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에서 들려주는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 378~382일까지

다시 넘어졌다. 왼발이 못에 걸렸다고 느끼는 순간 넘어지기까지 0.5초나 걸렸을까? 나는 넘어지지 않으려고 본능적으로 뒤쪽에 있는 오른발을 빨리 앞으로 끌어 착지를 하려했지만 늦었다. 평소 체력 같았으면 충분히 균형을 잡았을 것이다. 그 순간 길 옆 포플러 가로수에서 이 가을 첫 낙엽이었을 잎 한 장이 나뭇가지에서 바람의 파문을 따라 휘청거리며 떨어지고 있었다. 상황을 감지하고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면서도 해결 능력이 없이 당하고 말 때 생기는 쓴웃음이 입가에 맴돌았다.

▲ 2018년 9월 15일 중국 위톈 현(玉田县)전 80km에서 Fengrunzhen(丰润镇) 인근까지 달리다가 넘어지다.

이제 0.5초 사이에 내가 넘어지는 것을 막을 방법은 없다. 안타깝게도 나는 넘어져야한다. 공중그네나 외줄타기 곡예사들이 제일 먼저 배우는 것이 넘어지는 방법이라고 한다. 유도나 태권도에서도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기술을 배우기 전에 내가 잘 넘어지는 낙법을 먼저 배운다. 이제 내게 선택의 여지는 없다. 넘어지되 잘 넘어지는 수밖에... 충격을 줄여 안전하게 넘어지는 방법이 낙법이다. 이제 나는 멋지게 넘어지고 멋지게 일어나는 방법 밖에 없었다.

▲ 2018년 9월 15일 중국 위톈 현(玉田县)전 80km에서 Fengrunzhen(丰润镇) 인근까지 달리면서 만난 22바퀴 화물차들

그 낙엽이 바닥에 떨어지기도 전에 바퀴 22개 달린 괴물 같은 트럭이 사정없이 지나갔다. 핵폭탄이 터질 때 일어나는 버섯구름이 일어나 힘없이 떨어지는 낙엽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나는 먼지 구름에 쌓였다. 북적이는 시장, 그 누구도 내가 지금 넘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없게 만들었다. 연이어 공포의 삼륜차가 죽음의 검은 매연을 시커멓게 내쏟으며 벽돌을 싣고 통통통 통소리를 내며 반대 방향으로 지나간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60년대에 사라져버린 삼륜차가 이곳 매연 주범이다.

▲ 2018년 9월 13일 중국 베이징 공항 전에서 Duanjialing까지 달리면서 만난 화물차, 오토바이, 삼륜차

65kg의 내 몸은 바닥을 향해 무너져 내렸다. 피해를 최소한 줄이려면 자세를 최대한 낮추어야했다. 전반기, 중반기까지 넘어지는 일은 거의 없었는데 지난달에 도로에 박힌 못에 걸려 넘어지더니 이번에도 다시 못에 걸려 넘어졌다. 이제 이 평화마라톤이 막바지에 들어서면서 급격히 체력이 떨어지는 걸 느낀다. 체력이 조금만 더 있어도 그렇게 허망하게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바로 잡았을 것이다. 바로 앞 길 옆에는 즉석에서 전병을 구워 파는 행상이 있었다. 그 먼지 속에서 사람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두 명의 남자가 전병을 받아들고 먹고 있었으며 두 명의 여자가 차례를 기다리고 있었다.

나는 위지엔(옥전)을 지나 작은 마을 시장판을 막 지나려는 참이었다. 어느 나라든지 시장판은 시끌벅적하고 분주하지만 중국의 시장판은 더욱 요란하고 생기가 넘쳤다. 길가를 따라 햇과일을 가지고 나온 과일 장사들이 늘어섰고, 개와 염소, 오리와 닭, 거위에 비둘기까지 매물로 나왔다. 그 한쪽에는 자라를 즉석에서 고아 파는 사람도 보였다. 넘어지기 전 본 양의 선한 눈동자와 개의 동공이 풀린 눈동자가 자꾸 눈에 밟힌다.

