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군의 계획된 첩보전 - 봉오동전투도

봉오동 독립전쟁은 승전일인 67일 하루의 전투가 아니라 192064일부터 67일까지 봉오동을 중심으로 벌어진 사흘간의 전투를 모두 포함한 전쟁을 의미한다. 김수빈은 이 사흘간 벌어진 전투를 하나의 그림에 모두 넣었다.

1919년 4월 임시정부 수립 직후 봉오동에 본격적인 정예부대 <대한군무도독부>가 창설되었다. 마적들로부터 마을을 지키는 사병부대가 한일병탄 이후 독립군으로 전환된 것이다. 그들은 1910년 전부터 10여 년 간 훈련된 완전무장한 정예 병사들이었다. 중국 동북삼성 군벌들 간의 전투에 참전했던 경험을 비롯해  실전 경험이 많은 군인들이었다.

<대한군무도독부> 독립군은 19201월부터 봉오동전투 직전까지 온성, 종성, 회령 등 두만강 건너의 국경수비대와 헌병대에 대한 국내 진공작전을 본격적으로 전개했다. 1920년 초 임시정부는 독립전쟁 원년의 해를 선포했던 터이다. 잘 훈련된 정예 군인 수십, 수백 명으로 구성된 봉오동의 독립군들이 수시로 두만강을 건너 국내진공작전을 펼치자 일본군의 피해가 급증했다.

일본군은 두만강변의 국경수비대 초소를 늘리고 수비를 촘촘히 했다. 그러나 <대한군무도독부> 독립군의 공격은 더욱 거세졌다. 이에 조선 주둔 일본군사령부는 봉오동의 독립군기지를 토벌하고 북간도 독립군의 씨를 말리기로 결정했다일본 군대가 두만강을 건너 중국의 영토에서 전쟁을 치르는 일은 쉽지 않은 선택이었다. 그러나 계속 세력이 커지며 직접 국내습격전까지 벌여 일본군에 치명타를 입히는 봉오동의 <대한군무도복부> 독립군을 그대로 둘 수는 없는 일이었다. 일본군은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을 감수하고 봉오동으로 쳐들어 갔다

당시 첩보로 일본군의 본격적인 공격에 대해 이미 파악하고 있던 최운산 장군은 블라디보스톡에 머물고 있던 체코군단의 무기를 대량으로 구입해 오는 등 일본군과의 일대 격전을 준비했다. 그리고 북간도 독립군의 지휘 체계를 일원화하기 위해 군복과 식량, 무기를 제공하는 등 통합에도 힘을 쏟았다장기간 훈련된 <대한군무도독부>를 중심으로 구체화되기 시작한 독립군 통합작업은 수차례의 회동 끝에 1920년 5월19일 대통합을 이루었다. 

봉오동에서 <대한북로독군부>가 결성된 것이다1919년 거국적인 3.1운동 이후 독립군을 지원하는 애국청년들이 모여들어 북간도 무장독립군의 숫자가 급격히 늘어나자 최운산 장군은 자신의 소유지 십리평에 <사관연성소>를 설립해 그들을 훈련시켰다. (소장 김좌진) 이들은 봉오동에서 만든 정식 군복을 입고 러시아제 신식무기를 갖춘 무장 독립군이 되었다본격적인 결전을 위해 연해주에서 봉오동으로 이동해온 수백 명의 독립군들도 결집했다. 통합군단 <대한북로독군부>의 병력은 수천에 이르렀다.

김수빈 작가의 계획된 첩보전 - 봉오동전투도 
김수빈 작가의 계획된 첩보전 - 봉오동전투도 

6월 4일 대한북로둑군부 독립군이 두만강변 강양동의 국경수비대를 습격하고 봉오동으로 돌아왔다. 봉오동 독립전쟁의 시발점인 이 강양동전투에 대한 일본군 전투상보와 임시정부 군무부 발표가 동일하다. 독립군의 공격을 받은 일본군은 곧바로 대응하지 않고 19사단을 비롯한 병사들을 두만강변 하마탕으로 결집시키며 봉오동으로 쳐들어 갈 토벌전을 준비했다.

이틀 간 만반의 준비를 갖춘 일본군은 6월6일 밤 10시 경 삼둔자에서 교전을 시작했다. (일본군 전투상보는 오후 9시 30분 경으로 기록) 삼둔자전투 후 하마탕에 모여 출발 준비를 하던  일본군은 규모 때문인지 도강 위치를 바꾸어 밤새 두만강을 건너 안산 부근에 도착했다. 그러나 그곳에는 이미 그들의 움직임을 파악한 우리 독립군이 어둠 속에서 일본군을 기다리고 있었다.

6월 7일 새벽 3시 30분 경 안산전투가 시작되었다. 안산 부근 300미터에서 교전이 있었다. (일본군 전투상보는 345분 안산북방 2,000미터 교전이라고 기록했다.) 안산전투 후 일본군은 봉오동 마을길을 따라 진입하지 않고 길이 없는 고려령 산줄기를 넘어 봉오동 상촌을 향해 이동했다. 독립군에게 들키지 않고 비밀리에 이동하기 위해 산을 넘고 있었지만 봉오동의 지휘부는 그들의 움직임을 모두 파악하고 있었다.  

