주] 강명구 시민통신원은 2017년 9월 1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1년 2개월간 16개국 16,000km를 달리는 유라시아대륙횡단평화마라톤을 시작했다. 그는 2년 전 2015년, '남북평화통일' 배너를 달고 아시아인 최초로 미대륙 5,200km를 단독 횡단한 바 있다. 이후 남한일주마라톤, 네팔지진피해자돕기 마라톤, 강정에서 광화문까지 평화마라톤을 완주했다. <한겨레:온>은 강명구 통신원이 유라시아대륙횡단평화마라톤을 달리면서 보내주는 글과 이와 관련된 글을 그가 마라톤을 완주하는 날까지 '[특집]강명구의 유라시안 평화마라톤'코너에 실을 계획이다.

사진 :강명구, 불가리아 교민 김수임

편집 : 김미경 편집위원, 이동구 에디터

#강명구선수유라시아평화마라톤 91일째(2017년 11월 30일)

강명구 시민통신원  myongkukang@hotmail.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