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 소통 공간 <한겨레:온>을 적극 지원하라

지난 5월 15일 창간기념일에 나온 기사 <35살 한겨레가 다시 뜁니다>를 보았다. 한겨레는 창간 35주년을 맞아 신뢰를 회복하고 독자·주주·후원회원들께 한 걸음 더 다가가기 위하여 윤리·보도 신뢰 회복독자·주주·후원회원들과의 소통한국 사회의 의제 설정 세 가지 의제를 구체화할 것이라고 했다. 

<한겨레:온>이 독자·주주·후원회원의 소통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는 중이라고 생각하기에 두 번째 의제에 어떤 내용을 담았나 궁금했다. 

- 독자·주주·후원회원들에 더 다가갑니다

한겨레를 향한 의견과 쓴소리를 직접 듣고, 소통하겠습니다. 창간 35년을 맞아 시작하는 ‘삼삼오오 한겨레’는 독자들과 대표이사 등 한겨레 구성원들이 만나는 다양한 형식의 자리입니다. 5월18일 저녁 8시 한겨레신문사 사옥 스튜디오에서 <한겨레TV>의 대표 영상 프로그램 <공덕포차> 공개방송으로 시작합니다. 6월17일에는 청암홀에서 아이를 키우며 고민하는 부모를 위한 <육퇴한밤> 공개방송 ‘육퇴한 낮’이 열립니다. 정전 70년의 의미를 되새기는 현장 답사나 지역 독자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도 추진합니다. 주주들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또한 업그레이드해 가동합니다. 뉴스 생산의 심장부인 뉴스룸국과 영상 스튜디오, 오랜 세월 공덕동을 지켜온 윤전실 등에서 한겨레 역사와 현재를 소개받고 뉴스룸 국장 등과 대화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독자·주주·후원회원의 소통 공간인 <한겨레:온>에 대한 언급은 어디에도 없다. <한겨레:온>은 올해 9년째다. 그동안 조금씩 진화하면서 필진을 주주에서 독자·후원회원까지 확장하였고, 기사 내용 또한 점차 다양화·전문화되어 가고 있는데... 왜 <한겨레>는 <한겨레:온>을 적극 활용하여 소통을 꾀하지 않을까. 다 된 떡에 고명만 얹으면 되는데... 주는 떡도 못 먹는 <한겨레>가 참 답답하다고  생각했다. 

사진 출처 : 한겨레:온(http://cms.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63)
사진 출처 : 한겨레:온(http://cms.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63)

 <한겨레:온> 심창식 필진이 '한겨레열린편집위원'으로 위촉되면서 이종규 저널리즘책무실장이 쓴 첫 칼럼 [이종규의 저널리즘책무실] 소통, 시민주 신문 한겨레의 숙명 기사를 보자. 

"11기 한겨레열린편집위원회가 지난 22일 첫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서 8명의 위원 중 한명인 심창식 <한겨레:온> 편집위원이 이런 말을 했다.

“한겨레가 최근 1면 알림을 통해 주주·독자·후원회원들에게 더 다가가겠다고 했다. 그런데 내용을 보니 일회성 행사들이더라. 상시적으로 독자들과 소통하겠다는 의지가 안 보인다.”

그러면서 가칭 ‘단소리 쓴소리’ 코너를 신설해보자고 제안했다. 한두줄짜리라도 좋으니 독자들의 의견을 상시적으로 접수하는 통로를 만들고, 일주일에 한번씩 그것들을 모아 오피니언면에 싣자는 것이다. 독자나 후원회원들이 한겨레에 하고 싶은 말이 많을 텐데 ‘뒷담화’만 하게 하지 말고 멍석을 깔아주자는 취지다. 한겨레가 독자들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는 걸 독자들이 느낄 수 있게만 해도 불만이 조금이나마 누그러지지 않겠냐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심 위원은 한겨레에 대한 애정이 남다른 창간 주주독자다. 한겨레 창간 때 은행원이던 그는 수개월치 월급을 털어 주주로 참여했다. 창간 이후 지금까지 단 한번도 한겨레를 손에서 놓아본 적이 없다. 스스로를 ‘한빠’라고 부른다. 지금은 한겨레 주주·독자·후원회원들의 온라인 뉴스 커뮤니티 <한겨레:온>에서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의 말을 허투루 넘길 수 없는 이유다. 그는 한겨레가 문재인 대통령 열성 지지자들과 극심한 불화를 빚던 2017년 5월 <한겨레:온>에 이렇게 썼다.

“한겨레 창간 주주들은 한겨레를 잉태한 주주로서 일종의 ‘어미’ 같은 심정을 갖고 있다. 잘나도 내 새끼요, 못나도 내 새끼다. 한겨레가 독자들로부터 찬사를 들으면 기분이 좋지만 욕을 먹는다 해도 같이 욕할 수만은 없는 게 창간 주주들의 솔직한 심정이다.”(심창식 칼럼, ‘한빠’가 ‘문빠’를 만났을 때)

사실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웬만한 앙금은 상대방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해소되는 경우가 많다. 오해를 풀거나 접점을 찾기 위한 대화는 그다음이다. 한겨레와 독자 사이 관계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특히 한겨레 주주독자들은 대체로 참여 욕구가 강하다. 한겨레가 잘되기를 누구보다 바라는데, 언제부터인가 한겨레가 독자들의 의견을 들으려 하지 않는다고 서운해한다.

