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9일 노무현시민회관에서 다큐멘터리 영화 1923 関東大虐殺 (1923 Kanto Massacre)상영이 있었다. 1923년에 발생한 관동대학살을 본격적으로 다룬 한국 최초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필자는 영화를 보고, 너무나 참담한 심정이었다. 그래서 영화로 드러난 그 학살의 진상을 쳇gpt의 도움을 받아 최대한 정확히 정리함으로써 우리 국민들부터 그 진상을 제대로 알도록 하고, 국제적으로도 여론화하여 일본에 대해 책임을 묻고 사과 및 배상을 받아내는 운동에 도움 되고자 한다.

. [1923 関東大虐殺]

1. 영화는 2024815일 광복절에 공식 개봉했었고, 금년초 국회의원회관에서도 상영되었다. 20245, 일본 국회 (참의원 의원회관)에서 첫 시사회가 개최되었고, 모던 일본 역사 협회(Japan History Association 주최의 온라인 시사회(프리미어)가 있었다.(20241114). 이후 일본 내 일반 극장 상영도 추진 되다가 거의 파기되었다.

영화 감독은 김태영 & 최규석, 기획·창의 프로듀서 Jinhee Josephine Lee (이진희 교수, Eastern Illinois University), 제작 한국 인디코믹 (INDECOM) 및 한국과 일본 협업이다. 김태영 감독은, 역사·문화·사회 주제 다큐멘터리 전문 제작자이자 감독으로 활동하며, 과거 5·18 광주항쟁을 다룬 작품으로 베를린 국제영화제 초청 이력도 있다. 연로하셔서 몸이 불편한 가운데서도 생애 마지막 영화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역작을 만들었다. 최규석 감독은 복지TV 제작 팀장, 다문화TV 편성국장 등 20년 방송 경력을 가진 콘텐츠 본부장으로 1923 간토대학살을 공동연출 하고, 제작에 핵심적으로 기여했다. 이진희 교수는 간토대학살을 학문적으로 조사하고 연구하여 논문이나 학술보고서로 누구보다 소상히 파악하고 계신 분으로 보였다.

 

2. 영화의 개요를 정리하면

*역사적 맥락: 1923년의 관동대지진 직후, 조선인들을 대상으로 한 잔혹한 학살이 발생. 관동 지역에서 수천 명의 한국인·중국인들이·좌익 등의 이유로 희생됨

*영화 구성:

-일본과 한국에서의 심층 인터뷰 및 현장 취재

-해외 신규 사료 수록 (미국·유럽 신문 기사 등)

-피해자 유족, 시민 단체, 연구자, 정치인의 증언 포함

*기억과 책임에 대한 메시지:

-단순한 역사 고발이 아닌, 미래 지향적 성찰의 시선 강조

-일본 내 양심적인 목소리와 시민 연대의 중요성을 전달함 등이다.

 

3. 영화에서 드러나는 주요 사실을 본다.

 1) 사건의 배경

  1. 91일일본 관동 지역(도쿄·요코하마 일대)에서 관동대지진발생.
  • 직후 일본 내 극심한 혼란 속에서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탔다”, “방화를 한다등 허위 유언비어가 퍼짐.
  • ··자경단(민간 무장단체)이 이를 빌미로 조선인을 색출·살해.

 

 2) 학살의 규모와 방식

  • 학계 추정 6~1만 명(일본 정부 공식 수치는 훨씬 낮음).
  • 대상: 조선인뿐 아니라 중국인·사회주의자·아나키스트·일본인 활동가 등.
  • 방식··죽창 등으로 무차별 폭행. 지역에서는 총살. 유기 및 집단 매장

영화 속 증언: “발음이 일본인과 다르다는 이유로 즉결 처형된 사례, 임산부·노인도 예외 없이 살해됨.

 

 3) 은폐와 왜곡

  • 정부는 사건 직후 정확한 사망자 수·학살 규모를 축소.
  • 기록 일부 삭제·폐기.
  • 유족의 증언과 지방 신문 기록이 핵심 사료로 남음.
  • 미국·유럽 신문에 실린 당시 외신 보도를 발굴해 소개.

 

 4) 증언과 기억의 계승

  • 후손과 지역 시민단체의 활동을 인터뷰.
  • 내 양심적 지식인·정치인들이 관동대학살은 국가 책임이 명확한 집단학살임을 증언.
  • 9, 도쿄 요코아미초 공원에서 열리는 추모 행사장면 수록.
  • 일본 정부 인사들이 추도문을 보내지 않는 현실도 지적.

