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피아 가는 길
불가리아로 들어올 무렵 걸으면서 쓴 필자의 글이 한겨레 신문에 실렸다. 이때 필자와 시민활동을 함께 하는 지인에게 다음과 같이 메일을 보냈다.
선생님들께
어제 북마케도니아에서 세번째 유럽국 불가리아로 넘어왔습니다. 지금까지 유럽에서 걸은 거리는 모두 604km. 오늘 마침 저의 글이 한겨레에 실렸습니다.
그동안 걸으면서 자연스레 정리된 생각을 담은 글입니다. 원제는 <원전 찬양은 민족과 인류에 대한 반역> 이었는데, 한겨레 데스크에서 제목을 바꾸었네요.
지금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가 지구촌에 충격과 공포를 주고 있습니다. 한국은 더 걱정됩니다. 잠복기에도 전염되는지의 여부가 더욱 큰 일입니다.
또하나의 걱정은 지난달 중국원전세미나에서도 나온 얘기로서, 이와 같은 사태의 충격으로 중국정부가 통제력을 상실하여 바닷가에 잔뜩 운영하고 있는 원전들 가운데 문제가 생기는 경우입니다. 바이러스는 백신이 나오면 대처할 수 있겠지만 방사능은 영구적이나 다름없고 원천적으로 통제가 안되기 때문입니다.
저는 일단 앞으로 며칠 더 지켜보고 판단하기로 했습니다. 아마도 소피아에 도착할 무렵이면 방침이 설 것 같습니다. 다행히 이곳은 유럽에서도 한류의 인기가 많은 편이고, 한국을 잘 알고 있는듯 합니다. 지금 같은 시기에 더욱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이런 길을 걷는 동안 만나는 자동차들에게 나그네가 손을 흔들어 준다. 그러면 운전자와 조수석의 사람들도 흔들어준다. 동양인이라고 배척하는 분위기는 없다.
유럽은 썬팅한 차들이 별로 없다. 차속의 사람들 얼굴표정도 훤히 보인다. 그들중 많은 이가 '저 나그네가 먼 길을 걸어서 여행하고 있다'는 상황을 알아차리고 함박웃음으로 환호를 표현한다.
여러 대의 차가 연속해서 지나가는 경우 나그네는 잠깐만 손을 흔들고 있어도 많은 환호들을 받는다. 가성비 만점이다. 게다가 상황을 알아차리는 건 여자들이 더 빠르다. 물론 웃음도 더 매력적이다~
산을 넘어서 평원에 도달할 무렵 누군가가 기다렸다가 걸어가는 나그네에게 선물을 준다. 양봉을 하시는 분이다. 아마 나그네가 걷고 있는 모습을 보고 기다린듯 하다. 감격스런 선물이다.
꿀이긴 한데, 고체형태라서 생소했다. 알고 보니 유럽은 딱딱한 꿀도 많이 먹는다. 맛을 보니 역시 꿀이다. 양봉을 하시는 분이다. 숙소에 와서 한 숟갈 먹어보니 맛이 그만이다.
이 나라도 길거리에 꽤 인물 동상이나 흉상이 많다. 민족적으로 중요한 인사들이다. 우리나라도 독립투사들을 공원에 몰아둘 게 아니라, 길거리에 배치해서 시민들이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이런 일을 소홀히 하면 어느 틈에 윤석열 같은 매국적 행태가 벌어진다.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