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

'데이비드 호크니'를 많은 사람들은 전후 시대의 가장 다재다능하고 창의적인 영국 예술가 중 한 명이라고 한다. 호크니는 브래드퍼드 미술대학 졸업 후 런던에 있는 '왕립미술학교'(Royal College of Art/(RCA)에서 공부했다. RCA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미술 디자인 대학원이다. 그는 RCA에서 신예 작가로 발굴되어 전시회를 열 정도 두각을 나타냈다. 졸업 후 메이드스톤 미술대학에서 잠시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1964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간 후 이국적 분위기에 영감을 받아 강렬한 색감으로 아크릴화 작품을 그렸다.

▲ 'American Collectors (Fred and Marcia Weisman)' 1968년 작, 캔버스에 아크릴(213.4 × 304.8 cm)/ 출처 : 시카고 미술관에서 필자 사진 
▲ 'American Collectors (Fred and Marcia Weisman)' 1968년 작, 캔버스에 아크릴(213.4 × 304.8 cm)/ 출처 : 시카고 미술관에서 필자 사진 

1968년 그린 'American Collectors (Fred and Marcia Weisman)'다. LA 집의 조각 정원에 있는 미술 수집가인 프레드와 마르시아 부부를 그렸다. 두 부부는 뭔가 어색하고 뻣뻣하다. 마치 서로 모르는 사람인 것도 같고, 생명이 없는 인형 같기도 하다. 무어의 조각상과 돌, 어울리지 않은 여러 조합이 그저 의미 없이 배열된 것처럼 보인다. 단지 강렬한 햇살만이 그림자를 드리우며 존재감을 뽐낼 뿐이다. 아래는 1972년에 그린 수영장 시리즈 중 하나다. 크기가 2.1m × 3.0 m에 이르는 대형 작품이다. 수면 아래에서 수영하는 사람이 있고, 옷을 입고 그를 내려보는 또 다른 사람이 있다. 분홍 재킷을 걸친 사람은 호크니가 아닐까? 수영하고 있는 사람은 호크니가 좋아하는 근육질 남성 친구가 아닐까? 역시 화사하고 강렬한 햇살이 반짝이는 그림이다.

▲ 'Portrait of an Artist (Pool with Two Figures)' 1972년 작,  캔버스에 아크릴, (2.1m × 3.0 m), 사진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Portrait_of_an_Artist_(Pool_with_Two_Figures))
▲ 'Portrait of an Artist (Pool with Two Figures)' 1972년 작,  캔버스에 아크릴, (2.1m × 3.0 m), 사진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Portrait_of_an_Artist_(Pool_with_Two_Figures))

<'Mulholland Drive : The Road to the Studio'>

호크니는 1976년 LA에 정착한다. 'Hollywood Hills'에는 집을, 'Santa Monica Boulevard'(산타모니카 대로)에는 작업실을 마련해서 살았다. 1980년 그린 'Mulholland Drive : The Road to the Studio'는 집에서 작업실까지 운전해 가면서 보이는 모습을 파노라마 지도처럼 그린 그림이다. 

▲ 'Mulholland Drive' 1980년 작, 캔버스에 아크릴 (218.44 × 617.22 cm)
▲ 'Mulholland Drive' 1980년 작, 캔버스에 아크릴 (218.44 × 617.22 cm)

이 작품은 호크니의 걸작 중 하나라고 평가받는 작품이다. 가로가 6m가 넘고 세로는 2m가 넘는 호크니의 캔버스 작품 중 가장 크다. 작업실로 가면서 본 여러 장면을 조각내어 이어 붙이듯 그렸다. 호크니가 왜 입체파에 들어가는지 이해가 되는 작품이다.

▲ 'Mulholland Drive' 작품의 왼쪽
▲ 'Mulholland Drive' 작품의 왼쪽

풍경의 일부인 나무, 집, 수영장, 테니스 코트, 전기 탑, 공원 등이 화려하고 선명한 색을 입고 있다. 입체파가 그렇듯 원근감은 무시한 듯하다. 단지 전기 탑과 집만이 크기로 원근감을 표현하고 있다. 상단에 이어지는 '멀홀랜드 드라이브' 넘어 도로는 단순 격자무늬로 빼곡히 건조하게 표현했다. 빈틈없는 직선 도로에서 LA가 얼마나 복잡한 도시인지 알려준다. 멀홀랜드 드라이브 중심으로 위쪽과 아래쪽이 상당히 다른 모습이다. 아래 쪽 한가운데 있는 동산에는 헤엄치는 물고기 모양의 잎을 가진 호수 같은 푸른 나무가 있다. 오른쪽 화면에 등장하는 도로 양쪽으로 알 수 없는 물고기도 보인다. LA는 사막이라 근처에 호수도 없으니, 바글거리는 자동차일까? 2개의 전기 탑이 눈에 띈다. 두 탑은 떨어져 있지만 이어져 있을 것이라는 고정 관념으로 인해, 보는 이의 시선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특이한 동선을 경험하게 한다. 호크니는 이를 알고 그렸을까? 창의적인 호크니의 시각이 들어간 그림이라, 좀 어리둥절하면서도 재미있다.