 

 5) 영화의 메시지

  • 지진이라는 자연재해보다 허위정보·편견·민족차별이 결합된 사회적 재난임을 강조.
  • 피해의 역사를 양국이 공동으로 기억해야 한다는 제안.
  • 사실을 모르는 일본 청년층과 해외 관객에게도 경각심을 주는 목적.

 

. 1923 대학살 사건의 일시별 정리와 보완 설명

91()

  • 1158분 관동대지진 발생 (규모 7.9, 진도 6~7). 도쿄·요코하마 일대가 큰 피해를 입음. 지진, 화재, 통신 마비, 치안 붕괴.

91일 오후~

  • 전역에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풀었다”, “방화를 한다는 유언비어 확산. 발원지는 경찰·군 관계자 및 일부 지역 행정기관. 일부 자경단 조직 결성 시작.

 

# 보완 설명

192391일 관동대지진 직후, 일본 정부는 혼란을 수습한다는 명목으로 천황 칙명에 따른 계엄령(戒嚴令)을 발령.

-발령일: 192392

-계엄지역: 도쿄부, 가나가와현, 지바현, 사이타마현 등

-계엄사령관: 육군 제1사단장 우에다 겐키치(上田 幸吉) 중장

* 하달된 지시 내용 : 여러 연구자(일본의 요시다 유타카, 한국의 박태균 등)의 발굴 자료에 따르면, 계엄사령부와 경찰·헌병이 지방 자경단 및 행정기관에 조선인 폭동 가능성을 경계하라는 지시를 내렸음.

* 주요 문구(요지): “조선인들이 방화·독살·폭탄 사용 등으로 일본을 공격할 우려가 있다.”, “불온한 조선인 및 사회주의자, 무정부주의자를 엄중히 단속하라.”, “군중에게 유언비어 유포를 금하고 질서를 유지하라.” (하지만 실제로는 군·경찰이 유언비어 확산에 가담)

* 칙령과 계엄사령부 등의 지시 실제 효과 : 이 문서가 공식 유언비어의 근거가 되어, 각 지역 자경단이 무기 들고 조선인을 색출·살해하는 빌미로 작용. ·경찰이 조선인 폭동 대비를 명목으로 무차별 연행과 폭력을 정당화.

 

92()

  • 군이 조선인 보호명목으로 연행시작 사실상 구금. 각 지역 자경단이 발음·외모·복장으로 조선인 여부 판별. 첫 집단 폭행 및 살해 보고됨(도쿄 스미다구, 지바현 일부 마을에서)

93()

  • 본격화: 도쿄 동부, 요코하마, 지바, 가나가와, 사이타마 등 확산. 도검·죽창·몽둥이 사용.

영화 속 증언: “조선어 억양만으로 처형된 사례. 일부 일본인 사회주의자·노동운동가·중국인도 희생.

94()

  • ·기사라즈 등지에서 대규모 학살발생. 수십~수백 명 단위 희생. ·경찰이 학살을 제지하지 않고, 오히려 지원하는 경우 다수.
  • 속 사료: 미국·영국 신문에서 "수천 명의 조선인 학살" 보도.

 

95()

  • , ‘치안 유지를 명분으로 계엄 확대. 동시에 언론에 사건 축소·은폐 지시. 일부 지역에서 집단 매장진행.

96~7

  • 소강 국면, 그러나 지방 소규모 살해 계속.
  • 아나키스트 오스기 사카에, 이토 노에 부부 및 조카 살해 사건 발생 (아라카와구).
    조선인 학살과 병행된 정치적 탄압 사례.

9월 중순 이후

  • 상당수가 강제 추방·감시 대상이 됨. 정부는 소요 사태책임을 유언비어 유포자 일부 처벌로 국한. 사망자 공식 통계 축소 발표.

 

이후 (1923~현재)

  • 유족·조선인 사회가 사건 기록·추모 활동 지속. 일본 내 일부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가 매년 9월 추모식 개최. 영화는 이 기억투쟁과정을 현재 시점에서 조명.