일본군은 아침 630분 고려령 서편 1,500미터 지점에 도착했고 고려령을지키고 있던 <대한북로독군부> 독립군과 전투를 치렀다. (전투상보에는 오전 6시 표고 334고지 교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본군이 봉오동으로 가는 길목 요소요소에 매복한 <대한북로독군부> 독립군은 일본군에 타격을 입히며 봉오동으로 돌아갔다. 유인작전이었다.

당시 <대한북로독군부> 독립군은 이미 상촌의 연병장을 둘러싼 산위에 참호를 파고 매복한 채 일본군을 기다리고 있었다.  고려령을 넘어온 일본군이 오후 1시 경 봉오동 중촌에 도착했으나 마을이 텅비어 있었다. 빈 마을과 비어있는 독립군 본부를 살펴본 일본군은 우리 독립군을 비웃으며  독립군의 뒤를 쫓아 상촌을 향해 진군을 시작했다. 우리 독립군의 작전에 걸려든 것이다. 

본격적인 봉오동전투가 기다리고 있었다. 일본군의 후미가 독립군의 매복 지점을 통과하자 봉초봉에서 이를 지켜보던 사령관 최진동 장군이 총공격을 명령했다. 산을 울리는 권총 소리와 함께 집중 공격이 시작되었다.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쉬지 않고 전투가 이어지던 중 하늘에서 억수같이 비가 내리고 아이주먹만한 우박이 떨어졌다. 4시경이었으나 이미 사방이 어두워지기 시작했다.

앞이 보이지 않는 비로 인해 전투가 소강상태에 들어갔다. 일본군은 이미 전의를 상실할 정도로 타격을 입은 상태에서 후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자신들의 근거지 봉오동의 지형을 훤히 알고 있는 <대한군무도독부>군은 눈앞이 보이지 않는 빗속에서도 산길을 달려 일본군의 퇴각로를 차단하고 공격해 큰 피해를 입혔다.  그리고  일본군의 후속부대가 봉오동을 향해  들어오고 있다는 것을 파악한 뒤 후퇴하던 일본군과  일본군의 후속부대가 마주치는 지점에서 양 쪽을 모두 공격하다 산길로 사라졌다.  상대가 보이지 않는 빗속에서 일본군끼리 서로 치명적 타격을 주고 받은 전술로 우리의 승리가 굳어졌다이렇게 삼일 동안 전투에서 <대한북로독군부> 독립군은 압승을 거두었다

김수빈 작가는 봉오동전투도를 그리기 위해  북간도 무장투쟁사를 공부했다. 그리고 젊은이답게 봉오동의 지형을 그림에 반영했다. 구글지도를 열어 실제 봉오동의 산들을 익혔고, 각 산에 위치한 부대의 역할과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했다. 역사 사료로 확인한 전투 현장과 일본의 퇴각로 등을 마치 지도처럼 그려 넣은 전투도다.

그래서 그림의 제목이 <독립군의 계획된 첩보전 - 봉오동전투도>이다.

2021년 10월에 열린  단국대학교 졸업전시회 에 출품된 작품 봉오동전투도. 오른쪽이 김수빈 작가 
2021년 10월에 열린  단국대학교 졸업전시회 에 출품된 작품 봉오동전투도. 오른쪽이 김수빈 작가 

김수빈 작가는 하늘에서 비가 내려 독립군의 승전을 도운 것을 왼쪽 상단에 용이 비구름을 몰고 온 것으로 표현했다. 6월 7일 4시경 전투가 가장 치열했던 순간에 눈앞이 보이지 않을 만큼 억수 같은 비가 내렸고, 나쁜 날씨 덕분에 지형 지물을 잘 아는 대한북로독군부 독립군이 완벽하게 승전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봉오동의 탄탄한 한인사회의 생활기반을 나타내기 위해 민가와 논밭을 그려넣었고, 무장독립군기지 봉오동을 표현하기 위해 연무장을 곳곳에 배치했다. 특히 일본군 퇴각로는 굉장히 구불거리게 표현했는데 일본군이 전세가 기울자 정신없이 퇴각하던 모습을 표현했다."

"조선의 들풀을 전투지마다 그려넣어 당시 외롭고 고단했을 독립군에게 조선의 향기를 실어다 드리고픈 작가의 심정을 반영하였다." 

전투 당시 비가 억수같이 쏟아졌던 것을 구름에 싸인 용으로, 각 전투지마다 주작, , 백호 등의 신수를 활용해 이 전투가 크게 승리한 전투임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작가의 설명에 후세대 젊은이가 선조 독립군들께 바치는 감사와 존경이 담겨있다.

이 그림은 전쟁을 그린 작품답지 않게 따뜻하고 아름답다. 전쟁의 고통과 처절함을 표현하기보다 어려운 시대를 민족에 사랑과 의지로 살아내신 선조들에 대한 고마움을 더 크게 담은 작품이기 때문이다.

긴 시간의 연구와 준비 끝에 정성으로 작품을 마무리한 김수빈 작가에게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의 감사와 사랑을 전하며 할아버지 최운산 장군 형제들과 함께 계셨던 독립군 모두의 감사인사도 대신 전한다.

다양한 작품이 전시된  졸업전시회 전경
다양한 작품이 전시된  졸업전시회 전경

편집 : 최성주 객원편집위원

최성주 객원편집위원  immacoleta@naver.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