▲ 'Mulholland Drive' 작품의 오른쪽
▲ 'Mulholland Drive' 작품의 오른쪽

1980년대의 LA 중심가는 어땠는지 모르겠지만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을 거로 생각한다. 실제 이번 여행에서 '멀홀랜드 드라이브' 일부를 갔었다. '멀홀랜드 드라이브'는 산타모니카 산맥의 작은 능선이 '할리우드 힐'까지 이어지는 승용차로 40 여분 걸리는 구불구불한 1차선 도로다. 그 길을 따라 세계에서 가장 고급스럽고 비싼 집들이 있다. 남산 전망대에 가면 서울 시내가 다 내려다보이듯, '멀홀랜드 드라이브' 중간중간에 있는 전망대에선 LA 중심가와 고급 주택들이 내려다보인다. 유명한 전망대에서 보는 모습은 호크니 그림의 평화롭고 전원적 풍경은 아니다. 건물 가득한 도시 그 자체다. 밤에 더욱 빛이 나는…. 아마도 저 그림은 호크니의 바람인 것 같다.

▲ 파란 줄이 '멀홀랜드 드라이브' (이미지 출처 : 구글 지도)
▲ 파란 줄이 '멀홀랜드 드라이브' (이미지 출처 : 구글 지도)
▲  초록 동그라미가 호크니의 집이 있던 헐리우드 힐, 빨간 동그라미가 호크니의 작업실이 있던 산타모니카 대로(이미지 출처 : 구글 지도)
▲  초록 동그라미가 호크니의 집이 있던 헐리우드 힐, 빨간 동그라미가 호크니의 작업실이 있던 산타모니카 대로(이미지 출처 : 구글 지도)

'Mulholland Drive'란 영화도 있다. BBC 선정 '21세기 위대한 영화 100편' 중 1위 영화라고 한다. 2001년 나온 영화로 제54회 칸 영화제 감독상, 27회 세자르상 외국 영화상 등 상도 수두룩 받아서 봤는데 이해하지 못했다. 단타가 계속 터지면서 공이 이리저리 튀는데 주워 담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튀어나와서 내용을 연결할 수 없던 스토리였다. 처음엔 '이게 뭘 의미할까'라는 궁금증으로 머리를 굴리다가, 나중엔 아무 생각이 없어지고 어서 결말이 나오길 기다렸던 영화다. 아마도 나의 영화 이해 수준이 그것밖에 되지 못했던 듯.

▲ 사진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Mulholland_Drive_(film)
▲ 사진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Mulholland_Drive_(film)

그런데 이번 여행에서 '멀홀랜드 드라이브'를 가보고 나니, 영화 제목에 'Mulholland Drive'를 붙인 의미가 조금은 와 닿는다. 이 도로는 여기서 끝나겠지…. 하면 또 나오고…. 여기서 그만 구불거리겠지…. 하면 또 구불거리고…. 예측할 수 없는 길이 계속 이어진다. 'Mulholland Drive' 영화는 인생이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예측할 수 없고 이해할 수 없는 환상과 꿈과 현실이 이어지는 길이라는 걸… 말해주는 영화가 아닐까 싶다. 순전히 내 생각이다.

'Mulholland Drive'  전망대에서 본  LA 다운타운의 낮(출처 :https://www.flickr.com/photos/bossco/5143935305)
'Mulholland Drive'  전망대에서 본 LA 중심가의 낮(출처 :https://www.flickr.com/photos/bossco/5143935305)
'Mulholland Drive'  전망대에서 본 LA 다운타운의 밤(사진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Mulholland_Drive_(film)#/media/File:Mulholland_Drive_at_night.jpg)
'Mulholland Drive'  전망대에서 본 LA 중심가의 밤(사진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Mulholland_Drive_(film)#/media/File:Mulholland_Drive_at_night.jpg)

 

참고 사이트 : 위키 백과
참고 사이트 : https://www.lacma.org/

편집 : 김미경 객원편집위원

김미경 객원편집위원  mkyoung60@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