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우(穀雨)
우리는 24절기가 있어 예부터 이를 기준으로 농사를 지어왔고 일 년의 계획도 세웠으며 지금도 농사일에는 이 절기가 기준이 되고 있다.
24절기 중 곡우는 4월 20일 경이다. 그런데 雨(비우)자가 들어가는 절기는 곡우(穀雨)와 우수(雨水)가 있다. 이 절기는 둘 다 비와 관련이 있다.
곡우는 봄의 절기 중 마지막 절기이고 태양의 황경(黃經)이 30도에 있을 때라고 한다. 그래서 곡우에 내리는 비를 서리를 싹(모두) 가지고 가는 비라고 했다. 즉 이 시기가 되어야 여름작물을 심을 때가 된 것이다.
이때가 되면 봄비가 내려 백곡(百穀)이 윤택해진다고 하며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준비하고 볍씨를 담그는데, 부정한 일을 했거나 본 사람은 볍씨를 보지 못하도록 솔가지로 덮기도 하였다. 그만큼 종자의 중요함을 말한 것이다. 즉 이 시기가 되어야 냉해를 입지 않음을 서리를 싹 가지고 가는 때라 표현한 것이다.
이 시기에 심을 수 있는 작물들은 시금치, 홍당무, 상추, 고추 등이다. 또한 이 무렵이 되면 모든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른 시기로 우리는 예부터 곡우 물을 먹으로 깊은 산속으로 가는 풍속이 있었으며 자작나무, 박달나무, 산 다래나무 등에 상처를 내고 수액이 몸에 좋다고 하여 받아먹기도 하였다.
이러한 것은 전남, 강원, 경북, 경남 등지에서 행해졌으며 지리산에서는 후(통일)신라 때부터 곡우에 약수 제사를 지내고 조정에서 파견된 제관이 지리산 신령에게 다례 차를 올리며 태평성대와 풍년을 기원했다고 한다.
곡우와 관련된 말로는 곡우에 가뭄이 들면 땅이 석자나 마른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이 시기가 농사에 얼마나 중요한 시기인가를 말해주는 것이다. 요즘이야 수리 시설이 좋아서 물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는 있지만, 그래도 물은 아껴 써야 할 것이다.
한편 서해에서는 이 시기에 흑산도 근해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가 북상하여 격렬비열도 근해까지 올라오는 시기인데 이때 잡히는 조기를“곡우사리”라 하여 살은 작지만 연하고 맛이 좋아 상품(上品)으로 치기도 하였다고 한다.
주 :
이십사절기의 하나.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들며, 봄비가 내려서 온갖 곡식이 윤택하여진다고 한다. 양력으로는 4월 20일 경이다.
이십사절기의 하나.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들며, 양력 2월 18일경이 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330도인 때에 해당한다.
편집 : 하성환 편집위원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