위지엔(옥전)을 지나 산해관으로 가는 길은 연암 박지원이 한양을 출발해 압록강을 건너 박천, 의주, 풍성, 요양, 거류하를 거쳐 베이징으로, 피서산장으로 부르는 열하로 건륭제의 칠순잔치를 위해 가던 그 길을 거슬러 가는 길이다. 1780년 음력 6월 24일 280여 명의 대규모 사신단이 압록강을 건넜다. 박지원은 4촌 형 박명원의 제의로 아무 직책도 없이 그가 꿈이었던 베이징 여행길에 나섰다. 열하일기에서 박지원은 청나라 발전상을 다각도로 증언하면서 조선의 낙후된 현실을 개혁할 구체적 방안들을 제시한다.

아마 그가 이 길을 갈 때도 강행군이 이어졌었던 모양이다. 연암은 8월 8일 일기에서 “객점에 이르니 곧 밥을 내어 왔으나 심신이 피로하여 수저가 천근이나 되는 듯 무겁고, 혀는 백 근인 양 움직이기조차 거북하다”며 “상에 가득한 소채나 적구이가 모두 잠 아닌 것이 없을뿐더러 촛불마저 무지개처럼 뻗쳤고 광채가 사방으로 퍼지곤 한다.”고 적었으니 얼마나 힘든 행군인지 이해가 간다. 지금 내가 그렇다. 힘든데다가 배탈이 자주 나서 이젠 주기적으로 설사를 한다. 어제 저녁도 오늘 저녁도 제대로 먹지 못했다. 제대로 먹지 못하고 설사를 그렇게 하면서도 하루 42km 달리는 일에는 지장이 없으니 지금 내 몸이 참 신비하다. 참 신비로운 내 몸에 경의를 표한다.

또 이 길이 몽골 침략 이후 수십만 고려인들이 끌려갔던 길이었을 거란 생각이 머리를 스친다. 그들 중 일부가 힘들게 살아서 꿈에도 그리던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런 여자를 '환향녀'라고 했다. 조국은 살아서 돌아 온 그녀들을 환영하지 않았다. 가족과 이웃들은 그녀들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사람들은 그들은 '화냥년'이라고 불렀다. 더러운 년이라는 의미가 더해졌다. 그녀들은 집으로 돌아 갈 수 없었다. '화냥년'은 고려시대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일제강점기에도 6.25 이후에도 이 땅에 존재하고 있다. 잔혹한 전쟁 역사는 여자들을 지켜주지 못했고 조국은 그녀들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미군위안부가 그랬다. 그런데 넘어지는 그 화급한 순간에도 왜 미군위안부 문제는 이슈화 되지 않을까? 의문이 생겼다. 미국은 모든 추악한 모습을 잠재우고도 남을 만큼 힘이 세서 그럴까? 유라시아 나라들을 지나오면서 이제 와서 사뭇 느끼지만 미국은 참으로 엄청난 힘을 가졌고 그 힘을 간교하게 사용하고 있다.

벌거벗은 임금님처럼 유라시아 거의 모든 나라가 뒤에서는 미국을 욕하지만 앞에서 드러내놓고 흉을 보지 못하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미국을 드러내놓고 흉보는 이란이 얼마나 큰 대가를 치르고 있는지 확실히 보았고 세르비아가 또 엄청난 대가를 치렀다. 지금은 터키가 당하고 있다. 과연 벌거벗은 임금님, 미국에 옷을 입히는 것이 고양이 목에 방울 다는 것보다 더 힘들까?

과연 문재인 대통령은 감쪽같이 미국에게 멋진 옷을 입힐까? 아니면 순진한 소년처럼 미국을 향하여 ‘벌거숭이 임금님’이라고 손가락질을 할까? 그것도 아니면 비굴하게 손바닥을 비비며 멋진 옷을 입으셨다고 아부를 할까? 몸의 중심이 이제 거의 아래로 내려앉아 손바닥을 아스팔트에 대면서 내 머리에 스친 생각들이다. 손바닥을 아스팔트에 대는 순간 손바닥은 까질 것이고 그렇다고 무릎이 아스팔트에 닿지 않게 막을 수도 없었다.

