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생활

중학교에 들어가니 모든 것에서 급격한 변화가 왔다. 우선 6학년 교과서와 비교해보면 중학교 1학년 교과서는 갑자기 어려워졌다. 선택된 어휘가 완전히 달랐다. 나도 어려웠다. 가만 생각해보니 나도 중학교 1학년 들어가서 공부가 갑자기 어려워져서 무척 당황했던 기억이 났다. 고 1 때도 그랬다. 그렇지만 곧 적응했듯이 아들도 적응할 것이라 생각했다. 우리는 예전처럼 방과 후에 집에서 복습 위주로 차근차근 공부 해나갔다.

그런 나에게 어떤 이들은 이렇게 말했다. ‘요새 누가 자식 공부를 엄마가 시키냐? 공부 가르치는데도 요령이 있는 거고 시험 보는 것도 요령이 있는 거다. 요새 시험은 문제지 풀어서 되는 수준이 아니다. 엄마가 해줄 수 있는 게 있고 없는 게 있는데 중학교부터는 해줄 수 없다. 학원에 보내주던지 학원이 싫으면 과외 선생을 붙여야한다.’고 했다.

또 어떤 이들은 이렇게도 말했다. ‘자식 공부에 왜 엄마가 안달복달 하냐? 그냥 방목하듯이 키워라. 자기가 하겠다고 생각하면 늦더라도 다 하게 되어 있다.’고 했다.

정말 그런가? 어떻게 해야 하나? 딸처럼 지 알아서 하게 내버려둬야 하나? 아들을 붙잡고 공부를 하는 것이 아들의 능력을 믿지 못해서 그러는 건가? 이런 저런 궁리만 하다가 1학년 1학기가 지났다. 아들은 방학 중에 2학기부터는 친구들처럼 학원에서 공부를 하고 싶다고 요구했다. 1학기 끝나고 만난 학교 선생님도 “학원에서 보충을 했으면 좋겠다.”고 은근히 말씀하셨다. 아들이 영어는 상위권, 수학은 중위권 이상인데 다른 과목은 거의 손을 놨다 할 정도인 것에 대하여 아들도 공부를 하려 하지 않고 부모도 이를 방치한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았다. 하지만 학원을 선뜻 보내기가 망설여졌다. 공부란 ‘스스로 하는 것’이라는 개념이 내 머릿속에 단단히 박혀 있기 때문이었다.

아들이 다닌 중학교
아들이 다닌 중학교

공부문제로 인한 체벌은 초등학교 때보다 더 심해졌다. 공부를 해야 해서가 아니라 매를 피하기 위해 아들과 함께 공부에 매달렸다. 하지만 성적은 제자리였다. 우리 둘 다 점점 힘들어졌고 서로 짜증을 내는 시간이 많아져갔다. 이러다간 부모 자식 간에 사이가 틀어지게 될 것 같다는 생각까지 들었다. ‘자기 자식은 못 가르친다.’는 말이 새삼 떠올랐다. ‘누난 혼자 알아서 다했는데... 스스로 하게 놔둬야 하는데... ’ 하는 생각에 학원에 대하여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계속 미루자 아들은 이렇게 따지기까지 했다.

“다른 부모님들을 학원가서 공부하겠다고 하면 다 밀어준다는데 왜 엄마는 내가 공부 좀 하겠다는데 밀어주지 않냐?”

아들의 이 말에 '에라 모르겠다. 지가 가겠다는데 뭐.. ' 하는 도피성 심정으로 학원에 보내기로 결정했다.

아들은 강의식 학원보다는 집에서 하듯이 과외식 학원을 택하고 싶다고 했다. 1학년 2학기부터 수학이 갑자기 어려워지는 것 같아서 먼저 수학학원을 보냈다. 국어가 많이 부족했지만 국어는 집에서 해보겠다고 했고, 영어는 안 해도 될 것 같은데 더 잘하고 싶다고 하며 영어도 보내달라고 해서 하고 싶은 대로 다 해주었다.

하지만 1학년 2학기도 학교 성적은 비슷했다. 2학년 들어가서는 국어, 사회, 과학까지 학원을 다니겠다고 했다. 가장 큰 이유가 시험 전에 이런 저런 예상문제풀이를 해봐야 한다는 것이었다. 완전히 학원에 의존하겠다는 거였다. 이건 아닌데.. 하면서도 또 원하는 대로 해주었다. 하지만 성적은 변함이 없었다. 그렇게 3학년 1학기까지 갔다.

