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좌진만큼 오동진 장군도 알아야

1920년대 만주 항일무장투쟁의 3대 맹장은 김동삼, 김좌진, 오동진 장군이다. 그러나 김좌진, 김동삼과 달리 오동진은 한국사 교과서에서 찾을 수 없다. 1962년 독립유공자 최고등급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받았음에도 연구논문 한 편이 없다.

길을 가는 식자층 아무나 붙잡고 물어봐도 김좌진은 알아도 오동진은 모른다. 코뮤니스트가 아님에도 연구의 불모지이자 대중들에게도 무척 낯선 인물임에 틀림없다.

▲ [왼쪽]오동진 선생의 부인 회견기(<동아일보>, 1928년 2월 11일자)
선생의 부인 "이양숙(李陽淑) 여사는 지금까지 자기 남편이 남의 손에 잡힌 줄도 모르고 있던 중, 최근에 신문지상으로 그 소식을 듣고 (중략)신의주로 와서 철창에 있는 오동진과 눈물겨운 면회를 하였다"고 한다
(사진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 [오른쪽]'불굴의 투사' 오동진 선생의 추모회 보도기사(<자유신문>, 1945년 12월 4일자)
(사진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1927년 12월 26일 중국 장춘(長春) 시에서 악질 친일경찰 김덕기(평안북도 경찰부 고등계 형사)를 비롯 신의주 형사대에 피검되기 직전까지 오동진 장군의 활약상은 눈부시기 그지없다.

오동진 장군은 통의부가 창립된 1922년부터 정의부 군사위원장 겸 사령관으로 체포된 1927년까지 연인원 14,149명의 독립군을 지휘했다. 그 결과 일제 관공서 습격 143회, 일제 관리 살상 149명, 밀정과 친일부호 처단 765명은 당시 평안북도 경찰부(오늘날 광역자치단체 경찰청에 해당)가 밝힌 통계 수치로서 오동진 장군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투쟁 경력이다.

그만큼 오동진 장군은 1920년대 항일무장투쟁의 전설적 인물로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 실제로 일제는 오동진 장군을 테러리스트로 규정해 10만원 현상금을 내걸 정도였다. 당시 10만원이면 오늘날 화폐가치로 13억원에 이르는 거액의 현상금이다.

일찍이 오동진은 1889년 평안북도 의주군 광평면 청수동(靑水洞) 659번지에서 출생했다. 태어난 지 6개월 만에 생모 한씨(韓氏)와 사별했다. 오동진은 12살 때부터 계모 밑에서 성장한 후, 안창호 선생이 세운 평양 대성학교 단기 사범과를 2년 만에 졸업했다.

민족학교인 대성학교 재학 당시 오동진은 항일민족의식과 함께 기독교를 접했다. 졸업 후 고향 의주에서 1910년 민족학교인 일신학교(日新學校)를 세워 교육 구국운동을 전개하고 기독교를 전파했다.

기독교 집사로서 그리고 교육구국운동 차원에서 오동진은 기독교와 근대 교육을 열성적으로 전파했다. 그 결과 오동진이 살고 있던 마을 전체를 기독교 신앙으로 전도해 마을 사람들 모두 크리스찬이 될 정도였다.

일신학교 교사 생활은 일제가 사립학교령을 통해 일신학교를 강제 폐간시키면서 교사로서 생활을 접었다. 이후 오동진은 상업 활동에 종사하였다. 당시 상업 활동은 일제 감시를 피할 수 있는 방편이자 민족 운동가들의 연락거점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던 중 오동진이 30세 되던 해 3・1만세 시위가 전국적으로 활활 타올랐다. 오동진의 고향인 평북 의주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오동진은 3・1만세 운동 당시 적극적으로 시위에 참가하였다.

그러나 시위 참가 사실이 일제에 적발돼 체포될 위기에 처하자 가족과 함께 압록강을 건너 만주 관전현(寬甸縣)으로 망명하였다. 관전현(寬甸縣) 망명 이후, 오동진은 윤하진, 장덕진, 박태열과 함께 광제청년단을 조직해 항일민족운동을 지속했다.

이후 안병찬과 함께 안동(중국 단둥시)에서 청년단체를 통합해 ‘대한청년단연합회’를 조직했다. 오동진은 ‘대한청년단연합회’ 교육부원으로서 만주와 국내를 넘나들며 항일독립사상을 고취시키는 강연회를 주도했다.

