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배 만들기

1. 배의 탄생

배는 언제부터 어떻게 만들게 되었을까?

그 누구도 언제부터 어떻게 라고 정확하게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우리 인류의 삶과 동시에 이루어졌을 것이다. 내(川)를 건너야 할 때 그 방법을 찾았을 것이고, 먹을거리가 풍부한 바다로의 진출도 절실히 요구되었을 것이다.

처음에는 그냥 물에 뜨기만 하면 되었겠지만 사람의 몸이 물에 젖는 것이 불편했을 것이고, 짐도 날라야 했을 것이다. 배란 아득한 옛날부터 고기잡이, 해상의 운송수단, 전선 등 다양한 형태로 긴긴 세월을 지나면서 변해왔을 것이다.

배의 시초라고도 하는 떼배를 보면 제주에서는 구상나무를, 거문도에서는 동백나무를, 남해에서는 버드나무를, 정동진에서는 오동나무를 그 재료로 사용하였다.

▲ 경남 남해의 떼배(저자가 제작한 것)

이 모두가 그 지역에서 많이 자생하고 있는 나무들이고, 그것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배들은 많은 짐이나 사람을 실을 수 없어 불편함을 해소해야 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편히 탈 수 있는 배로 거듭 발전하였을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조선강국이라고 자랑스럽게 말들을 하지만 모두 다 우리 선조들의 덕이라는 생각을 떨쳐버려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가 조선강국이 된 것은 어제 오늘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오래전 삼한시대에 이미 크고 작은 민간교역이 이루어졌다.

주호국(州胡國)이 배를 타고 왕래하면서 한(韓)의 국중(國中)에서 물건을 사고팔았다는 기록이 삼국지 등에 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술과 항해술이 뛰어났음을 알 수가 있다. 백제가 처음으로 중국과 관계를 갖기 시작한 것은 근초고왕27년(372)이었다.

중국의 기록에 함안(咸安) 2년 정월에 백제의 임읍왕(林邑王)이 사신을 보내 방물을 바쳤고 6월에 사신을 보내어 백제왕(근초고왕)을 진동 장군으로 삼고 낙랑태수로 봉했다.

이렇듯 우리는 아득한 옛날부터 그 어느 나라보다도 조선술과 항해술이 뛰어났음을 알 수가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그 기능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편집 : 김미경 편집위원

마광남 주주통신원  wd3415@naver.com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키워드

#마광남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