아들의 친구 관계는 어땠을까?

아들이 중학교 1학년 친구는 딱 한 명 있었다. 그 친구가 아들을 너무 좋아했는지.. 아니면 제 맘대로 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지 아들이 자신과 모든 활동을 같이 하길 원했다. 점심을 먹을 때도, 소풍 갈 때도 항상 아들과 함께 하길 원했다. 아들은 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다른 친구들하고도 어울리고 싶다고 했다. 하지만 친구의 요구사항을 거절하지 못했다. 싫어하면서도 친구에게 질질 끌려 다니는 아들이 답답해 “그렇게 싫으면 싫다고 말을 해야지”라고 했지만 “어떻게 싫다는 말을 하냐.”고 했다. 내가 나설 수 없는 일이라 그냥 지켜보기만 했다.

2학년이 되어 반이 바뀌면서 중 1 때 친구와는 완전히 멀어졌다. 대신에 모범생 착한 친구와 어울렸다. 반장이라서 그랬을지 모르지만 타인에 대한 배려심이 많은 친구인 것 같았다. 아들이 약자라고 생각했는지 아들을 많이 챙겨주어서 무척 가깝게 지냈다. 그러다가 2학년 2학기가 되면서 '반에서 분위기 잡는 아이들'이 아들을 그룹에 끼워주었다. 그 아이들이 왜 자신을 그룹에 끼워주었는지 지금 물어봐도 모르겠다고 하지만, 나중에는 자신이 분위기를 주도했다고 했다. 아들의 엉뚱한 4차원 발상이 초등학교 때는 ‘또라이’로 보였지만 중학교 아이들에게는 ‘재미있는 독특함’으로 보이지 않았나 싶다.

2학년 때는 맞장이란 것도 뜬 적이 있었다. 맞고 온 적도 있지만 서로 주먹을 주고받은 적도 있어서 초등학교 때의 그 순둥이는 아니었다. 깔끔한 용모 때문인지 여학생들에게 인기도 많았다. 한번은 학교에 가서 아들 책상을 볼 기회가 있었는데, 책상 위에 하트 모양과 하트모양을 관통하는 화살표가 그려져 있고 ‘욱이 내꺼’ 라고 쓰여 있었다. 여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아서 분위기 잡는 친구들이 그룹에 끼워준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한다.

아들이 그렇게 학원을 고집한 이유도 친구 때문이 아니었을까도 생각한다. 학원을 안가면 방과 후에 어울릴 아이들이 없었다. 아들이 다니는 학원은 서로 다른 실력을 가진 아이들을 나누어 A, B, C반으로 분리 했다. 자신과 고만고만한 학업수준의 아이들과 부담 없이 지낼 수 있었다. 아들을 별나게 예뻐해 주셨던 학원 영어선생님께서 3학년 초기에 하신 말씀이 있다.

“어머님.. 욱이가 1년이 지나니까 아이들하고 굉장히 친해졌어요. 정말 욱이는 친구 사귀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네요.”

거의 2년을 함께 한 학원친구들. 지금도 연락하고 자주 만나는 친구들이다. 나중에 이실직고하기론 3학년 1학기는 학원에 가는 주목적이 친구들과 놀기 위해서였다고 했다. 학원이 끝나면 오락실도 가고, PC방도 가고, 노래방도 가고, 당구장도 가고, 자전거 뒤에 친구를 태우고 밤늦도록 동네를 쏘다니기도 했다. 골목에 숨어 담배 피는 친구가 들키지 않게 가려주다 담배도 한 두 모금 얻어 피워봤다고 했다. 가끔은 학원 땡땡이도 치면서 중학교 학생들이 해볼 수 있는 나쁜 짓(?)은 다 해보았다고 했다. 그렇게 부모를 속이며 서로 비밀을 공유해서 일까? 지금까지 정이 끈끈하게 이어져 방학 때면 만나자는 연락이 끊이질 않는다.

편집 : 박효삼 부에디터

김미경 주주통신원  mkyoung60@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키워드

#순둥이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