▲ 오동진 선생이 총영장으로 활동한 대한광복군총영의 약장(1920년 7월 1일).
대한광복군총영의 명칭·목적·위치·단원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사진 출처 : 독립기념관)

1920년 7월 오동진은 ‘대한청년단연합회’를 비롯해 남만주 항일단체 일부를 통합한 ‘대한광복군 총영’을 조직했다. 오동진은 31살에 대한광복군 총영장이 되어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1920년 한 해 동안 국내로 진격해 일제 군경과 교전한 기록이 78회에 이르고 경찰관 주재소 56개소를 습격하였다.

또한 일제 식민통치의 최전선인 면사무소, 경찰관 주재소를 비롯해 행정기관 20개소를 파괴했고 일제 군경 95명을 사살하였다. 압록강을 넘나들며 일제 관공서와 경찰관 주재소에 대한 습격은 국경지방 일대, 일제의 식민통치 기능을 거의 마비상태로 만들어버렸다.

1920년대 남만주 항일무장투쟁의 주축인 통의부(1922)-정의부(1924)로 이어지는 무장투쟁에서 오동진은 통의부와 정의부 군사위원장 겸 독립군 사령관이 되어 빛나는 전과를 세웠다.

일제 경찰관서와 주재소를 습격해 적을 사살하고 관공서를 불태웠다. 그리고 일제 첩자 정갑주와 이토 히로부미 수양녀 배정자 등 매국노 암살 지령을 내리며 친일파 처단에도 물불을 가리지 않았다. 1926년 들어 오동진 장군은 항일독립운동 전선에서 천도교 혁신 세력 민족주의자와 러시아 연해주 지역 공산주의자를 포함해 ‘고려혁명당’을 건설해 일제와 끊임없이 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1927년 12월 26일 오동진 장군은 길장선(吉長線) 흥도진역(興陶鎭驛)에서 밀정 김종원에게 속아 일제에 피검된다. 한때 자신의 부하였지만 밀정으로 변심한 김종원의 계략에 넘어가 중국 장춘에서 체포된다. 오동진 장군은 신의주 지방법원과 평양복심법원에서 무기징역을 언도받았다.

그러나 법정에서 자신에게 징역형을 언도한 일본인 판사를 준열히 꾸짖는 기개를 잃지 않았다. 나아가 복역 중에도 48일 동안 단식투쟁을 감행해 항일독립지사로서 의연함과 지조를 잃지 않았다. 오동진 장군의 의연한 기백 앞에 일본인 형무소 소장조차 장군 앞에서 예를 갖출 정도였다고 한다.

1934년 무기징역에서 20년형으로 감형되지만 해방 1년을 앞두고 형무소 내 모진 고문 끝에 1944년 순국한다. 오동진 장군은 남쪽에 후손(혈육)이 없어서 동작동 국립묘지 현충원 '무후(無後)선열제단'에 133위 순국선열과 함께 위패가 안치돼 있다.

북쪽 평양 애국열사릉에도 오동진 장군의 묘가 조성돼 있어서 양세봉, 최동오, 류동열과 함께 남과 북 모두에서 항일독립투사로 인정받고 있다. 실제로 오동진은 김일성(김정은 국무위원장 조부)의 아버지 김형직과 절친이었다. 김형직이 1926년 사망한 직후, 14살 어린 김일성을 도와 정의부 소속 민족학교인 ‘화성의숙’(교장 최동오)에 입학시킨 인물이 오동진 장군이다.

오동진은 김좌진 장군처럼 아나키스트도 아니고 더더욱 코뮤니스트도 아닌 공화주의 계열 민족주의자였다. 도량이 넓고 평민적이었으며 자신이 가진 것을 모두 내어 줄 정도로 애국청년들에게 헌신적이고 매우 친절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독립에 대한 강렬한 의지와 열정으로 청년들을 감화, 탄복시키는 뛰어난 지도력을 발휘했다. 실제로 정의부 중대장이자 우당 이회영과 사돈인 정이형은 오동진 장군을 가장 존경하는 독립운동 동지라고 고백한 적이 있다.

그를 만나본 애국청년들은 오동진 장군을 평생 함께할 항일투쟁의 동지로 존경하고 따랐다고 한다. 그리하여 오동진 장군 곁에는 수많은 애국청년들이 모여들었고 항일운동단체들이 결집하였다.

남과 북에서 모두 인정받는 항일투사임에도 정작 대중의 기억 속에선 망각의 인물이 오동진 장군이다. 공주형무소에서 순국했음에도 75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오동진 장군의 유해조차 찾질 못한 오늘의 현실은 참으로 부끄럽고 안타까울 따름이다.

모름지기 이 글에선 오동진 장군의 지칠 줄 모르는 강인한 항일의지와 꺾임이 없는 불굴의 투쟁정신을 좇아 그분의 치열한 삶의 흔적을 일부라도 복기해 보고자 한다.

편집 : 하성환 객원편집위원

하성환 객원편집위원  hsh703@chol.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