 

. 원문 사료

필자는 쳇gpt에게 가능한대로 원문 사료 제시를 요청했다. 일본 국립공문서관의 관동대지진 관계문서와 일부 신문 보도, 그리고 1960~70년대 일본 연구자들의 조사 기록에서 확인된다고 했다. 다만, 현재까지도 천황 칙명(帝勅)’ 형식의 원문 텍스트를 그대로 제공하는 자료는 찾을 수 없다고 한다. 확인된 공식 문서 및 지시 내용을 정리하면

 

1. 행정·군사 명령 (계엄령 관련)

  192392일경, “일본 정부는 내각의 긴급 회의를 통해 계엄령(行政戒厳) 적용을 결정했습니다.

계엄사령관 발령 (告諭)에는 다음과 같은 핵심 문구가 포함되었다. “不逞(불온한 움직임)에 대비하라

流言飛語(유언비어)의 확산을 금하고, 치안을 유지하라

 

이러한 명령은 조선인 등에 의한 폭동 가능성을 강조하면서, 자경단 및 군경의 폭력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기능했다.

(関東大震災政府陸海軍関係史料1계엄령 및 정부 발표 문서 수록 가능성 있음.

関東大震災史料戒厳令下大虐殺真相(2024) 실제 지시문과 문서의 해석이 담겨 있을 수 있음)

 

2. 소요의 주체가 조선인으로 명시되었는가?

당시 일본 정부와 계엄사령부가 발령한 지시문 중 일부에서는 불온한 움직임이라는 표현만 쓴 것이 아니라, 주체를 조선인으로 명시한 사례가 있다.

 

# 사료 근거

1. 경찰·헌병 지시문

192392~3일경, 내무성 경보국(警保局)과 헌병대가 하달한 내부 지령에서 조선인들이 방화, 독살, 폭탄을 사용하여 불온한 행동을 기도할 우려가 있다라는 문구가 그대로 등장한다. 이는 일본 국립공문서관 소장 관동대지진 관계문서에 포함되어 있다.

 

*비교(cf): 공식 계엄령 포고문 (표면적 명령)

192392, 내무성 등 정부는 긴급勅令(帝国憲法 8조에 의한 계엄) 형태로 행정戒厳을 선포했다 .

공식 포고문에는 不逞挙動(불온한 움직임에 대비)”이라는 포괄적 표현이 사용되었고, 특정 집단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주요 목적은 질서 유지, 유언비어 차단, 재난 대응으로 제시되었다 .

 

2. 내부 지시문 (실제 집행용 지시): “不逞鮮人(불온한 조선인)” 명시:

내무성警保局장이 93일 아침, 각 도지사 및 朝鮮総督府 警務局장에게 보낸 전보(打電)에서 다음과 같은 직접적인 경고가 등장한다.

 

東京付近震災利用朝鮮人各地放火不逞目的遂行せんとし東京市内爆弾所持石油ぎて放火するものあり...”

 

, “조선인이 지진을 이용해 방화하고, 폭탄을 소지하고 있으며... 불온한 목적 수행이라는 문구로, 조선인이 위험 인물로 표현됨 .

 

3. 자경단·지방행정에 전달: 이 같은 전보 내용은 각 지방의 자경단 형성 및 행정기관에게 전달되어, ‘조선인에 대한 경계 강화지침으로 작동했다 .

 

4. 언론 보도 : 당시 요미우리신문(1923.9.3)과 일부 지방지에서는 정부·군경 발표를 인용해 조선인 폭동설을 직접 기사화. 이 과정에서 불온한 움직임 = 조선인이라는 인식이 공식적으로 확산 되었다 한다.

 

. 상해임시정부와 독립신문의 대응

 

필자는, 당시 이 사건 관련 대한민국상해임시정부에서는 그 내용을 알았는지, 대응한 것이 있는지, 독립신문 등 한국내 보도는 어떻게 됐는지를 질문한 바 아래와 같은 답이 나왔다.

 

1. 대한민국 임시정부(상해)의 대응

 

-정보 파악 및 조사 : 임시정부는 관동대지진 발생 직후, 조선인 학살 사실에 대해 여러 경로로 정보를 수집.

-조사요원 파견 및 보고서 작성 : 일부 조사 인력을 일본에 파견하여 학살 피해 상황을 조사하고, 내부 보고서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대일 항의 및 항의서 발송 :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일본 정부에 대한 항의문을 송부. 상하이 임시정부 및 교민단은 관동대학살 소식을 접하고 일본 정부에 항의문을 송부, 교민대회 개최 및 피살 동포 추도회를 실시. 당시 한국인이 집단적으로 항의 행동을 한 드문 사례였다 .