손바닥이 아스팔트에 닿는 순간 손에 통증이 느껴졌고 바로 뒤이어 무릎이 바닥에 닿아서 또다시 통증이 느껴졌다. 그와 동시에 충격을 최소화하려 몸을 비틀어 한 바퀴 뒹굴었다. 그때 길가의 벽에 붙은 수많은 구호와 표어가 한눈에 들어왔다. 중국 어디를 가나 가장 아름다움 단어는 다 골라 담벼락이고 어디고 공간만 있으면 플랑카드를 붙인다. 민주, 자유, 평화, 평등, 부강, 행복, 건강. 등, 수도 없는 공허한 단어들이 울림도 없이 눈에 피로감만 더하는데 표어 하나가 눈에 확 들어온다. ‘불망초심 뢰기사명(不忘初心 牢記使命)’,‘초심을 잊지 말고 사명을 기억하자'는 뜻이다.

무릎과 손바닥에 약간의 피는 흐르지만 지난번 넘어졌을 때보다 훨씬 잘 넘어졌다. 이 정도면 성공했다. 그러나 역시 바로 훌훌 털고 일어나기에는 통증이 있어서 한참을 바닥에 앉아 있자니 옆에서 전병을 파는 사람이 다가와 뭐라고 말하는데 알아들을 수 없었다. 말은 못 알아들어도 넘어져 있을 때 누군가 다가와 내미는 그 손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이제 먼지구름도 가시고 매연도 가셨다. 나는 시장판 가운데서 많은 이들의 시선을 받고 앉아있었다.

다가오는 재앙을 바라보면서도 어쩔 수 없을 때 인간은 한없이 나약함을 느낀다. 그 어느 때보다 긴 0.5초 사이 난 참 많은 생각을 했다. 자꾸 넘어지는 것이 기력도 떨어져서이겠지만 이제 거의 다 왔다는 안도감이 나의 긴장을 푸는 것 같다. 불망초심 뢰기사명(不忘初心 牢記使命), '초심을 잊지 말고 사명을 기억하자' 평화가 올 때까지! 이 말을 되뇌며 마음을 다지며 최대한 멋지게 일어났다.

▲ 2018년 9월 13일 중국 베이징 공항 전에서 Duanjialing까지 달리면서 만난 이정표

 

▲ 2018년 9월 17일 중국 Mapuyingcun(马铺营村) 인근에서 Yaozhancun(腰站村) 인근까지 달리면서

 

2017년 9월 1일 네델란드 헤이그에서 2018년 9월 17일 중국 Yaozhancun(腰站村) 인근까지(최소 누적 거리 13,117km, 중국 누적거리 4,179km) /이미지: 박민서 유라시아마라톤 후원자

* 평화마라톤에 대해 더 자세한 소식을 알고 싶으면 공식카페 (http://cafe.daum.net/eurasiamarathon)와 공식 페이스북 (http://facebook.com/eurasiamarathon), 강명구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kara.runner)에서 확인 가능하다. 다음카카오의 스토리펀딩(https://storyfunding.kakao.com/project/18063)과 유라시안마라톤조직위 공식후원계좌(신한은행 110-480-277370/이창복 상임대표)로도 후원할 수 있다.

[편집자 주] 강명구 시민통신원은 2017년 9월 1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1년 2개월간 16개국 14,500km를 달리는 유라시아대륙횡단평화마라톤을 시작했다. 그는 2년 전 2015년, '남북평화통일' 배너를 달고 아시아인 최초로 미대륙 5,200km를 단독 횡단한 바 있다. 이후 남한일주마라톤, 네팔지진피해자돕기 마라톤, 강정에서 광화문까지 평화마라톤을 완주했다. <한겨레:온>은 강명구 통신원이 유라시아대륙횡단평화마라톤을 달리면서 보내주는 글과 이와 관련된 글을 그가 마라톤을 완주하는 날까지 '[특집]강명구의 유라시안 평화마라톤'코너에 실을 계획이다.

사진 : 강명구, 현지 동반자

편집 : 김미경 편집위원

 

강명구 주주통신원  myongkukang@hotmail.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