물론 정치적 양극화의 심화로 독자와 소통하는 일이 예전보다 힘들어진 건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이 ‘닫힌 성채’를 정당화하는 이유가 될 수는 없다. 독자 없는 언론은 존재할 수 없다는 점에서, 독자·시민과의 소통은 모든 언론사의 생존이 걸린 문제이기도 하다. 언론인을 위한 교과서로 불리는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은 열번째 저널리즘 원칙으로 ‘시민의 역할’을 꼽는다. ‘집단 지성으로서의 뉴스’로 특징지을 수 있는 새로운 저널리즘을 위해 뉴스 제작 과정에 수용자를 초청하고, 뉴스에 대한 시민의 반응을 경청하고 대화를 촉진하라고 이 책은 권고한다.

한겨레도 이를 모르지 않는다.  10년 전 2013년 5월, 한겨레는 창간 25년을 맞아 ‘창간 정신의 진화’ 보고서를 펴냈다. 보고서는 확장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한겨레가 처한 위기의 원인으로 짚었다. 확장성이 취약하다 보니 매체의 영향력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진단이었다. ‘민주주의, 분단 극복, 민중 생존권’이라는 창간 정신은 여전히 유효하나, 진화와 혁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진화와 혁신의 열쇳말로는 독자·시민과의 ‘소통’을 꼽았다. 언론의 사명이라 할 수 있는, 현실에 대한 ‘전체 그림’을 보여주는 일은 소통을 통해서만 이뤄낼 수 있다고 봤다. 그동안 한겨레가 사안의 전모를 보여주는 데 소홀하고 ‘부분적인 그림’을 제공해왔다는 반성이기도 했다. 열린편집위원회는 그런 고민의 산물이었다.

소통은 시민들의 참여로 탄생한 한겨레의 숙명이다. 때로는 거칠고 날이 선 목소리와 마주할 수도 있지만, 독자는 언제나 기사에 문제를 제기하고 따지는 사람들이라는 걸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독자의 비판을 자본과 권력의 부당한 압력과 같은 차원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10년 전 ‘창간 정신의 진화’ 보고서는 새로운 25년의 비전으로 ‘말 거는 한겨레’를 제시했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우리에게 더 필요한 태도는 독자와 시민의 제안과 비판에 귀를 기울이는 것, 곧 ‘말 듣는 한겨레’가 아닐까 싶다."

이종규 저널리즘책무실장의 글에 이런 내용이 나온다.

'소통은 시민들의 참여로 탄생한 한겨레의 숙명이다'
'진화와 혁신이 필요하며 이의 열쇳말이 독자·시민과의 ‘소통’이다.
'언론의 사명인 현실에 대한 ‘전체 그림’을 보여주는 일은 '소통'을 통해서만 이뤄낼 수 있다'.  

<한겨레>가 유일하게 공식 주주 소통 공간으로 만든 <한겨레:온>을 제쳐두고, 소통소통해야한다고 하면 소통소통으로 들리지 않고 소똥소똥으로 허무하게 들릴 뿐이다. 

이종규 실장은 '독자와 소통하는 일이 힘들어진 건 사실이지만 그것이 ‘닫힌 성채’를 정당화할 수는 없다'고 했다. <한겨레:온>은 '닫친 성채'가 아니다. 독자·주주·후원회원이라면 누구나 글을 올릴 수 있는 열린 공간이다. 이왕 <한겨레>가 만들었으니 주주 편집위원들의 봉사에 <한겨레:온>을 맡겨두지 말고 독자·주주·후원회원들이 신바람나게 참여하는 '열린 성채'가 될 수 있도록 우선 다음 다섯 가지 사항을 지원해주기 바란다.  

1. <한겨레:온> 전담 직원(편집·관리·운영)을 배치해달라
2. 1년에 한 번 필진들의 오프라인 소통도 계획해달라
3. 현재 부정기적으로 한겨레 지면에  실리고 있는 <한겨레:온> 홍보를 멈추지 말아달라
4. 독자·주주·후원회원의 이멜이나 문자로 <한겨레:온> 존재(기사 소개 등)를 안내해달라 
5. 다음이나 네이버 등 포탈에 <한겨레:온> 매체 등록을 추진해달라  


관련기사 : 35살 한겨레가 다시 뜁니다
관련기사 :[이종규의 저널리즘책무실] 소통, 시민주 신문 한겨레의 숙명
관련기사 : ‘한빠’가 ‘문빠’를 만났을 때
관련기사 : [열린편집위원의 눈(심창식)] : 민주주의가 위협받는 시대의 한겨레 


편집 : 김미경 편집위원  

김미경 편집위원  mkyoung60@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