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 지방의 노

▲ 그림1 완도 지방의 노

그림1은 완도 지방에서 사용하는 노다. 노착의 생김새가 마치 통나무를 둘로 쪼개어 놓은 것처럼 둔탁해 보이지만 좌우로 잘 구르고 아주 튼튼하다. 무게가 있어 구르는 것을 도와주기도 한다. 노잎을 만들 땐 쭉나무(가죽나무), 가시나무, 참나무, 전나무(편백)를 사용한다. 노착은 주로 소나무를 써서 만든다. 가죽나무는 강하면서도 부러지지 않고 잘 휘어져서 최고로 쳐줬으나 양이 많지 않아서 쉽게 구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가시나무를 사용했으나 마르면 실금이 가는 특성 때문에 최소한 1년 정도는 바닷물 속에 담가 뒀다가 사용해야 했다. 작은 배에서는 참나무를 쓰기도 했으나, 마르면서 실금도 가고 뒤틀리는 성질이 있어 사실상 기피하는 나무였다. 한편 전나무(편백)로 만든 노잎은 가벼워 사용하기에 좋긴 하나 나무 자체의 부력으로 인해 자꾸 수면 위로 떠올라오는 특성이 있어 익숙한 사람이 아니면 노를 젓기가 무척 어렵다.

제주도의 노

▲ 그림2-1 제주도의 노
▲ 그림2-2 제주도의 배 그림(작가, 연대 미상)
▲ 그림2-3 제주도의 떼배와 노

그림2는 제주도 테우(떼배)의 노다. 가시나무를 사용해 만든 노로, 우리가 흔히 볼 수 있었던 자리돔잡이나 해조류 채취용으로 사용하던 떼배의 노다.

제주도의 노는 일반적인 노와는 좀 다르다. 노착에 노손이 없고 노잎과 노착을 연결하는 방법도 다르다. 일반적인 노에는 노반드레라는 끈이 있어 그것에 걸어서 노를 젓는데, 제주도의 노에는 노반드레가 없다. 따라서 마치 두 팔을 위로 올리는 것처럼 위로 치켜들고 노를 저어야 한다.

제주도에선 이 노가 터윗 뇌, 테윗 뇌, 들름 뇌라고도 불린다. 제주도에서는 노를 뇌라고 한다. 조선 시대의 기록을 보면 전라도의 돌산과 청산도에서도 노를 뇌라고 불렀다고 한다.

강화도의 노

▲ 그림3 강화도의 노

그림3은 강화도의 노다. 노잎을 노착에 붙이는 지점이 조금 잘록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지방의 노와 큰 차이는 없다. 노잎은 가시나무, 박달나무, 가죽나무를 사용하고, 노착은 소나무를 써서 만든다. 참고로 이는 인천시 무형문화재 제3호 시선뱃노래 기능보유자인 김병기 선생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서술하는 것이다.

통영 지방의 노
 

▲ 그림4 통영 지방의 노

그림4는 통영 지방의 노다. 노의 상착과 잎으로 각도를 잡는 일반적인 배와는 달리, 이 배는 노의 상착을 휘어지게 깎아서 만든다. 노잎의 등도 다른 지방은 약간 둥그렇게 만드는데 통영 지방은 평평하게 만든다. 노를 설치하는 위치도 일반적인 배와 다르다. 일반적인 배에서는 노를 고물에서 봤을 때 좌측에다 걸고 젓는다. 반면 통영 지방의 배는 오른쪽에다 노를 걸고 젓는다. 통영 지방에선 배를 주로 연승어업에 사용했기 때문에 조업에 편리하도록 노의 위치를 조정한 것이다.

이물의 맨 밑에 곡목을 붙여서 역풍 항해 시 배의 밀림을 막아주는 것도 통영 지방 배의 특이점이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통영 지방 배는 역풍 항해를 제일 잘하는 배로 정평이 나 있다. 이 자료는 평생을 배 목수로 살아온 경남 통영시 광도면 예포마을의 장옥만 씨가 제공한 것이다.


※사진 출전: 해양유물전시관

마광남 주주통신원  wd3415@naver.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