-임시정부는 가능한 모든 경로로 사실을 확인하고 대응했으며, 그 결과를 독립신문을 통해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이 보도는 일제 시대에서 매우 드문 규모의 진상 공개였고, 이후 한국사회 역사 인식 형성에 큰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2. 독립신문의 보도 내용 및 영향

임시정부의 기관지였던 독립신문(상하이판)192394일자에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사실을 보도한 뒤, 같은 해 125일자에서는 희생자 수를 ‘6,661으로 명시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수치는 당시에 일본 현지에 있었던 독립신문 특파원 및 교민들에 의해 현장 조사를 기반으로 산출된 것으로, 전후 맥락에서 비교적 정확한 집계로 평가받고 있다.

 

이 보도는 한국 독립운동계뿐 아니라 학계와 시민사회에도 널리 회자되며, 역사적 사실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국 사회의 공적 기억과 연구, 교육 커리큘럼, 시민운동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면서 지속적인 영향을 남겼다는 평가를 받는다.

 

* 반면 한국 내 다른 언론 보도: 독립신문 외 다른 언론 보도는 제한적이었으며, 당시 국내에서의 직접적인 보도 흔적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 지금 다시 우리가 할 일

이 다큐영화는 역사적 진실을 복원하고, 반문명적 반인류적 야만세력이 된 일제의 죄없는 조선인들에 대한 집단 폭력을 성찰하는 첫걸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한일 양국의 학자, 시민, 정치인이 참여하면서 단순한 고발을 넘어 공동의 역사적 책임을 되새기게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역사 왜곡이나 망각에 맞서는 시민의 노력과 양국 시민사회 간 연대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 이 영화의 강점이다.

영화상영이 끝난 후, 처음부터 영화를 관람하신 추미애 법사위원장의 말씀이 있었다. 추미애 위원장은 간토대학살에 대해 소상히 알고 계셨고, 진상규명 등을 위해 국회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고자 한다고 말씀 하신 후, 일정상 자리를 뜨셨다.

이후 필자를 선두로 한 질의응답이 있었다. “참으로 밝히기 어려운 역사를 영화를 통해 잘 드러내 주셔서 감사하다. 1923년 관동대지진때 계엄령을 내려 대학살을 일으킨 자들이나, 오늘날 이 땅에서 계엄을 해서 그러한 학살을 하고자 한 윤건희 같은 자들은 반문명적 야만이며 악마족이라 생각한다. 생존자가 있고, 한국 법원에서 배상 판결까지 받은 강제 징용문제나 강제위안부 문제도 윤건희 정권이 다 틀어버린 마당에, 생존자가 없는 간토대학살의 진상규명과 사과, 배상을 받아내는 일이 너무나 어렵게 여겨지는데, 대책이 있을까요?”

어렵게 질문을 했는데, 의외로 희망적인 답변을 들었다. 국회에서 이미 간토대학살 진실규명 특별법이 발의되었고, 이재명 대통령(당시 당 대표)도 반드시 특별법을 입법화 해서 그 역사적 문제를 해결하겠다 하셨다는 것이다.

필자는 그때 새삼 우리가 윤건희 정권을 몰아내고 이재명 대통령 시대를 열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렇다. 이재명 대통령 시대가 되었으니 희망이 있다. 이제 문제해결의 원대한 희망을 품고 우리의 힘을 모아야겠다는 다짐이 부풀었다.

무엇보다 먼저 텀블벅 등을 통해 <<1923간토대학살>>에 후원을 해야 한다(새로운 후원 체널이 준비되고 있다 함). 이 영화가 널리 상영될수록 그 해결을 위한 국내외의 여론은 비등해지고, 국제연합 차원의 해결도 추진될 것이다. 가장 척박한 일본에 이 영화가 꾸준히 상영될 수 있도록 후원의 힘을 발휘해야 한다.

영화가 끝난 후 추미애 법사위원장 내정자께서 간토대학살과 영화에 대해 진지하고 치열하게 말씀 하심
영화가 끝난 후 추미애 법사위원장 내정자께서 간토대학살과 영화에 대해 진지하고 치열하게 말씀 하심

 

편집: 정영훈 객원편집위원.  조형식 편집위원

정영훈 객원편집위원  jyhkjmn@naver.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